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여러 곳에서 흙을 이용하여 건축공간을 구축해오고 있다. 이미 구석기 시대부터 천연동굴이나 지하 움집을 이용하였으며 고대 튜니지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370071
1992
Korean
540
학술저널
5-1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류는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여러 곳에서 흙을 이용하여 건축공간을 구축해오고 있다. 이미 구석기 시대부터 천연동굴이나 지하 움집을 이용하였으며 고대 튜니지와 ...
인류는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여러 곳에서 흙을
이용하여 건축공간을 구축해오고 있다. 이미 구석기 시대부터 천연동굴이나
지하 움집을 이용하였으며 고대 튜니지와 중국인들은 극심한 온도 변화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정을 둔 지하공간에서 생활하였다.
흙은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원재료를 건축 부재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적게 들고 다양한 생산 조건에 적응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생산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또한 흙은 화재에 강하고 인체 건강에도 좋은 경제적인 재료이다.
본고에서는 인간 환경 측면에서 먼저 인간 환경을 위한 흙의 성질을 고찰하고
흙을 이용하여 최근에 구축된 건축공간을 살펴본 후 인간 환경을 위한 흙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 보고자 한다.
특집 - 흙과 건축 : 흙으로 짖는 집 ( Clay Dwellings )
특집 - 흙과 건축 : 지하도시공간의 개발과 문제 ( Developments of Urban Underground Space and Problems )
특집 - 흙과 건축 : 지하공간 개발과 활용방안 ( The Role of Underground Space in Urban Ar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