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쟁적 학력중심 학교문화 속에서 특수학급 교육은 그 연륜이 쌓여짐에 따라 더욱 심각한 자기 정체성 혼란에 빠지고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에서 “특수학급은 특수교육 요구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경쟁적 학력중심 학교문화 속에서 특수학급 교육은 그 연륜이 쌓여짐에 따라 더욱 심각한 자기 정체성 혼란에 빠지고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에서 “특수학급은 특수교육 요구학...
우리나라의 경쟁적 학력중심 학교문화 속에서 특수학급 교육은 그 연륜이 쌓여짐에 따라 더욱 심각한 자기 정체성 혼란에 빠지고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에서 “특수학급은 특수교육 요구학생(대상자)에게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일반학교에 설치된 학급”으 로 규정하고 있으나,우리네 학교문화에서 특수학급은 분리(격리)된 교육의 장으로 따돌림 당하고 있다 정잭과 법규정의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현실적으로 우리나라 초ㆍ중등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은 2원적 분리구조의 틀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에 그 모순과 갈등이 내재해 있다.
그러나 진정 통합교육이 하나된 교육곰동체를 건설하기 위한 품위있는 교육적 노력이라면,단연코 우리는 하나의 과정(過程)으로서 통합교육을 줄기있게 추구해 가야한다. 왜냐하면,통합교육은 끊임없이 희망하고 노력하는 만큼 현실에서 가능한 실재인 반면에,할 수 없는 것으로 포기하면 여전히 하나의 이상으로 남을 뿐이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nclusive education is a kind of school restructuring that implements high quality of education for all students. ln Korea, special classes in regular schools confront with a dilemma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between exclusive education and inclus...
lnclusive education is a kind of school restructuring that implements high quality of education for all students. ln Korea, special classes in regular schools confront with a dilemma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between ex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self-contained special classes were pull out from regular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l994) in Korea, special classes in the primary & secondary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for operating the inclusive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end to maintain a sub-track system in public regular education setting.
Restructuring special classes for inclusive education is a dilemma that should overcome the gab between ideological views and practical situation in Korea. In spite of this dilemma, we should put great efforts o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s a proces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습도움학급 프로그램의 재개념화와 효율적 실행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