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개선 소재개발을 위하여 꾸지뽕나무 각 부위별(잎, 줄기, 열매), 용매별(80% 에탄올, 10% 에탄올,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18916
2012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7-13(7쪽)
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개선 소재개발을 위하여 꾸지뽕나무 각 부위별(잎, 줄기, 열매), 용매별(80% 에탄올, 10% 에탄올,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개선 소재개발을 위하여 꾸지뽕나무 각 부위별(잎, 줄기, 열매), 용매별(80% 에탄올, 10% 에탄올,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용매별로는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HepG2 세포에서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해서는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만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각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간세포보호효과 또한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 용매별로는 꾸지뽕 잎의 경우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순이었으며, 줄기와 열매의 경우는 용매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H2O2와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leaves, stems, and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CT) against H2O2 or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leaves, stems, and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CT) against H2O2 or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80% ethanol extracts from the leaves of the plant (CTL80). Also,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PPH and ABTS in the CTL8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treated control. To determine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CT in H2O2 and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an XTT assay. Pre-treatment of CTL80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control cells by 71.21% and 80.40%, respectively. The data suggests that CTL80 exhibits hepatoprotective antioxidant effects. Therefore, CTL80 may be considered a potential agent to control H2O2 or ethanol-induced liver damage.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소라, "이용부위 및 채취시기에 따른 꾸지뽕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7 (17): 115-120, 2009
2 유양희,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4-159, 2009
3 주헌영, "생쥐에 있어서 꾸지뽕 당단백질의 간보호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1 (41): 93-99, 2009
4 안치선,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 차가버섯 열수 추출물이 면역 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1-8, 2010
5 임영미, "배양 인체피부섬유모세포에 있어서 활성산소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山査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대한동의병리학회 22 (22): 115-119, 2008
6 이유현, "만성 알코올 급여 흰쥐에서 보리 추출물 섭취가 Cytochrome P450 효소 조절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347-1352, 2009
7 조숙현, "대나무수액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세포독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105-110, 2008
8 김진영, "꾸지뽕나무의 부위별 및 가공식품에 함유된 Quercetin과 Kaempferol의 정량" 한국원예학회 27 (27): 489-496, 2009
9 이진식,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Bureau)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7 (17): 696-702, 2007
10 이영민, "국내산 산채류의 물 및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29-36, 2011
1 최소라, "이용부위 및 채취시기에 따른 꾸지뽕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7 (17): 115-120, 2009
2 유양희,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4-159, 2009
3 주헌영, "생쥐에 있어서 꾸지뽕 당단백질의 간보호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1 (41): 93-99, 2009
4 안치선,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 차가버섯 열수 추출물이 면역 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1-8, 2010
5 임영미, "배양 인체피부섬유모세포에 있어서 활성산소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山査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대한동의병리학회 22 (22): 115-119, 2008
6 이유현, "만성 알코올 급여 흰쥐에서 보리 추출물 섭취가 Cytochrome P450 효소 조절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347-1352, 2009
7 조숙현, "대나무수액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세포독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105-110, 2008
8 김진영, "꾸지뽕나무의 부위별 및 가공식품에 함유된 Quercetin과 Kaempferol의 정량" 한국원예학회 27 (27): 489-496, 2009
9 이진식,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Bureau)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7 (17): 696-702, 2007
10 이영민, "국내산 산채류의 물 및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29-36, 2011
11 Kahraman A, "The protective effect of quercetin on long-term alcohol consumption-induced oxidative stress" 2011
12 Kang YH,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27 : 978-984, 1995
13 Cederbaum AI, "Role of oxidative stress in alcohol-induced liver injury" 83 : 519-548, 2009
14 Lee SS, "Role of CYP2E1 in the hepatotoxicity of acetaminophen" 271 : 12063-12067, 1996
15 Papa S, "Reactive oxygen species, mitochondria, apoptosis and aging" 14 : 305-319, 1997
16 Reddy BS, "Potential in vitro antioxidant and protective effects of Soymida febrifuga on ethanol induced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s" 46 : 3429-3442, 2008
17 Caro AA, "Oxidative stress, toxicology, and pharmacology of CYP2E1" 44 : 27-42, 2004
18 Loft S, "Oxidative DNA damage correlates with oxygen consumption in humans" 8 : 534-537, 1994
19 Wallace DC, "Mitochondria genetics: a paradigm for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s?" 256 : 628-632, 1992
20 Sanchez-Moreno C, "Methods used to evaluat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foods and biological systems" 8 : 121-137, 2002
21 Mari M, "Induction of catalase, alpha, and microsomal glutathione S-transferase in CYP2E1 overexpressing HepG2 cells and protection against short- term oxidative stress" 33 : 652-661, 2001
22 Park JC, "Effects of the fractions from the leaves, fruits, stems and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flavonoids on lipid peroxidation" 26 : 377-384, 1995
23 Nieva MM,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24 Cederbaum AI, "CYP2E1--biochemical and toxicological aspects and role in alcohol-induced liver injury" 73 : 657-672, 2006
25 Lu Y, "CYP2E1 and oxidative liver injury by alcohol" 44 : 723-738, 2008
26 Kim HJ,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43 : 148-152, 2000
27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28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29 Chon IJ, "Anti-oxidant compound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Chungang University 2003
30 Singleton VL,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au reagent" 299 : 152-178, 1999
복숭아 유과 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서 비숙성치즈의 보충섭취가 지질 및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