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덕 윤리의 환경윤리적 함의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s have necessary relationship whith nature. because Humans are themselves a part of nature. what contents of relationdship Humans have to do with nature is determinded. I believe environmental ehtics dependons on what contents of relationdship Humans have to do with nature. I think the enquiry of an environmental ehtics is not complete without discussing humans' caracter concerning environment
      I discussed first whether environmental virtue is possible. In order to advocate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virtue, I argued the virtue of benevolence, so called human virtue, is expanded and is applicable to environmental field. And I discussed the environmental virtue ethics, if possible, also is divided into two versions, supplement version and substitute version. The environmental virtue ethics has different contents from each of version.
      The environmental virtue ethics could have, it will be said, some disadventage, so called, lack of ability in action guidance, what does'nt virtuous person result a good effect, what standard make distinguishing virtueos person and nonvirtueous person. But I discussed these are not shortcomings of environmental virtue ethics. because this opinion concerning about defects of environmental virtue ethics is caused by their misunderstood of environmental virtue ethics.
      The environmental virtue ethics will be come out from this my discussing.
      번역하기

      Humans have necessary relationship whith nature. because Humans are themselves a part of nature. what contents of relationdship Humans have to do with nature is determinded. I believe environmental ehtics dependons on what contents of relationdship Hu...

      Humans have necessary relationship whith nature. because Humans are themselves a part of nature. what contents of relationdship Humans have to do with nature is determinded. I believe environmental ehtics dependons on what contents of relationdship Humans have to do with nature. I think the enquiry of an environmental ehtics is not complete without discussing humans' caracter concerning environment
      I discussed first whether environmental virtue is possible. In order to advocate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virtue, I argued the virtue of benevolence, so called human virtue, is expanded and is applicable to environmental field. And I discussed the environmental virtue ethics, if possible, also is divided into two versions, supplement version and substitute version. The environmental virtue ethics has different contents from each of version.
      The environmental virtue ethics could have, it will be said, some disadventage, so called, lack of ability in action guidance, what does'nt virtuous person result a good effect, what standard make distinguishing virtueos person and nonvirtueous person. But I discussed these are not shortcomings of environmental virtue ethics. because this opinion concerning about defects of environmental virtue ethics is caused by their misunderstood of environmental virtue ethics.
      The environmental virtue ethics will be come out from this my discuss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필수적이지만, 그 관계 내용은 다양하며, 어떤 내용의 관계를 맺을 것인지는 우리가 결정해야 할 윤리적인 문제이다. 여기에서 환경 윤리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환경 윤리는 그 동안 환경 행위 윤리라고 불리는 관점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모든 윤리적 탐구가 그러하듯이 환경 윤리에서도 환경과 관련한 성품에 관한 해명이 없이는 불완전한 상태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환경 덕 윤리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환경적 덕으로 확장 가능성에 대해 먼저 논의하였다. 우리가 일반적 덕으로 알고 있는 ‘선의’가 환경 영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즉 자연 일반에 선의를 갖는 성품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서, 이에 제기될 수 있는 반론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환경 덕 윤리가 설정된다면, 그 환경 덕 윤리가 어떤 유형으로 나타날 것인지도 논의하였다. 이 유형은 통상 덕 윤리학자들이 말하는 ‘보완적 견해’와 ‘대체 견해’로 구분해 보았다. 그리고 환경 덕 윤리에 제기 될 수 있는, 즉 행위 결정력의 결여, 덕이 항상 좋은 결과를 갖지 않는다는 점, 유덕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식별하기 어렵다는 점 등, 세 가지 문제점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였다. 이 논의 전 과정을 통해 환경 윤리에 대한 덕 윤리적 관점이 개괄적으로 모습이 드러났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필수적이지만, 그 관계 내용은 다양하며, 어떤 내용의 관계를 맺을 것인지는 우리가 결정해야 할 윤리적인 문제이다. 여기에서 환경 윤리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환...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필수적이지만, 그 관계 내용은 다양하며, 어떤 내용의 관계를 맺을 것인지는 우리가 결정해야 할 윤리적인 문제이다. 여기에서 환경 윤리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환경 윤리는 그 동안 환경 행위 윤리라고 불리는 관점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모든 윤리적 탐구가 그러하듯이 환경 윤리에서도 환경과 관련한 성품에 관한 해명이 없이는 불완전한 상태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환경 덕 윤리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환경적 덕으로 확장 가능성에 대해 먼저 논의하였다. 우리가 일반적 덕으로 알고 있는 ‘선의’가 환경 영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즉 자연 일반에 선의를 갖는 성품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서, 이에 제기될 수 있는 반론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환경 덕 윤리가 설정된다면, 그 환경 덕 윤리가 어떤 유형으로 나타날 것인지도 논의하였다. 이 유형은 통상 덕 윤리학자들이 말하는 ‘보완적 견해’와 ‘대체 견해’로 구분해 보았다. 그리고 환경 덕 윤리에 제기 될 수 있는, 즉 행위 결정력의 결여, 덕이 항상 좋은 결과를 갖지 않는다는 점, 유덕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식별하기 어렵다는 점 등, 세 가지 문제점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였다. 이 논의 전 과정을 통해 환경 윤리에 대한 덕 윤리적 관점이 개괄적으로 모습이 드러났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