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狂’字 용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탐구하고 아울러 ‘광자정신’이 갖는 철학적, 예술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狂’자는 ‘敬’자와 마찬가지로 중국문화를 읽어낼 수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21911
2018
Korean
광자 ; 광기 ; 견자 ; 광견 ; 광자정신 ; kuang ; radical mind ; ultraconservative ; "Madness Spirit"
KCI등재
학술저널
127-152(2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狂’字 용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탐구하고 아울러 ‘광자정신’이 갖는 철학적, 예술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狂’자는 ‘敬’자와 마찬가지로 중국문화를 읽어낼 수 있는 ...
본고는 ‘狂’字 용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탐구하고 아울러 ‘광자정신’이 갖는 철학적, 예술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狂’자는 ‘敬’자와 마찬가지로 중국문화를 읽어낼 수 있는 또 다른 키워드로서, 중국문화에서 문인사대부들이 언급한 狂字는 의학적 차원의 미치광이는 아니다. 이 狂字는 어떤 관점에서 이해하느냐에 따라 부정적인 이해와 긍정적인 이해가 나타난다. 狂字를 유가의 중화미학과 禮法을 중심으로 하여 이해할 경우에는 부정적인 이해가 많다. ‘下學而上達’을 추구할 것을 강조하는 朱熹가 그 하나의 예다. 하지만 시·서·화 창작과 관련되어 이해된 狂字는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거나 혹은 자신만의 자유로운 정신을 표현하는 것과 연계되어 말해질 경우에는 긍정적인 이해가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創新적 예술창작을 꾀한 많은 예술가들은 이 같은 狂字에 담긴 狂氣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기도 하였는데, 특히 ‘狂者胸次’를 말한 왕수인의 견해는 이런 점의 싹을 틔운 것에 해당한다. 이처럼 狂字를 통해 드러난 ‘狂者精神’은 중국의 윤리, 철학, 예술적 측면에서 보면 비록 지향하는 뜻이 높다보니 실천성에서는 미진한 점이 있지만, 대부분 유가의 禮法을 지키지 않은 자유분방한 행동과 자신의 진정성에 입각한 정신적 역량을 자유롭게 펼치는 것, 기존의 진리라고 여겨진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무한하게 펼치게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explor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kuang" in the Oriental scriptures, focusing on the "kuang" discussed in the artistic or aesthetic dimension. This is because it is another keyword that can read Chinese culture like "respect". In Chine...
This essay explor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kuang" in the Oriental scriptures, focusing on the "kuang" discussed in the artistic or aesthetic dimension. This is because it is another keyword that can read Chinese culture like "respect". In Chinese culture, the photon mentioned by literary men is not a madman of medical discipline. The meaning of the "kuang" is extended to freely expressing his emotions while being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the art of poetry art, as well as being entrusted to his natural nature, or extended to a free spirit owner who performs free gestures on the level of acting proudly or arbitrarily. In this respect, many artists who are trying to create many innovative arts have positively understood this madness. The spirit of "kuang" revealed through this "kuang" is meant to be free from unfavorable behavior and infinite mental capacity that do not follow the rules of oil prices mostly in terms of ethics, philosophy, and art, but it is meaningless in practicality, And to infiltrate his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finitely without accepting what is considered to be an existing truth, and the lives and thoughts that they have done are the creative arts of artists who want to practice the supreme world where there are occasional distances from human real life It was also the basis of spiri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贄, "李贄文集 (7책)"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0
2 陳麗麗, "論狂作爲美學範疇在中國古代作家論中的體現" 河南大學校文學院 2009
3 童偉, "論狂-泰州學派與明淸美學範疇硏究" 揚州大學 2006
4 전상모, "왕양명의 ‘狂者’ 정신과 그 자득 경지" 한국동양예술학회 (40) : 297-315, 2018
5 趙士林, "심학미학" 학고방 2017
6 오다스스무, "동양의 광을 찾아서" 르네상스 2004
7 전병술, "니체와 이탁오 - 광자정신을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27) : 175-198, 2010
8 劉夢溪, "광자의 탄생" 글항아리 2015
9 미셀 푸코, "광기의 역사" 나남출판 2003
10 黃賓虹, "美術叢書 (1·2·3)" 江蘇古籍出版社 2000
1 李贄, "李贄文集 (7책)"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0
2 陳麗麗, "論狂作爲美學範疇在中國古代作家論中的體現" 河南大學校文學院 2009
3 童偉, "論狂-泰州學派與明淸美學範疇硏究" 揚州大學 2006
4 전상모, "왕양명의 ‘狂者’ 정신과 그 자득 경지" 한국동양예술학회 (40) : 297-315, 2018
5 趙士林, "심학미학" 학고방 2017
6 오다스스무, "동양의 광을 찾아서" 르네상스 2004
7 전병술, "니체와 이탁오 - 광자정신을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27) : 175-198, 2010
8 劉夢溪, "광자의 탄생" 글항아리 2015
9 미셀 푸코, "광기의 역사" 나남출판 2003
10 黃賓虹, "美術叢書 (1·2·3)" 江蘇古籍出版社 2000
11 "經書"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75
12 胡學春, "眞 : 泰州學派美學範疇"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9
13 王畿, "王龍溪全集" 華文書局 1970
14 吳光, "王陽明全集" 上海古籍出版社 1992
15 左東嶺, "王學與中晩明士人心態" 商務印書館 2014
16 조민환, "狂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본 儒家 속의 道家的 要素 - 狂을 통한 공자와 장자의 공존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49) : 177-206, 2012
17 張節末, "狂與逸-中國古代知識分子的兩種人格特徵" 東方出版社 1995
18 姚文放, "泰州學派美學思想史"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8
19 朱熹, "朱子大全 (10책)" 中華書局 1985
20 王伯敏, "書學集成 (1~3)" 河北美術出版社 2002
21 趙衛, "晩明狂禪思潮與文學思想硏究" 巴蜀書社 2007
22 徐渭, "徐渭集 (4책)" 中華書局 1992
23 "十三經注疏" 藝文印書館 2000
24 정인재, "傳習錄" 청계 2001
25 尙永亮, "中國文化奇人傳" 河北敎育出版社 2005
「莊子序」 眞僞 問題와 郭象의 『莊子』 編輯에 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665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