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의 재구조화 : 한국적 상황과 딜레머 = Restructuring Speci머 Classes for Inclusive Education :A Situation and Dilemma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85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경쟁적 학력중심 학교문화 속에서 특수학급 교육은 그 연륜이 쌓여짐에 따라 더욱 심각한 자기 정체성 혼란에 빠지고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에서 “특수학급은 특수교육 요구학생(대상자)에게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일반학교에 설치된 학급”으 로 규정하고 있으나,우리네 학교문화에서 특수학급은 분리(격리)된 교육의 장으로 따돌림 당하고 있다 정잭과 법규정의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현실적으로 우리나라 초ㆍ중등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은 2원적 분리구조의 틀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에 그 모순과 갈등이 내재해 있다.
      그러나 진정 통합교육이 하나된 교육곰동체를 건설하기 위한 품위있는 교육적 노력이라면,단연코 우리는 하나의 과정(過程)으로서 통합교육을 줄기있게 추구해 가야한다. 왜냐하면,통합교육은 끊임없이 희망하고 노력하는 만큼 현실에서 가능한 실재인 반면에,할 수 없는 것으로 포기하면 여전히 하나의 이상으로 남을 뿐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경쟁적 학력중심 학교문화 속에서 특수학급 교육은 그 연륜이 쌓여짐에 따라 더욱 심각한 자기 정체성 혼란에 빠지고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에서 “특수학급은 특수교육 요구학...

      우리나라의 경쟁적 학력중심 학교문화 속에서 특수학급 교육은 그 연륜이 쌓여짐에 따라 더욱 심각한 자기 정체성 혼란에 빠지고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에서 “특수학급은 특수교육 요구학생(대상자)에게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일반학교에 설치된 학급”으 로 규정하고 있으나,우리네 학교문화에서 특수학급은 분리(격리)된 교육의 장으로 따돌림 당하고 있다 정잭과 법규정의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현실적으로 우리나라 초ㆍ중등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은 2원적 분리구조의 틀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에 그 모순과 갈등이 내재해 있다.
      그러나 진정 통합교육이 하나된 교육곰동체를 건설하기 위한 품위있는 교육적 노력이라면,단연코 우리는 하나의 과정(過程)으로서 통합교육을 줄기있게 추구해 가야한다. 왜냐하면,통합교육은 끊임없이 희망하고 노력하는 만큼 현실에서 가능한 실재인 반면에,할 수 없는 것으로 포기하면 여전히 하나의 이상으로 남을 뿐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nclusive education is a kind of school restructuring that implements high quality of education for all students. ln Korea, special classes in regular schools confront with a dilemma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between ex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self-contained special classes were pull out from regular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l994) in Korea, special classes in the primary & secondary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for operating the inclusive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end to maintain a sub-track system in public regular education setting.
      Restructuring special classes for inclusive education is a dilemma that should overcome the gab between ideological views and practical situation in Korea. In spite of this dilemma, we should put great efforts o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s a proces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lnclusive education is a kind of school restructuring that implements high quality of education for all students. ln Korea, special classes in regular schools confront with a dilemma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between exclusive education and inclus...

      lnclusive education is a kind of school restructuring that implements high quality of education for all students. ln Korea, special classes in regular schools confront with a dilemma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between ex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self-contained special classes were pull out from regular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l994) in Korea, special classes in the primary & secondary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for operating the inclusive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end to maintain a sub-track system in public regular education setting.
      Restructuring special classes for inclusive education is a dilemma that should overcome the gab between ideological views and practical situation in Korea. In spite of this dilemma, we should put great efforts o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s a proces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문제의 제기 1
      • Ⅱ. 왜 통합교육인가 : 그 정당성의 재해석 3
      • Ⅲ. 교육실천으로서 통합교육의 과제 : 한국적 상황 6
      • Ⅳ. 성공적 통합교육 전력 : 한국적 실천과제와 학교장의 역할 12
      • Ⅴ. 결론 : 특수학급의 재구조화 18
      • Ⅰ. 서론 : 문제의 제기 1
      • Ⅱ. 왜 통합교육인가 : 그 정당성의 재해석 3
      • Ⅲ. 교육실천으로서 통합교육의 과제 : 한국적 상황 6
      • Ⅳ. 성공적 통합교육 전력 : 한국적 실천과제와 학교장의 역할 12
      • Ⅴ. 결론 : 특수학급의 재구조화 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