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 효과 = The Effect of Parents’ Negative Parenting Style on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martphone Depend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5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rial mediation of self-esteem and smartphone 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s’ aggression.
      Methods: We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and used the data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ayes’ SPSS PROCESS Macro (Model 6).
      Results: The mediation of smartphone dependenc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but the mediation of self-esteem was not. Negative parenting style significantly affected adolescents’ aggression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self-esteem and smartphone dependency.
      Conclusions: Appropriate interventions should be prepared to help adolescents increase their self-esteem and reduce smartphone dependency, thus reducing the aggression that a negative parenting style induces.
      번역하기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rial mediation of self-esteem and smartphone 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s’ aggression. Methods: We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18 Korean Ch...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rial mediation of self-esteem and smartphone 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s’ aggression.
      Methods: We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and used the data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ayes’ SPSS PROCESS Macro (Model 6).
      Results: The mediation of smartphone dependenc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but the mediation of self-esteem was not. Negative parenting style significantly affected adolescents’ aggression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self-esteem and smartphone dependency.
      Conclusions: Appropriate interventions should be prepared to help adolescents increase their self-esteem and reduce smartphone dependency, thus reducing the aggression that a negative parenting style indu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차자료분석을 활용한 횡단적 서술연구이다. 2018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교 1패널의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의존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로 인한 청소년의 공격성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높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차자료분석을 활용한 횡단적 서술연구이다. 2018 한국아동·...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차자료분석을 활용한 횡단적 서술연구이다. 2018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교 1패널의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의존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로 인한 청소년의 공격성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높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명 ; 이은주,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3-333, 2017

      2 현명선 ; 남경아,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간호교육학회 15 (15): 293-301, 2009

      3 김경호,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239-279, 2019

      4 우유라 ; 노충래,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03-227, 2014

      5 이예진 ; 김경범 ; 허민희 ; 노진원 ; 임유미,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부모·친구 요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1 (21): 699-706, 2021

      6 임진섭, "청소년비행과 공격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2SLS(2 Stage Least Square Method)을 이용한 분석-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01-126, 2009

      7 전혜숙 ; 전종설,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진 방안: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459-494, 2017

      8 배성만 ; 홍지영 ; 현명호, "청소년 또래관계 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25-344, 2015

      9 김동희, "일반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 관련 보호요인 분석: 극복력, 부모 양육행동, 학교 생활 특성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21 (21): 23-30, 2013

      10 유미영 ; 홍혜영,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915-937, 2010

      1 김태명 ; 이은주,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3-333, 2017

      2 현명선 ; 남경아,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간호교육학회 15 (15): 293-301, 2009

      3 김경호,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239-279, 2019

      4 우유라 ; 노충래,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03-227, 2014

      5 이예진 ; 김경범 ; 허민희 ; 노진원 ; 임유미,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부모·친구 요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1 (21): 699-706, 2021

      6 임진섭, "청소년비행과 공격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2SLS(2 Stage Least Square Method)을 이용한 분석-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01-126, 2009

      7 전혜숙 ; 전종설,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진 방안: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459-494, 2017

      8 배성만 ; 홍지영 ; 현명호, "청소년 또래관계 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25-344, 2015

      9 김동희, "일반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 관련 보호요인 분석: 극복력, 부모 양육행동, 학교 생활 특성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21 (21): 23-30, 2013

      10 유미영 ; 홍혜영,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915-937, 2010

      11 조붕환 ; 임경희,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729-746, 2003

      12 김동일 ; 정여주 ; 이주영 ; 김명찬 ; 이윤희 ; 강은비 ; 금창민 ; 남지은,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3 (13): 629-644, 2012

      13 박은주 ; 최말옥,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비행경험 및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우울 및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219-238, 2014

      14 김재엽 ; 정윤경,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 및 폭력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69-197, 2007

      15 이영화 ; 김경연,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공격성 간의 관계에 대한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50 (50): 1-10, 2012

      16 문두식 ; 최은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13-236, 2015

      17 장혜림 ; 정익중,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0) : 33-61, 2013

      18 Diener E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19 Jin MR, "The effects of attachment trauma, self-esteem, depression, self-regul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Focusing on ‘escape theory model’" 1 (1): 31-53, 2016

      20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1 Chan SM, "Social competence of elementary-school children : Relationships to maternal authoritativeness, supportive maternal responses and children’s coping strategies" 37 (37): 524-532, 2011

      2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Smartphone overdependence surve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3 Modrcin-Talbott MA, "Self-esteem in adolescents treated in an outpatient mental health setting" 21 (21): 159-171, 1998

      24 Zeigler-Hill V, "Self-esteem and alcohol use : Implications for aggressive behavior" 15 (15): 1103-1117, 2017

      25 Jia S,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proactive versus reactive aggression among Chinese preschool children" 28 (28): 152-157, 2014

      26 Min GY, "Rel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nd anxiety and self-esteem" 5 (5): 1-16, 2013

      27 Corsano P,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 The contribu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xperience of being alone" 41 (41): 341-353, 2006

      28 Masud H, "Parenting styles and aggression among young adolescents :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55 (55): 1015-1030, 2019

      29 Lei H,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 A meta-analysis of mainland Chinese children and youth" 94 : 446-455, 2018

      30 Kawabata Y,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associated with relational agg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conceptual analysis and meta-analytic review" 31 (31): 240-278, 2011

      31 Han EY, "Longitudinal study on the violence of early adolescent" 48 : 206-231, 2014

      32 Kim KI,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Jung Ang Juk Sung Publisher 1984

      33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User Guid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34 Hayes A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2017

      35 Dodge KA,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Wiley 719-788, 2006

      36 Greeno EJ, "Effects of a foster parent training intervention on child behavior, caregiver stress, and parenting style" 25 (25): 1991-2000, 2016

      37 Beck A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Hoeber Medical Division, Harper & Row 1967

      38 Billieux J, "Can disordered mobile phone use be considered a behavioral addiction? An update on current evidence and a comprehensive model for future research" 2 (2): 156-162, 2015

      39 Ministry of Education, "2019 School Violence Survey" Ministry of Educ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