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사회가 지식정보사회에서 창의성 중심사회로 변화하면서 사회 각 분야에서 창의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양성이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학교육은 내용중심의 교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93691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25(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사회가 지식정보사회에서 창의성 중심사회로 변화하면서 사회 각 분야에서 창의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양성이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학교육은 내용중심의 교육...
최근 우리사회가 지식정보사회에서 창의성 중심사회로 변화하면서 사회 각 분야에서 창의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양성이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학교육은 내용중심의 교육을 탈피하여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에 있어 새로운 교육환경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교육의 흐름에 따라 학생들이 거주하고 있는 기숙공간을 교육공간으로 전환하여 정규 교과과정의 학습활동과 비교과 학습활동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Residential College가 설립되고 있다. Residential College는 학생들의 창의적인 여가활동에 기여하며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욕구와 가치를 충족시켜 대학생활의 적응을 향상시키는 대학 교육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의 경우 교육과정과 예산의 문제로 인해 소수의 대학만이 Residential College를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며, 각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Residential College의 모델 및 프로그램의 구축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의 Residential College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대학 중 최근 다양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Residential College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의 사례를 통해 국내 Residential College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ur society changes from a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to a creative-oriented society, the cultivation of creative of talent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At this, university education is breaking away from conte...
As our society changes from a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to a creative-oriented society, the cultivation of creative of talent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At this, university education is breaking away from content-centered education and new educational environment are being searched for in relation to curriculums and educational methods. Following such trends of university education, dormitory spaces for student residency are being changed in to educational spaces and residential colleges that integrally operate learning activities of regular curriculums together with comparative learning activities are being established. Residential colleges contribute to the creative leisure activities of students and satisfy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esires and values that help people lead healthy and happy lives and thus they are becoming an important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enhances university life adjustment. However, due to curriculum and budget issues, only a small number of universities in domestic are operating residential colleges and there is a lack of constructed models and programs for residential colleges that can be applied to each respective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observed the statuses of domestic and foreign residential college and attempted to search for effective management plans for domestic residential colleges through the case of Paramita College of Dongguk Univers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복영, "홀리스틱 교육과정,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와 방법" 47-59, 2016
2 김주관, "정주대학(Residential College)의 기원과 변화 ― 영국의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1-37, 2014
3 유신환, "정주대학(Residential College)스포츠여가 참여와 웰니스, 생활만족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33-145, 2012
4 이상덕, "정주대학(Residential College) 여가프로그램 참여와 웰니스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6 (36): 118-131, 2012
5 김지일, "정주대학 교육과 대학생활 적응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분석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12 (12): 237-261, 2014
6 공효순, "우리나라 기숙형 대학(Residence College)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 (20): 67-84, 2016
7 임병노, "생활-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경험과 대학 1학년 교육을 위한 설계원칙: 교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705-731, 2016
8 김정민, "대학생의 비교과활동과 기숙사 거주 경험 여부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4 (24): 381-400, 2018
9 전하람, "대학생의 기숙사 거주가 초기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37-63, 2017
10 이상덕, "기숙형 대학생이 인지하는 여가유능감과 생활만족 및 여가이득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5 (35): 7-18, 2011
1 김복영, "홀리스틱 교육과정,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와 방법" 47-59, 2016
2 김주관, "정주대학(Residential College)의 기원과 변화 ― 영국의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1-37, 2014
3 유신환, "정주대학(Residential College)스포츠여가 참여와 웰니스, 생활만족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33-145, 2012
4 이상덕, "정주대학(Residential College) 여가프로그램 참여와 웰니스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6 (36): 118-131, 2012
5 김지일, "정주대학 교육과 대학생활 적응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분석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12 (12): 237-261, 2014
6 공효순, "우리나라 기숙형 대학(Residence College)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 (20): 67-84, 2016
7 임병노, "생활-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경험과 대학 1학년 교육을 위한 설계원칙: 교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705-731, 2016
8 김정민, "대학생의 비교과활동과 기숙사 거주 경험 여부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4 (24): 381-400, 2018
9 전하람, "대학생의 기숙사 거주가 초기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37-63, 2017
10 이상덕, "기숙형 대학생이 인지하는 여가유능감과 생활만족 및 여가이득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5 (35): 7-18, 2011
11 변수연, "기숙형 대학 프로그램의 방법과 효과 탐색:한 지방 사립대의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741-770, 2014
12 송혁준, "기숙형 대학 지원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학진흥재단 2014
13 한유진, "기숙사 대학생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적용 및 효과 - 대학생활 적응 및 주관적 생활만족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173-182, 2018
14 이외선, "기숙사 거주 대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483-492, 2016
15 김춘구, "거주만족도에 의한 대학기숙사의 기본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16 Kuh, G. D., "Student Sucess in College : Creating Conditions that Matter" Jossey-Bass 2005
17 Domizi, D. P., "Student Perceptions about their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in a First Year Residential Learning Community" 20 (20): 97-110, 2008
18 Stassen, M.L.A., "Student Outcome : The Impact of Varying Living – Learning Community Models" 44 (44): 581-613, 2003
19 최혜봉, "Residential college에서 효과적인 인성 교육을 위한 룸메이트 배정 문제" 한국융합학회 8 (8): 319-330, 2017
20 Tinto, V., "Learning Better Together. The Impact of Learning Communities on Student Success in Higher Education" 9 (9): 48-53, 2000
21 Yao, C. W., "Influence of Academically Based Living Learning Communities on Men’s Awaren ess of and Appreciation for Diversity" 39 (39): 32-47, 2013
22 Katz, 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Predictors of College Adjustment : Prevention and Interventi on" 36 (36): 56-65, 2017
23 Inkelas, K. K., "Higher Educatio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26" 1-55, 2011
24 Ellett, T., "Faculty Perspectives on Creating Community in Residence Halls" 38 (38): 26-39, 2011
25 Rockey, M., "Exploring the Role of First-Year Experiences in enhancing Equity & Outcome. Insigh ts on Equity and Outcomes" 14 : 1-14, 2016
26 Inkelas, K. K., "Difference in Student Outcomes by Type of L earning Programs : The Development of an Empirical Typ ology" 49 (49): 495-512, 2008
신입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를 위한 자가간호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e-헬스리터러시, 정서, 및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7 | 0.7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