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에 대한 심리학적인 측면의 가설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중심적인 정설이라고 할만한 것은 아직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행동의 한 결과로 볼 수 있는 자살은 그런 결정을 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자살에 대한 심리학적인 측면의 가설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중심적인 정설이라고 할만한 것은 아직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행동의 한 결과로 볼 수 있는 자살은 그런 결정을 내...
자살에 대한 심리학적인 측면의 가설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중심적인 정설이라고 할만한 것은 아직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행동의 한 결과로 볼 수 있는 자살은 그런 결정을 내리게 되는 과정에 복잡하게 분화된 인간 정신과 개인의 다양성이 간여하게 되므로 어떤 정해진 과정이나 원인은 찾아내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까지 제시된 의견은 대체적으로 내적인 공격심, 발달 초기의 원만하지 못한 대상 혹은 대인관계, 현 상황에서의 좌절이나 절망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나 적응이 어려운 여건, 현재 대인관계에서의 소망이나 의사전달, 사회적인 혼란이나 소외감이 자살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 자살에는 재탄생, 헤어진 사람과의 재결합, 복수 등의 한상적인 소망이 동반될 수도 있다고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psychological aspects, many theories of suicide were reviewed There was no single comprehensive theory that could explain diverse suicides The theories said some factors were related to suicides such as aggression disturbance of object relati...
From the psychological aspects, many theories of suicide were reviewed There was no single comprehensive theory that could explain diverse suicides The theories said some factors were related to suicides such as aggression disturbance of object relations in early life negative feeling and adjustmental problem at current situation alienatisn from the society Suicides might accompany several fantasies that included reunion rebirth. abandonment, omnipotent mastery, retroflexed murder self-punish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editors.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volume 3 2nd ed. New York" Basic Books 1974.p.743-50.
2 "editors.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volume 3 2nd ed. New York" Basic Books 1974.p.743-50.
3 "editor.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14. London" 1917.p.237-60.
4 "editor. The meaning of death. New York" McGraw-Hill 1959.
5 "Zilboorg G. Differential diagnostic types of suicide. Archives of Neurology and Psychiatry 1936" 270-91,
6 "Wohl M. Atempted suicide and self-mutilation in adolescence some observations from a psychoanalytic research pro-ject. Int J Psychoanal 1972" 179-83,
7 "University of Chicago Pres" 1926.
8 "Sullivan HS. Clinical studies in psychiatry. New York" 1956.
9 "Menninger KA. Psychoanalytic Aspects of Suicide. Int J Psycho-Anal 1933" 376-90,
10 "Maltsberger J. Suicide risk. The formulation of clini-cal judgement.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 1986.
1 "editors.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volume 3 2nd ed. New York" Basic Books 1974.p.743-50.
2 "editors.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volume 3 2nd ed. New York" Basic Books 1974.p.743-50.
3 "editor.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14. London" 1917.p.237-60.
4 "editor. The meaning of death. New York" McGraw-Hill 1959.
5 "Zilboorg G. Differential diagnostic types of suicide. Archives of Neurology and Psychiatry 1936" 270-91,
6 "Wohl M. Atempted suicide and self-mutilation in adolescence some observations from a psychoanalytic research pro-ject. Int J Psychoanal 1972" 179-83,
7 "University of Chicago Pres" 1926.
8 "Sullivan HS. Clinical studies in psychiatry. New York" 1956.
9 "Menninger KA. Psychoanalytic Aspects of Suicide. Int J Psycho-Anal 1933" 376-90,
10 "Maltsberger J. Suicide risk. The formulation of clini-cal judgement.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 1986.
11 "Klein M. A contribution to the psychogenesis of manic-depressive states. Int J Psychoanal 1935" 145-74,
12 "Jacobson E. Contribution to the metapsychology of psychotic identifications. J Am Psychoanal Asoc 1954" 239-62,
13 "Hendin H. Psychodynamics of suicide. J Nerv Ment Dis 1963" 236-44,
14 "Friedlander K. On the longing to die. Int J Psyc-- 14 - hoanal 1940" 416-26,
15 "Coper SH. A Preliminary Report on De-fenses and Conflicts Asociated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J Amer Psychoanal Assn 1986" 863-89,
16 "Adler A. Selbstmord.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1958" 57-61,
17 "Adam KS. Early family influences on suicidal beha-viour. Ann NY Acad Sci 1986" 63-7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4 | 1.3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