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南海岸의 民謠 硏究(巨濟篇)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253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 1. 民謠는 言語 文化다.
      • 2. 朝鮮時代 俗된 노래로 身分上 落点이 찍혔다.
      • 3. 民謠는 時의 祖宗이다.
      • 4. 時唱이나 民謠는 想念的인 노래로 마음을 기쁘게 한다.
      • Ⅰ. 序論
      • 1. 民謠는 言語 文化다.
      • 2. 朝鮮時代 俗된 노래로 身分上 落点이 찍혔다.
      • 3. 民謠는 時의 祖宗이다.
      • 4. 時唱이나 民謠는 想念的인 노래로 마음을 기쁘게 한다.
      • 5. 綜合的인 精神文化 藝術이 우리의 民謠다.
      • 6. 民謠의 흐름과 內面을 알아본다.
      • 7. 섬地方의 民謠는 大部分 陸地에서 들어왔다.
      • Ⅱ. 內陸을 통해서 流入된 代表的인 노래
      • 1. 강강술래의 由來와 놀이
      • 2. 달을 노래한 강강술래
      • 3. 壬辰亂때 李舜臣 將軍이 戰術로 使用한 강강술래
      • 4. 農謠
      • 5. 거제도에 10대 평야지가 있었다.
      • 6. 모찌는 노래
      • 7. 하청지역의 모찌는 노래
      • 8. 모심기 노래
      • Ⅲ. 鄕土的인 民謠
      • 1. 韓日合 後 日本人들에 의해 民俗信仰과 民謠가 없어졌다.
      • 2. 거제의 뱃노래
      • 3. 豊漁祭(용왕굿)
      • 4. 神廳
      • 5. 우리가락의 뱃노래
      • 6. 다음은 고기잡을 때 부르는 노래다.
      • 7. 그물질 소리
      • 8. 고기가 그물에 걸려있는 것을 잡아 올릴 때 부르는 노래
      • 9. 船遊歌
      • 10. 굴까로 가세
      • 11. 시리시리 실로롱
      • 12. 동그랑 땡
      • 13. 思慕歌
      • 14. 思母歌
      • 15. 시집살이 노래
      • Ⅳ. 結論
      • 1. 文化는 山이나 江, 바다를 境界로 하여 地域特性에 맞게 發展되었다.
      • 2. 民謠는 地域的인 言語 文化다.
      • 3. 우리 民謠는 藝術에 뛰어난 民族이다.
      • 4. 生活 文化와 歷史의 根幹이 되는 것이 民謠다.
      • 5. 鄕土色 짙은 民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