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전-사후 PPAT 그림검사 변화로 본 초등학교 저학년 빈곤가정 아동의 단기 집단미술치료의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3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방학기간 동안 초등학교 저학년 빈곤가정 아동들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제공하고 사전-사후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나무에서 사과따는 사람:이하 PPAT) 그림검사를 통해 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방학기간동안 적절한 교육과 여가활동을 갖기 어려운 저소득층 아동을 위해 복지사업기관의 심리정서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제공되었다. 이를 위해 전문 미술치료사들은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단기 집단미술치료를 기획하였으며, 향후 복지기관이 제공하는 방학 프로그램에 미술치료사가 제공하는 집단미술치료가 지속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집단미술치료에 총 158명의 아동이 참여하였고, 이중 사전-사후 PPAT 검사에 모두 참여한 아동 110명의 그림에서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그림 자료를 제외하고 총 102명 아동의 그림 자료를 FEATS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형식척도)를 통해 분석했다. 집단미술치료는 방학기간의 특성상 학급 당 총 6회기로 한 회기 당 90분씩 2주 동안 집중적으로 제공되었다. 그 결과,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아동들의 PPAT 그림검사 사전-사후 반응에서, FEATS의 14가지 요소 중 사실성, 발달, 문제해결력, 3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참여 아동의 인지적 발달과 문제해결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방학기간 동안 초등학교 저학년 빈곤가정 아동들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제공하고 사전-사후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나무에서 사과따는 사람:이하 PPAT) 그림검사를 통해 그 ...

      본 연구는 방학기간 동안 초등학교 저학년 빈곤가정 아동들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제공하고 사전-사후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나무에서 사과따는 사람:이하 PPAT) 그림검사를 통해 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방학기간동안 적절한 교육과 여가활동을 갖기 어려운 저소득층 아동을 위해 복지사업기관의 심리정서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제공되었다. 이를 위해 전문 미술치료사들은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단기 집단미술치료를 기획하였으며, 향후 복지기관이 제공하는 방학 프로그램에 미술치료사가 제공하는 집단미술치료가 지속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집단미술치료에 총 158명의 아동이 참여하였고, 이중 사전-사후 PPAT 검사에 모두 참여한 아동 110명의 그림에서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그림 자료를 제외하고 총 102명 아동의 그림 자료를 FEATS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형식척도)를 통해 분석했다. 집단미술치료는 방학기간의 특성상 학급 당 총 6회기로 한 회기 당 90분씩 2주 동안 집중적으로 제공되었다. 그 결과,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아동들의 PPAT 그림검사 사전-사후 반응에서, FEATS의 14가지 요소 중 사실성, 발달, 문제해결력, 3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참여 아동의 인지적 발달과 문제해결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hort-term group art therapy for the ear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drawing test. It was specifically designed as a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ho had no proper access to educational enrichment opportunities and leisure activities during their summer break. The professional art therapists tried to lay out a basis of stable continuance of the group art therapy as a supporting program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PAT drawing test was administered. One hundred fifty-eight children were involved in the summer school, and 110 children participated in both pre- and pro-test of PPAT. After excluding eight children’s drawings due to their unsuitability for analysis, one hundred-two children’s drawings were analyzed by FEATS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Participants of the short-term intensive group art therapy showed thre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ut of 14 elements of FEATS in the pre- and post-test PPAT analysis: realism, development level, and problem-solving.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d that the short-term intensive group art therapy is significantly effective to promote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hort-term group art therapy for the ear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drawing test. It was specifically designed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hort-term group art therapy for the ear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drawing test. It was specifically designed as a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ho had no proper access to educational enrichment opportunities and leisure activities during their summer break. The professional art therapists tried to lay out a basis of stable continuance of the group art therapy as a supporting program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PAT drawing test was administered. One hundred fifty-eight children were involved in the summer school, and 110 children participated in both pre- and pro-test of PPAT. After excluding eight children’s drawings due to their unsuitability for analysis, one hundred-two children’s drawings were analyzed by FEATS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Participants of the short-term intensive group art therapy showed thre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ut of 14 elements of FEATS in the pre- and post-test PPAT analysis: realism, development level, and problem-solving.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d that the short-term intensive group art therapy is significantly effective to promote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표한순,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또래관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531-553, 2016

      2 박유선, "현실치료를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내외 통제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853-874, 2019

      3 이학준,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역할" 한국문화경제학회 21 (21): 3-30, 2018

      4 최혜린,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PPAT) 검사 반응 특성"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445-465, 2019

      5 박재신,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활동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129-157, 2013

      6 이정현,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에 따른 PPAT 검사반응특성" 12 (12): 171-196, 2012

      7 임주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반응 특성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371-387, 2019

      8 이미경,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력 예측을 위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 타당화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5 (25): 647-669, 2018

      9 신명진, "집단미술치료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학령기아동의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5 (25): 245-262, 2018

      10 박경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173-192, 2016

      1 표한순,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또래관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531-553, 2016

      2 박유선, "현실치료를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내외 통제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853-874, 2019

      3 이학준,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역할" 한국문화경제학회 21 (21): 3-30, 2018

      4 최혜린,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PPAT) 검사 반응 특성"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445-465, 2019

      5 박재신,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활동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129-157, 2013

      6 이정현,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에 따른 PPAT 검사반응특성" 12 (12): 171-196, 2012

      7 임주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반응 특성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371-387, 2019

      8 이미경,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력 예측을 위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 타당화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5 (25): 647-669, 2018

      9 신명진, "집단미술치료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학령기아동의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5 (25): 245-262, 2018

      10 박경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173-192, 2016

      11 방수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적응 영향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69-99, 2017

      12 김서현,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만족이 학습습관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통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7) : 119-146, 2017

      13 김선희, "저소득 빈곤가정 아동의 심리정서지원을 위한 여름학교 집단미술프로그램(Mind Art Program)의 효과"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41-55, 2016

      14 한상철,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위험행동과 적응유연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완충효과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3 (13): 69-90, 2016

      15 김선주, "인터넷 과몰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PPAT 검사 이론적 고찰" 14 (14): 141-159, 2014

      16 정대영, "인지행동미술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술치료학회 22 (22): 1133-1160, 2015

      17 김서안,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555-583, 2016

      18 Lowenfeld, V.,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미진사 1997

      19 Cruz F, R., "예술치료에서의 평가와 연구" 학지사 2015

      20 조유리, "아동빈곤이 가정내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5 (15): 369-390, 2011

      21 여유진, "아동빈곤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2 이모영, "미술치료에서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과 그 치료적 측면에 관한 연구: 콜라주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95-122, 2014

      23 Wadeson, H., "미술심리치료학" 시그마프레스 2008

      24 최혜원,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 27 (27): 549-570, 2019

      25 이미선,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저학년 아동의애착안정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1113-1135, 2013

      26 Rockwell, P., "The utility of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in assesment for substance use disorder" 23 (23): 104-111, 2006

      27 Gantt, L.,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 Therating manual" Gargoyle Press 1998

      28 Amy, B., "Noramative study of the PPAT assessment on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Florida State College of Visual Arts 2007

      29 Munley, M., "Comparing the PPAT drawings of boys with ADHD and age-matched controls using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19 (19): 69-76, 2002

      30 보건복지부,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9

      31 이현주, "2018년 빈곤통계연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