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e-헬스리터러시, 정서, 및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3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e-헬스 리터러시, 정서 및 웰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여대 보육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여대생 30명에게 6차시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 2번의 설문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토대로 SPSS 26.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e-헬스 리터러시는 수업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부정적 정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웰니스 지표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웰니스를 제외하고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직업적 웰니스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학 정규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수업은 건강한 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유용한 수업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e-헬스 리터러시, 정서 및 웰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e-헬스 리터러시, 정서 및 웰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여대 보육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여대생 30명에게 6차시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 2번의 설문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토대로 SPSS 26.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e-헬스 리터러시는 수업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부정적 정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웰니스 지표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웰니스를 제외하고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직업적 웰니스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학 정규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수업은 건강한 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유용한 수업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program on e-health literacy, affect, and wellness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30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t the K women’s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online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 for 6 week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paired t-test conducted using SPSS 26.0 program based on the pre and post data. After participating in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program, e-health literacy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negative affec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hysic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cognitive wellness, job wellness with the exception of social wellnes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classes in regular college class curriculum a useful teaching strategy for fostering healthy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program on e-health literacy, affect, and wellness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30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t the K women’s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online 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program on e-health literacy, affect, and wellness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30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t the K women’s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online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 for 6 week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paired t-test conducted using SPSS 26.0 program based on the pre and post data. After participating in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program, e-health literacy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negative affec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hysic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cognitive wellness, job wellness with the exception of social wellnes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classes in regular college class curriculum a useful teaching strategy for fostering healthy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혜경, "혼합형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529-538, 2015

      2 손찬희, "학습권 보장을 위한 온라인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 (2): 9-22, 2016

      3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코로나19로 인한 대학개강 이후의 학사운영 현황"

      4 강진호,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289-297, 2020

      5 김미은,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19-541, 2020

      6 정현철,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중등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사례 및 과제 연구" 학교체육연구소 8 (8): 159-175, 2020

      7 조경자, "정서 상태와 얼굴표정간의 연결 능력의 발달" 한국감성과학회 10 (10): 127-138, 2007

      8 한지숙, "웰니스 프로그램 효과 분석 :힐리언스 힐링 다이어트 캠프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국웰니스학회 8 (8): 133-141, 2013

      9 김남영, "온라인 혼합학습을 활용한 간호과정 교과목의 운영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843-2855, 2016

      10 차지은, "온라인 학습을 병행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433-446, 2020

      1 오혜경, "혼합형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529-538, 2015

      2 손찬희, "학습권 보장을 위한 온라인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 (2): 9-22, 2016

      3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코로나19로 인한 대학개강 이후의 학사운영 현황"

      4 강진호,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289-297, 2020

      5 김미은,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19-541, 2020

      6 정현철,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중등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사례 및 과제 연구" 학교체육연구소 8 (8): 159-175, 2020

      7 조경자, "정서 상태와 얼굴표정간의 연결 능력의 발달" 한국감성과학회 10 (10): 127-138, 2007

      8 한지숙, "웰니스 프로그램 효과 분석 :힐리언스 힐링 다이어트 캠프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국웰니스학회 8 (8): 133-141, 2013

      9 김남영, "온라인 혼합학습을 활용한 간호과정 교과목의 운영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843-2855, 2016

      10 차지은, "온라인 학습을 병행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433-446, 2020

      11 최순희,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Lab실-임상실습 혼합실습교육 연계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40-348, 2014

      12 김정연, "온라인 창의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원 13 (13): 1-31, 2015

      13 김성렬, "오프라인과온라인수업효과분석" 9 : 49-66, 2004

      14 김성재, "예비유아교사의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67-191, 2009

      15 김지윤, "예비 보육교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건강증진행위 이행" 한국웰니스학회 7 (7): 165-179, 2012

      16 송영은, "스포츠건강체력 수업 참여에 따른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의 변화" 한국융합학회 9 (9): 351-356, 2018

      17 박선해, "생활양식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23-39, 2010

      18 하영미,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69-376, 2019

      19 이정미, "보육교사의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83-109, 2016

      20 신현정, "보육교사의 정서성과 심리적 안녕감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177-200, 2016

      21 이경미, "보육교사의 근골격계 질환실태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2 구은미, "보육교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 16 (16): 33-45, 2007

      23 나성식, "보육교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307-328, 2013

      24 김혜금, "보육교사의 건강상태, 건강행동과 보육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149-166, 2011

      25 기영화,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과 블랜디드 러닝 수업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연구: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 (1): 63-80, 2005

      26 정영미,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 사항"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685-698, 2020

      27 황아름, "대학생의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 32 (32): 165-174, 2019

      28 이용주, "다문화학급 담당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55-78, 2016

      29 "남성보육교사0.7%, 성불균형한 환경 이대로 괜찮을까?"

      30 최문종, "근로자를 위한 웰니스지표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46 (46): 69-78, 2016

      31 노미영,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하는 여대생의 인지된 운동능력과 운동정서 및 수업만족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267-278, 2017

      32 김성은,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대한 개념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58-570, 2013

      33 박동진, "개인의 건강정보지향,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건강 관련 행위의 관계" 한국PR학회 17 (17): 379-413, 2013

      34 이병관, "개인의 e-헬스 리터러시(e-Health Literacy)가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89-125, 2010

      35 Stellefson, M., "eHealth literacy among college students : A systematic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eHealth education" 13 (13): e102-, 2011

      36 Norman, C. D., "eHEALS : Thee Health literacy scale" 8 (8): e27-, 2006

      37 이성심, "e-헬스 리터러시, 주관적 건강상태 및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 추구행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2 (12): 55-67, 2017

      38 Ryan, R. M.,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52 (52): 141-166, 2001

      39 Keller, J. M.,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3

      40 Ivanitskaya, 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etencies of information age students: Results from the interactive online research readiness self-assessment (RRSA)" 8 (8): e6-, 2006

      41 Hanin, Y., "Emotioninsport : The individual zones of optimal functioning (IZOF) model" 1 : 739-750, 2004

      42 Kalat, J., "Emotion" Wadsworth Publishing 2011

      43 Xie, B., "Effects of ane Health literacyinter vention for olderadults" 13 (13): e90-, 2011

      44 Ghaddar, S. F., "Adolescent health literacy : The importance of credible sources for online health information" 82 (82): 28-36, 2012

      45 Hall, G., "A tale of two pandemics : How will COVID-19 and global trends in physical in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affect one another?" 2020

      46 Mackinnon, A., "A short form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Evaluation of factorial validity and ivariance across demographic variables in a community sample." 27 (27): 405-416, 1999

      47 김주영, "2015년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최종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48 김성문, "12주간 교양체육 스포츠워킹 참여자들의 정서변화 질적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 (68) : 347-360,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