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대학 취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Job Seeking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Impacts of Job Education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89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년실업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각 대학들은 졸업생의 성공적 취업을 위해 다양한 취업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취업교육 투자가 증가함에도 ...

      청년실업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각 대학들은 졸업생의 성공적 취업을 위해 다양한 취업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취업교육 투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성공적 취업에 얼마나 효과적인가”에 대한 실증적 평가가 부족하다. 이 연구는 대졸자의 취업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되, 특히 대학의 취업교육 프로그램이 대기업 및 정규직 취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취업성과 결정요인을 사회경제적 요인, 학업성취도, 취업준비 노력 등 세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며, 천안 소재 K대학의 학사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선행 연구는 주로 졸업(예정자)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보고식 설문에 근거하고 있으나 개인정보 민감성 등으로 분석데이터로서의 타당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대학의 공식적인 학사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정확한 정보와 자료에 근거한 분석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취업성과 측정을 위해 취업성공 여부뿐만 아니라 대기업 취업, 정규직 취업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취업성과의 질적 요소를 함께 고려했다. 취업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현장실습, 취업클리닉, 학업성취도, 외국어성적 등이 꼽혔으며, 특히 취업클리닉 프로그램은 대기업 취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job seeking of college students. As the youth in Korea had experienced hard time in job seeking, most colleges implemented the job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their stud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job seeking of college students. As the youth in Korea had experienced hard time in job seeking, most colleges implemented the job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their students’ effort to seek the job. There are, however, few studies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varied job education programs the universities have invested with huge amount of budget. This current study take a comprehensive approache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job seeking, and it put a focus on if and how effective the job education programs work for the college students’ employment outcomes. To this end, it takes into account multiple determinants including socio-economic factors, academic performances, and the individual efforts for job-seeking using the official dataset of K University located at Cheon-an city. In addition, this study involves the size of companies the students are recruited and employment status allowing for the quality of their new jobs. We found that the internship programs including job-experience arrangements, special clinic programs for successful jobs, academic performances and ability of foreign language(English) and that the job-clinic programs contributed to getting a job of large-sized fir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식인, "현행 경제교육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창의성 교육방안"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6 (46): 76-92, 2007

      2 방하남, "한국의 직업이동과 계층이동-노동 패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1998

      3 장상수, "학력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에서 첫 계급으로의 이행" 한국사회학회 33 (33): 1990

      4 김우영, "학력, 훈련, 아르바이트, 자격증의 경제적 효과" 중앙고용정보원 83-107, 2002

      5 이기종,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 탐색-교육적 관점에서 최종학교 생활을 중심으로" 26 (26): 17-37, 2006

      6 강순희, "청년층의 학교교육과 직무의 일치" 중앙고용 정보원 2002

      7 정인수, "청년층의 가구환경과 노동시장 성과" 중앙고용정보원 2004

      8 박성재,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취업효과분석" 47-62, 2004

      9 통계청, "청년실업추이 분석" 통계청 2015

      10 금재호,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 및 대책" (9) : 27-54, 2007

      1 최식인, "현행 경제교육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창의성 교육방안"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6 (46): 76-92, 2007

      2 방하남, "한국의 직업이동과 계층이동-노동 패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1998

      3 장상수, "학력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에서 첫 계급으로의 이행" 한국사회학회 33 (33): 1990

      4 김우영, "학력, 훈련, 아르바이트, 자격증의 경제적 효과" 중앙고용정보원 83-107, 2002

      5 이기종,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 탐색-교육적 관점에서 최종학교 생활을 중심으로" 26 (26): 17-37, 2006

      6 강순희, "청년층의 학교교육과 직무의 일치" 중앙고용 정보원 2002

      7 정인수, "청년층의 가구환경과 노동시장 성과" 중앙고용정보원 2004

      8 박성재,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취업효과분석" 47-62, 2004

      9 통계청, "청년실업추이 분석" 통계청 2015

      10 금재호,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 및 대책" (9) : 27-54, 2007

      11 신은종, "청년 실업과 대안적 해결책으로서의 창업경영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교육학회 13 (13): 159-174, 2006

      12 이상준, "자격증이 임금, 노동이동에 미치는 효과:기능사 2급 자격증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145-169, 2006

      13 조우현, "일의 세계 경제학" 법문사 390-391, 2010

      14 박성준,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원인 분석 : 이공계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27 (27): 55-76, 2004

      15 성호용, "여성의 미취업 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5 : 117-148, 2003

      16 안준기, "어학연수가 졸업 후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203-231, 2009

      17 채구묵,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35-61, 2007

      18 장미혜, "사회계급의 문화적 재생산: 대학간 위계서열에 따른 부모의 계급구성의 차이" 한국사회학회 36 (36): 223-251, 2002

      19 김기현, "변화와 세습; 한국사회의 세대간 지위계급 및 성취 구조, 한국노동시장의 구조와 변화, 노동패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1

      20 진미석, "미래의 직업세계 2003:대학재학생 희망직업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21 임천순, "대학졸업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25, 2006

      22 장기영,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 결정요인 : 사회경제적 배경, 교육특성 및 이행준비 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23 임천순, "대학 졸업생의 채용결정요인 분석 :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311-332, 2004

      24 김안국, "대졸청년층의 노동이동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5, 2005

      25 오세규, "대졸자의 취업확률 결정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6 정태영, "대졸자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학점이 취업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8 (8): 159-184, 2005

      27 박가열, "대졸자 취업 영향요인 분석" 3 (3): 29-59, 2009

      28 이자형,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 : 비인지적 능력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14): 27-54, 2011

      29 채창균,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89-107, 2009

      30 황여정,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3, 2008

      31 이규용,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3 (3): 69-94, 2003

      32 박성재,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한국인구학회 29 (29): 29-50, 2006

      33 최병모, "노동시장을 통한 학교 경제교육의 활용 방안" 한국경제교육학회 13 (13): 115-136, 2006

      34 이병희, "노동시장 이행초기 경험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 (2): 1-18, 2002

      35 주민수, "고용형태별 이금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717-746, 2008

      36 채창균, "大學生의 在學中 일자리 體驗과 就業準備" 한국직업교육학회 22 (22): 169-184, 2003

      37 Phelps, E. S, "The Statistical Theory of Racism and Sexism" 62 (62): 659-661, 1972

      38 Yamaoka Michio, "The Present state of Economic Education in Japan" 41 (41): 448-460, 2010

      39 Burt. Ronald S., "The Contingent Value of Social Capital" 1999

      40 Blau. P.,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Wiley 1967

      41 Burt. Ronald S., "Social Contagion and Innovation: Cohesion versus Structural Equivalence" 1987

      42 Bowles, S.,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 Basic 1976

      43 Arrow, K., "Racial Discrimination in Economic Life" Lexington Books 1972

      44 Wolbers, M., "Job Mismatches and their Labour-Market Effects Among Schoolleavers in Europe" 19 (19): 249-266, 2003

      45 Weise, Andrew, "Human Capital vs. Signalling Selection Blas" 18 : 327-350, 1995

      46 Becker, Garry S., "Human Capital :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5

      47 Bills, D. B., "Educational Credentials and Promotions: Does Schooling do More Than Get You in the Door?" 61 : 52-60, 1988

      48 한국경영자총연합회, "2015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한국경영자총연합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7 1.01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