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文科 文法 敎授 實態 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16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문 교과에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문법 항목들이 있다. 이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도 통일된 문법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 교육 실태를 조사한 뒤, 조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문법 敎授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조사는 한문교사 10명의 토론과 토론 과정에서 추출한 논제를 전국한문교사모임의 회원에게 설문지로 만들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토론은 문장의 해석과정을 주제로 하였다. 해석과정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문장은 대체로 긴 문장이라는 것과 긴 문장은 짧게 나누는 지도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설문의 주요 항목은 술보 관계에서 보어의 개념 이해, 개사의 개념 이해, 접속사 而의 띄어 읽기와 현토, 대명사 之의 쓰임이었다. 토론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었던 것처럼 설문 결과도 이를 반영하였다. 다만 有罪의 짜임을 대부분의 한문교사들이 ‘술보’로 답변하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之나 於 등의 허사를 우리말 조사나 어미로 이해시키는 방법을 지양하고, 허사의 본래 쓰임에 충실한 설명과 문맥으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교수방안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한문 교과에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문법 항목들이 있다. 이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도 통일된 문법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 교...

      한문 교과에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문법 항목들이 있다. 이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도 통일된 문법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 교육 실태를 조사한 뒤, 조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문법 敎授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조사는 한문교사 10명의 토론과 토론 과정에서 추출한 논제를 전국한문교사모임의 회원에게 설문지로 만들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토론은 문장의 해석과정을 주제로 하였다. 해석과정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문장은 대체로 긴 문장이라는 것과 긴 문장은 짧게 나누는 지도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설문의 주요 항목은 술보 관계에서 보어의 개념 이해, 개사의 개념 이해, 접속사 而의 띄어 읽기와 현토, 대명사 之의 쓰임이었다. 토론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었던 것처럼 설문 결과도 이를 반영하였다. 다만 有罪의 짜임을 대부분의 한문교사들이 ‘술보’로 답변하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之나 於 등의 허사를 우리말 조사나 어미로 이해시키는 방법을 지양하고, 허사의 본래 쓰임에 충실한 설명과 문맥으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교수방안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lassical Chinese grammar has been controversial. This hinders teachers from teaching general grammar in classrooms. Based on awareness of this problem, I examined the problem of instruction in grammar through researching on the actucal condition. A process of conducting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 raised points for discussion by focus group interview with ten classical Chinese teachers. And using these points, I made a questionnaire and analysed it.
      The main theme of discussions was interpretive process of sentences. In its final analysis, long sentence is more difficult than short one for students and it should be shorten by analyzing sentece structure. In this process, emerged significant survey item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complement in (S)VC sentence, second, understanding of gaesa(such as preposition or postposition), third, interpretation of conjunction(而), fourth, usage of pronoun 之 in a sentence. The survey results also indicated various opinions, like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However, the problems that the structure of 有罪 was answered as (S)VC by most classical Chinese teachers have surfaced.
      Finally, the way of teaching that the intrinsic grammatical elements of classical Chinese, such as heosa(like 之 or 於, etc.), should be learned by teaching its inherency, a full explanation and context about classical Chinese language was suggested.
      번역하기

      Classical Chinese grammar has been controversial. This hinders teachers from teaching general grammar in classrooms. Based on awareness of this problem, I examined the problem of instruction in grammar through researching on the actucal condition. A p...

      Classical Chinese grammar has been controversial. This hinders teachers from teaching general grammar in classrooms. Based on awareness of this problem, I examined the problem of instruction in grammar through researching on the actucal condition. A process of conducting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 raised points for discussion by focus group interview with ten classical Chinese teachers. And using these points, I made a questionnaire and analysed it.
      The main theme of discussions was interpretive process of sentences. In its final analysis, long sentence is more difficult than short one for students and it should be shorten by analyzing sentece structure. In this process, emerged significant survey item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complement in (S)VC sentence, second, understanding of gaesa(such as preposition or postposition), third, interpretation of conjunction(而), fourth, usage of pronoun 之 in a sentence. The survey results also indicated various opinions, like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However, the problems that the structure of 有罪 was answered as (S)VC by most classical Chinese teachers have surfaced.
      Finally, the way of teaching that the intrinsic grammatical elements of classical Chinese, such as heosa(like 之 or 於, etc.), should be learned by teaching its inherency, a full explanation and context about classical Chinese language was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본론
      • 1. 한문 해석의 난점(難點)
      • 2. 설문 결과와 분석
      • 3. 바람직한 문법 교수 방안
      • I. 서론
      • II. 본론
      • 1. 한문 해석의 난점(難點)
      • 2. 설문 결과와 분석
      • 3. 바람직한 문법 교수 방안
      • III.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완혁, "高等學校 漢文I" 교학사 2014

      2 심경호, "高等學校 漢文I" 미래엔 2014

      3 신태영, "高等學校 漢文I" 금성출판사 2014

      4 진재교, "高等學校 漢文I" 장원교육 2014

      5 김용재, "高等學校 漢文I" 와이비엠 2014

      6 敎育科學技術部, "初·中等學校 敎育課程-漢文. 別冊 17"

      7 박성규, "中學校 漢文" 두산동아 2013

      8 김용재, "中學校 漢文" 와이비엠 2013

      9 진재교, "中學校 漢文" 장원교육 2013

      10 안대회, "中學校 漢文" 천재교육 2013

      1 임완혁, "高等學校 漢文I" 교학사 2014

      2 심경호, "高等學校 漢文I" 미래엔 2014

      3 신태영, "高等學校 漢文I" 금성출판사 2014

      4 진재교, "高等學校 漢文I" 장원교육 2014

      5 김용재, "高等學校 漢文I" 와이비엠 2014

      6 敎育科學技術部, "初·中等學校 敎育課程-漢文. 別冊 17"

      7 박성규, "中學校 漢文" 두산동아 2013

      8 김용재, "中學校 漢文" 와이비엠 2013

      9 진재교, "中學校 漢文" 장원교육 2013

      10 안대회, "中學校 漢文" 천재교육 2013

      11 이동재, "中學校 漢文" 비상교육 2013

      12 송영일, "中學校 漢文" 성림출판사 2013

      13 심경호, "中學校 漢文" 대교 2013

      14 송재소, "中學校 漢文" 다락원 2013

      15 敎育科學技術部, "中學校 改定 敎育課程 解說(V)漢文"

      16 金王奎, "‘漢字 解讀’과 ‘讀者의 背景 知識’의相互 作用을 通한 漢文 讀解 敎育 試論"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7-65,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