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비교민속학』의 (萌牙)
- II. 초기 김동욱 선생의 비교연구는 복식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 III. 최인학의 민담유형 연구는 비교민속학의 발판이 되었다.
- IV. 비교민속학회의 출범 시도
- V. 초기 비교민속학회의 연구활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11526
2024
Korean
380
KCI등재
학술저널
9-23(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비교민속연구에서 세계상민학(世界常民學)으로 -복(福田)사상과 세계평화-
성속(聖俗)의 이중구조를 통해 본 비교불교민속론 - 싯다르타 탄생담의 연꽃 모티브를 사례로 -
저항 혹은 포섭의 수단으로서의 신화와 역사 - 네팔의 라칸 타파 서사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