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초등 저학년과 고학년의 읽기이해 예측 요인 연구 = Predic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in Early and Late Elementary Grades: Contribution of Word Decoding, Vocabulary and Syntactic Knowled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90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과 고학년에서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첫째, 저학년과 고학년 간에 낱말해독과 언어능력의 읽기이해 설명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언어능력을 어휘지식과 구문지식으로 나누어 각 언어영역이 학년집단에 따라 다르게 읽기이해를 설명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108명과 4-6학년 68명으로 총 176명의 아동이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은 비구어성 지능지수가 70점 이상인 아동이다. 종속변인으로 읽기이해,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 낱말해독, 수용어휘, 문장따라말하기,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를 검사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저학년 아동은 낱말해독과 수용어휘, 빠른이름대기가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학년에서는 문장따라말하기,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능력이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언어영역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년에서는 의미지식인 수용어휘가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고학년에서는 구문지식인 문장따라말하기가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저학년에서는 낱말해독능력이 읽기이해능력에 중요한 변인이 되는 반면에 학년이 올라갈수록 낱말해독능력보다는 읽은 내용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언어능력이 읽기이해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학년에서는 개별적인 어휘에 대한 지식이 읽기이해에 더 영향을 주는 반면에, 고학년에서는 문장 내에서, 그리고 문장과 문장 간의 구문구조를 파악하는 능력이 읽기이해에 더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낱말해독 정확도뿐 아니라 읽기속도가 읽기이해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과 고학년에서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첫째, 저학년과 고학년 간에 낱말해독과 언어능력의 읽기이해 설명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과 고학년에서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첫째, 저학년과 고학년 간에 낱말해독과 언어능력의 읽기이해 설명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언어능력을 어휘지식과 구문지식으로 나누어 각 언어영역이 학년집단에 따라 다르게 읽기이해를 설명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108명과 4-6학년 68명으로 총 176명의 아동이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은 비구어성 지능지수가 70점 이상인 아동이다. 종속변인으로 읽기이해,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 낱말해독, 수용어휘, 문장따라말하기,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를 검사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저학년 아동은 낱말해독과 수용어휘, 빠른이름대기가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학년에서는 문장따라말하기,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능력이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언어영역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년에서는 의미지식인 수용어휘가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고학년에서는 구문지식인 문장따라말하기가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저학년에서는 낱말해독능력이 읽기이해능력에 중요한 변인이 되는 반면에 학년이 올라갈수록 낱말해독능력보다는 읽은 내용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언어능력이 읽기이해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학년에서는 개별적인 어휘에 대한 지식이 읽기이해에 더 영향을 주는 반면에, 고학년에서는 문장 내에서, 그리고 문장과 문장 간의 구문구조를 파악하는 능력이 읽기이해에 더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낱말해독 정확도뿐 아니라 읽기속도가 읽기이해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eenan, J. M., "Reading comprehension tests vary in the skills they assess : differential dependence on decoding and oral comprehension" 12 : 281-300, 2008

      2 Gough, P. B.,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processes and interven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13, 1996

      3 Kamhi, A., "Knowledge deficits: the true crisis in education" 12 : 28-29, 2007

      4 Gough, P. B., "Decoding, reading, and reading disability" 7 : 6-10, 1986

      1 Keenan, J. M., "Reading comprehension tests vary in the skills they assess : differential dependence on decoding and oral comprehension" 12 : 281-300, 2008

      2 Gough, P. B.,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processes and interven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13, 1996

      3 Kamhi, A., "Knowledge deficits: the true crisis in education" 12 : 28-29, 2007

      4 Gough, P. B., "Decoding, reading, and reading disability" 7 : 6-10,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13-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2-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8 1.62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