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음렬음악사 전개의 초석을 쌓은 나운영 = Unyung La, the Multidimensional Leader of Korean Serial Music in its Initial S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554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yung La is known for composing the first Korean serial composition. However, his role in developing Korean serial music in its early stage was not limited to composition, but also included various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His work, Theme & 12 Variations Written in the Twelve-Tone Technique, was the composition that would bring serious discussion of serial music to the forefront of cultural discourse in Korea, and he himself participated in the discourse formation as a writer as well. H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erial music as an educator, teaching it on campus by 1957 at the latest and publishing music theory textbooks that included introductions to serial music as early as 1958. In addition, he actively promoted interest in serial music by providing serial music classes in music programs off-campus. It was through such multi-pronged efforts that Unyung La paved the way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erial music in musical and, more broadly, cultural terms.
      번역하기

      Unyung La is known for composing the first Korean serial composition. However, his role in developing Korean serial music in its early stage was not limited to composition, but also included various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His work, Theme...

      Unyung La is known for composing the first Korean serial composition. However, his role in developing Korean serial music in its early stage was not limited to composition, but also included various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His work, Theme & 12 Variations Written in the Twelve-Tone Technique, was the composition that would bring serious discussion of serial music to the forefront of cultural discourse in Korea, and he himself participated in the discourse formation as a writer as well. H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erial music as an educator, teaching it on campus by 1957 at the latest and publishing music theory textbooks that included introductions to serial music as early as 1958. In addition, he actively promoted interest in serial music by providing serial music classes in music programs off-campus. It was through such multi-pronged efforts that Unyung La paved the way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erial music in musical and, more broadly, cultural ter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운영, "현대인강좌 3" 박우사 275-290, 1962

      2 현대인강좌편찬회, "현대인강좌 3" 박우사 1962

      3 "한국작곡가협회 제1회 작품발표회 프로그램"

      4 "한국작곡가협회"

      5 홍정수, "한국음악 20세기 2, 그런 음악 무선 생각? : 초기 양악 작곡가들의 음악관" 세종출판사 2018

      6 홍정수, "한국음악 20세기 1, 작곡의 시작: 1920년대까지 출생한 작곡가들" 세종출판사 319-404, 2013

      7 김미옥, "한국음악 20세기 1, 작곡의 시작 : 1920년대까지" 세종출판사 2013

      8 안소영, "한국에서의 음렬기법의 수용: 나운영과 이상근의 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음악연구소 37 : 91-126, 2017

      9 나운영, "피아노를 위한 여섯 개의 전주곡(Six Preludes for Piano Solo). 자필악보"

      10 나운영, "표준 음악통론" 이상사 1958

      1 나운영, "현대인강좌 3" 박우사 275-290, 1962

      2 현대인강좌편찬회, "현대인강좌 3" 박우사 1962

      3 "한국작곡가협회 제1회 작품발표회 프로그램"

      4 "한국작곡가협회"

      5 홍정수, "한국음악 20세기 2, 그런 음악 무선 생각? : 초기 양악 작곡가들의 음악관" 세종출판사 2018

      6 홍정수, "한국음악 20세기 1, 작곡의 시작: 1920년대까지 출생한 작곡가들" 세종출판사 319-404, 2013

      7 김미옥, "한국음악 20세기 1, 작곡의 시작 : 1920년대까지" 세종출판사 2013

      8 안소영, "한국에서의 음렬기법의 수용: 나운영과 이상근의 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음악연구소 37 : 91-126, 2017

      9 나운영, "피아노를 위한 여섯 개의 전주곡(Six Preludes for Piano Solo). 자필악보"

      10 나운영, "표준 음악통론" 이상사 1958

      11 나운영, "표준 대학음악통론" 이상사 1962

      12 윤이상, "창작과 평론 하, 오화섭씨의 작곡평을 박함"

      13 윤이상, "창작과 평론 상, 오화섭씨의 작곡평을 박함"

      14 나운영, "주제와 변주" 민중서관 1964

      15 나운영, "주제와 변주" 민중서관 29-33, 1964

      16 "제1회 작곡발표회 오늘부터 시공관서"

      17 "제100회 Record Concert 프로그램"

      18 "작곡발표회"

      19 "작곡발표회"

      20 "작곡가협회 발족"

      21 윤이상, "작곡가의 변, 발표회를 마치고"

      22 홍정수, "작곡가 나운영(1)" 민족음악학회 29 (29): 11-44, 2005

      23 이정상, "음악시평"

      24 나운영, "외국음악이론을 조선적으로 섭취"

      25 "열연에 청중 황홀"

      26 나운영, "알기쉬운 학생음악통론" 이상사 1960

      27 오화섭, "아름다운 세상 하, 윤이상님의 논문을 읽고"

      28 오화섭, "아름다운 세상 상, 윤이상님의 논문을 읽고"

      29 김세형, "민족문화와 음악"

      30 "문화단신"

      31 "문화단신"

      32 윤이상, "두세력·십이음" 28-29, 1955

      33 나운영 기념사업회, "내 손의 피가 마를 때까지" 운경음악출판사 2013

      34 권오향, "나운영의 작품세계 : 한국음악의 토착화와 현대화를 위하여" 5 (5): 25-58, 1993

      35 "나운영 신작곡 발표회 프로그램"

      36 조선우, "나운영 그의 삶과 작품" 9 : 8-25, 1995

      37 "곡협 신작발표회"

      38 오화섭, "고갈된 창작정신, 한국작곡가협회 제1회 작품발표회를 보고"

      39 나운영, "12음기법에 의한 피아노 3중주(Piano Trio Written in the Twelve-Tone Technique). 자필악보"

      40 나운영, "12음기법에 의한 주제와 변주(Theme and 12 Variations Written in the Twelve-Tone Technique). 자필악보"

      41 이성재, "12음 음악이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