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백혈구제거혈액제제 유용성 검토 및 전면 도입의 비용효과 분석 = Usefulness of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and cost-effectiveness analyses of universal leukored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57836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12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백혈구제거혈액제제는 발열성비용혈성수혈부작용, HLA 동종면역, 혈소판불응증 및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등 수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모든 헌혈혈액에 대해 백혈구를 제거하는 ULR(universal leukocyte reduction) 제도를 도입하여 안전한 수혈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백혈구제거 혈액제제에 대한 사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고하고, 비용 및 효용성에 대한 의견차이로 인하여 아직 ULR 제도가 도입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혈구제거혈액제제의 현 사용실태, 유용성, 비용 대비 효과 그리고 ULR 정책의 도입방법 등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데이터 수집, 전문가 자문, 인터뷰 및 델파이 설문 조사 등이다. 현재 전 세계 21개의 나라에서 ULR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의 최근 3년간 (2009-2011) 백혈구제거혈액제제의 평균 사용량은 전체 적혈구제제 사용량의 13.2%, 백혈구제 거혈소판제제의 경우 전체 혈소판제제 사용량의 43.5% 수준이었다. 문헌 고찰 결과, 백혈구제거 혈액제제는 기존에 알려져 있는 적응증 이외에도 심혈관 수술 시 환자의 사망률과 장기부전 감소 및 수혈관련급성폐손상의 감소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심장질 환자를 대상으로 백혈구제거혈액제제의 비용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장수술 시 일반 적혈구제제를 사용하는 것보다 백혈구제거적혈구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가 큰 것으 로 확인되었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에서는 ULR 도입의 단계로 심장수술환자에 서 백혈구제거혈액제제에 대한 보험급여를 확대하고, 다음으로 혈소판제제에 대해 ULR을 실시하 고, 마지막으로 모든 헌혈혈액에 ULR을 실시하는 방안이 가장 많은 의견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백혈구제거혈액제제가 기존의 적응증 이외에 심장질환자에게 비용대비 효과가 있 음을 확인하였고, 전면도입보다는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백혈구제거혈액제제는 발열성비용혈성수혈부작용, HLA 동종면역, 혈소판불응증 및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등 수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

      백혈구제거혈액제제는 발열성비용혈성수혈부작용, HLA 동종면역, 혈소판불응증 및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등 수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모든 헌혈혈액에 대해 백혈구를 제거하는 ULR(universal leukocyte reduction) 제도를 도입하여 안전한 수혈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백혈구제거 혈액제제에 대한 사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고하고, 비용 및 효용성에 대한 의견차이로 인하여 아직 ULR 제도가 도입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혈구제거혈액제제의 현 사용실태, 유용성, 비용 대비 효과 그리고 ULR 정책의 도입방법 등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데이터 수집, 전문가 자문, 인터뷰 및 델파이 설문 조사 등이다. 현재 전 세계 21개의 나라에서 ULR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의 최근 3년간 (2009-2011) 백혈구제거혈액제제의 평균 사용량은 전체 적혈구제제 사용량의 13.2%, 백혈구제 거혈소판제제의 경우 전체 혈소판제제 사용량의 43.5% 수준이었다. 문헌 고찰 결과, 백혈구제거 혈액제제는 기존에 알려져 있는 적응증 이외에도 심혈관 수술 시 환자의 사망률과 장기부전 감소 및 수혈관련급성폐손상의 감소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심장질 환자를 대상으로 백혈구제거혈액제제의 비용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장수술 시 일반 적혈구제제를 사용하는 것보다 백혈구제거적혈구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가 큰 것으 로 확인되었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에서는 ULR 도입의 단계로 심장수술환자에 서 백혈구제거혈액제제에 대한 보험급여를 확대하고, 다음으로 혈소판제제에 대해 ULR을 실시하 고, 마지막으로 모든 헌혈혈액에 ULR을 실시하는 방안이 가장 많은 의견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백혈구제거혈액제제가 기존의 적응증 이외에 심장질환자에게 비용대비 효과가 있 음을 확인하였고, 전면도입보다는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have been used in some Korean patients for prevention of non-hemolytic febrile transfusion reactions, HLA alloimmunization, platelet transfusion refractoriness, and cytomegalovirus transfusion-transmission risk. It is safer to provide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to all patients. This process is called universal leukocyte reduction (ULR). Although 21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lready implemented ULR as part of their blood safety policy, Korea has not yet introduced this process because of costs and lack of consensu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usage of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the usefulness of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the cost-effectiveness analyses of ULR and the method of ULR policy implementation for Korea. The method of this study includes the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experts meeting, interviews and survey using Delphi method. The annual average leukoreduced RBC components (2009-2011) comprised 13.2% of the total 1,762,291 units of RBC components and 43.5% of the total 1,593,953 units of platelet components in Korea. The cost-effectiveness analyses of universal leukoreduction of RBC components in Korean cardiac surgery patients showed favorable result. Therefore, leukoreduced red blood components were additionally recommended in cardiac surgery patients for reducing the overall risk of mortality and organ dysfunction as well as patients with non-hemolytic febrile transfusion reactions, risk of HLA alloimmunization, platelet transfusion refractoriness, and cytomegalovirus transfusion-transmission risk. Result of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ost recommended way for ULR implementation was first, to exp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in cardiac surgery patients, second, ULR applied to platelet only, and lastly, ULR applied to both red blood cells and platelets. This study shows that ULR is a process for reducing transfusion reactions among Korean patients, however step-by-step implementation of ULR should be followed in case of Korea.
      번역하기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have been used in some Korean patients for prevention of non-hemolytic febrile transfusion reactions, HLA alloimmunization, platelet transfusion refractoriness, and cytomegalovirus transfusion-transmission risk. It is saf...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have been used in some Korean patients for prevention of non-hemolytic febrile transfusion reactions, HLA alloimmunization, platelet transfusion refractoriness, and cytomegalovirus transfusion-transmission risk. It is safer to provide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to all patients. This process is called universal leukocyte reduction (ULR). Although 21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lready implemented ULR as part of their blood safety policy, Korea has not yet introduced this process because of costs and lack of consensu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usage of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the usefulness of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the cost-effectiveness analyses of ULR and the method of ULR policy implementation for Korea. The method of this study includes the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experts meeting, interviews and survey using Delphi method. The annual average leukoreduced RBC components (2009-2011) comprised 13.2% of the total 1,762,291 units of RBC components and 43.5% of the total 1,593,953 units of platelet components in Korea. The cost-effectiveness analyses of universal leukoreduction of RBC components in Korean cardiac surgery patients showed favorable result. Therefore, leukoreduced red blood components were additionally recommended in cardiac surgery patients for reducing the overall risk of mortality and organ dysfunction as well as patients with non-hemolytic febrile transfusion reactions, risk of HLA alloimmunization, platelet transfusion refractoriness, and cytomegalovirus transfusion-transmission risk. Result of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ost recommended way for ULR implementation was first, to exp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in cardiac surgery patients, second, ULR applied to platelet only, and lastly, ULR applied to both red blood cells and platelets. This study shows that ULR is a process for reducing transfusion reactions among Korean patients, however step-by-step implementation of ULR should be followed in case of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