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 개방형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방송 플랫폼” 표준에 따라서 개발될 수 있는 다양한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형식과 관계를 규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9330
2017
Korean
567
학술저널
22-25(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 개방형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방송 플랫폼” 표준에 따라서 개발될 수 있는 다양한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형식과 관계를 규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
본 논문은 “ 개방형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방송 플랫폼” 표준에 따라서 개발될 수 있는 다양한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형식과 관계를 규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델을 소개한다. 스마트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한 클라우드 방송 플랫폼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동작하기 위해 클라우드 방송 환경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형식을 분류하고 실행 및 종료 방법과 생명 주기를 정의하며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동작 관계를 규정하는 등의 모델 정립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방송 애플리케이션을 방송 수신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방송 독립형 및 연동형으로 분류하고, 각 애플리케이션의 생성과 종료를 위한 생명주기와 각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한 상호 작용정책을 규정한다. 또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의 형식 및 우선순위 등을 애플리케이션에 지정할 수 있는 관리정책을 정의한다. 이러한 모델 정의를 바탕으로 표준을 적용한 클라우드 방송 테스트 플랫폼을 구현하고 다양한 형태의 클라우드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모델 정의에 따르는 기본 동작 시나리오 및 유효성을 검증한 사례를 소개한다.
다양한 해시 구성을 활용하는 HEVC 스크린 콘텐츠 코딩 화면 내 블록 카피 기법의 코딩 성능 분석
SAR 영상 목표물 포즈 각도 추정을 위한 딥 콘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다중 편광 SAR 영상 목표물 인식을 위한 딥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LSTM-RNN 기반 음성합성을 위한 파라미터 생성 알고리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