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지평과 과제 = 한국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의 사회학자들에 의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에 대한 연구 현황을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검토해봄으로써,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 연구에 보완되어야 할 점들을 찾아보고, 이러한 평가를 기준으로 향후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이론 연구가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에 적실성을 가지고 가르치고 연구될 수 있도록 성찰의 기회를 마련해보는 것이다. 이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필자는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과 관련해서 한국 사회학 공동체의 주목을 가장 크게 받은 알렉산더(Jeffrey Alexander)의 저서를 중심으로, 그가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을 강조하게 된 지적 배경과 그가 분류한 뒤르케임 전통의 학문적 후계자들(벨라, 실즈,기 어츠, 우드나우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의 계승을 검토해보았다. 둘째는, 프랑스 사회학 공동체가 주목하는 뒤르케임의 전통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마르셀 모스, 마르셀 그라네, 모리스 알박스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을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특히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이들이 그의 스승인 뒤르케임의 이론적, 방법론적 문제의식을 어떻게 혁신하고 계승해서 현대 문화와 타 문화권에 대한 새로운 문화사회학적 연구 전통을 성공적으로 확립해나갔는가를 탐색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학자들이 해온 뒤르케임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조감하고, 그 특징을 몇 가지 유형별로 기술한 후에 이러한 지적 자원을 가지고 한국에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 전통을 연구와 교육 분야에서 더 적실성있게 계발하려면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전략이 필요한가를 탐색해보았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의 사회학자들에 의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에 대한 연구 현황을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검토해봄으로써,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 연구에 보완되어야 할 점들을 찾아보...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의 사회학자들에 의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에 대한 연구 현황을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검토해봄으로써,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 연구에 보완되어야 할 점들을 찾아보고, 이러한 평가를 기준으로 향후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이론 연구가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에 적실성을 가지고 가르치고 연구될 수 있도록 성찰의 기회를 마련해보는 것이다. 이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필자는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과 관련해서 한국 사회학 공동체의 주목을 가장 크게 받은 알렉산더(Jeffrey Alexander)의 저서를 중심으로, 그가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을 강조하게 된 지적 배경과 그가 분류한 뒤르케임 전통의 학문적 후계자들(벨라, 실즈,기 어츠, 우드나우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의 계승을 검토해보았다. 둘째는, 프랑스 사회학 공동체가 주목하는 뒤르케임의 전통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마르셀 모스, 마르셀 그라네, 모리스 알박스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을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특히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이들이 그의 스승인 뒤르케임의 이론적, 방법론적 문제의식을 어떻게 혁신하고 계승해서 현대 문화와 타 문화권에 대한 새로운 문화사회학적 연구 전통을 성공적으로 확립해나갔는가를 탐색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학자들이 해온 뒤르케임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조감하고, 그 특징을 몇 가지 유형별로 기술한 후에 이러한 지적 자원을 가지고 한국에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 전통을 연구와 교육 분야에서 더 적실성있게 계발하려면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전략이 필요한가를 탐색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purports to draw some sociological less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on the basis of study in durkhemian tradion’s sociological studies by korean sociologists. For this purpose, it delves in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some more detailed academic projects of diverse efforts of korean sociologists in this domain. This article composes of three parts.
      First part examines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analyses the detailed academic programs of korean sociologists’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Within this work, author also includes the academic efforts of translation of major works of french second generation’s (Marcel Mauss, Marcel Granet, Maurice Halbwachs) durkhemian sociology.
      Second part makes typologies of these works and evaluates the academic activities of korean sociolgists in this domain. On the basis of this work, author suggests some future tasks of korean sociologists i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These tasks are as follows: We must more clarify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post-phase Durkhemian sociology and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tion’s sociology on this basis. We need to explore the second generation durkhemian school’s works.
      Third part suggests some sociological lessons from the above mentioned analyse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durkhemian and neo-durkhemian cultural sociolog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y. And for this purpose, we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ition’s cultural sociology around the themes of civil religion, new community value system, trust building works through new social movements.
      번역하기

      This article purports to draw some sociological less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on the basis of study in durkhemian tradion’s sociological studies by korean sociologists. For this purpose, it delves into th...

      This article purports to draw some sociological less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on the basis of study in durkhemian tradion’s sociological studies by korean sociologists. For this purpose, it delves in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some more detailed academic projects of diverse efforts of korean sociologists in this domain. This article composes of three parts.
      First part examines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analyses the detailed academic programs of korean sociologists’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Within this work, author also includes the academic efforts of translation of major works of french second generation’s (Marcel Mauss, Marcel Granet, Maurice Halbwachs) durkhemian sociology.
      Second part makes typologies of these works and evaluates the academic activities of korean sociolgists in this domain. On the basis of this work, author suggests some future tasks of korean sociologists i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These tasks are as follows: We must more clarify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post-phase Durkhemian sociology and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tion’s sociology on this basis. We need to explore the second generation durkhemian school’s works.
      Third part suggests some sociological lessons from the above mentioned analyse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durkhemian and neo-durkhemian cultural sociolog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y. And for this purpose, we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ition’s cultural sociology around the themes of civil religion, new community value system, trust building works through new social move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 Ⅱ. 연구 방법론
      • Ⅲ. 한국에서의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연구 현황 및 그 발전 과정
      • Ⅳ. 한국에서의 뒤르케임 문화사회학 연구에 대한 평가 및 향후 과제
      • Ⅴ. 맺는 말: 향후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사회학 연구를 위한 과제
      • Ⅰ. 문제의 제기
      • Ⅱ. 연구 방법론
      • Ⅲ. 한국에서의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연구 현황 및 그 발전 과정
      • Ⅳ. 한국에서의 뒤르케임 문화사회학 연구에 대한 평가 및 향후 과제
      • Ⅴ. 맺는 말: 향후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사회학 연구를 위한 과제
      • 참고 문헌
      • 영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5 1.7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