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족설화의 형성과 장르적 성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71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lk tales of Chosunjok are different from the oral folk tales of Chosunjok in the fact that they are the records of oral folk tales collected and published by the civilian authors. The oral folk tales of Chosunjok were initiated with the formation of Chosunjok in the mid 19 century, but the folk tales of Chosunjok were formed by the publication of Jung Kilwoon's “A Fist Fight” in the Yenben Literature in 1954. Though the material of the folk tales of Chosunjok was the oral folk tales, the authorities's guideline and the author's personality and creativity were intervened in the course of collecting and arranging the folk tales.
      The folk tales of Chosunjok lost the oral folk tales's quality and acquired the author's creative quality. The sentences lost the colloquial style and acquired the literary style. The focus of the story was changed from the main character's plot into various characters's complex accidents. The characters's situations and personality were also changed from simple in an explanation into concrete and complex in various accidents. Other oral materials such as folksongs and proverbs were inserted in some cases and different types of stories were inserted and mixed to make new stories in other cases.
      번역하기

      The folk tales of Chosunjok are different from the oral folk tales of Chosunjok in the fact that they are the records of oral folk tales collected and published by the civilian authors. The oral folk tales of Chosunjok were initiated with the formatio...

      The folk tales of Chosunjok are different from the oral folk tales of Chosunjok in the fact that they are the records of oral folk tales collected and published by the civilian authors. The oral folk tales of Chosunjok were initiated with the formation of Chosunjok in the mid 19 century, but the folk tales of Chosunjok were formed by the publication of Jung Kilwoon's “A Fist Fight” in the Yenben Literature in 1954. Though the material of the folk tales of Chosunjok was the oral folk tales, the authorities's guideline and the author's personality and creativity were intervened in the course of collecting and arranging the folk tales.
      The folk tales of Chosunjok lost the oral folk tales's quality and acquired the author's creative quality. The sentences lost the colloquial style and acquired the literary style. The focus of the story was changed from the main character's plot into various characters's complex accidents. The characters's situations and personality were also changed from simple in an explanation into concrete and complex in various accidents. Other oral materials such as folksongs and proverbs were inserted in some cases and different types of stories were inserted and mixed to make new stories in other c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머리말
      • 2. 조선족설화 형성의 배경과 의미
      • 3. 조선족 구비설화와 조선족설화
      • 4. 조선족설화의 장르적 성격
      • Abstract
      • 1. 머리말
      • 2. 조선족설화 형성의 배경과 의미
      • 3. 조선족 구비설화와 조선족설화
      • 4. 조선족설화의 장르적 성격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길운, "「전설의 초인간적 력량에 관하여」, 『연변일보』, 5월 12일"

      2 한정춘, "해당화" 연변인민출판사 1995

      3 림승환, "팔선녀"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7

      4 정길운, "천지의 맑은 물" 연변인민출판사 1962

      5 김례삼, "천도복숭아" 연변인민출판사 1980

      6 강봉근, "지하국대적퇴치설화와 해란강설화의 비교연구" 한국언어문학회 37 : 237-252, 1996

      7 전성호, "중국조선족향토전설고찰" 연변사회과학원 문학예술연구소 6 : 104-123, 2006

      8 최인학, "중국조선족 설화의 연구Ⅰ" 비교민속학회 4 : 3-36, 1989

      9 이은하, "중국조선족 설화연구" 인하대학교 1993

      10 최삼룡, "중국조선족 설화에서 정착의식" 비교민속학회 5 : 539-551, 1998

      1 길운, "「전설의 초인간적 력량에 관하여」, 『연변일보』, 5월 12일"

      2 한정춘, "해당화" 연변인민출판사 1995

      3 림승환, "팔선녀"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7

      4 정길운, "천지의 맑은 물" 연변인민출판사 1962

      5 김례삼, "천도복숭아" 연변인민출판사 1980

      6 강봉근, "지하국대적퇴치설화와 해란강설화의 비교연구" 한국언어문학회 37 : 237-252, 1996

      7 전성호, "중국조선족향토전설고찰" 연변사회과학원 문학예술연구소 6 : 104-123, 2006

      8 최인학, "중국조선족 설화의 연구Ⅰ" 비교민속학회 4 : 3-36, 1989

      9 이은하, "중국조선족 설화연구" 인하대학교 1993

      10 최삼룡, "중국조선족 설화에서 정착의식" 비교민속학회 5 : 539-551, 1998

      11 이헌홍, "중국조선족 문헌정착설화의 개작·정리 양상과 의미" 한국문학회 (38) : 269-297, 2004

      12 윤윤진, "중국조선인문학연구에 나서는 몇 가지 문제" 연변사회과학원 문학예술연구소 1 : 134-143, 2005

      13 소재영, "중국 조선족의 설화 연구"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1 : 101-134, 1991

      14 우상렬, "중국 조선족설화의 종합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2

      15 하미경, "중국 조선족 항일설화 연구"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4 : 143-168, 1997

      16 최삼룡, "중국 조선족 재래설화의 변이고" 중앙대학교 한국민속연구소 143-158, 1997

      17 이헌홍, "중국 조선족 설화의 구술 전통과 이데올로기 지향성" 한국문학회 16 : 31-56, 1995

      18 이헌홍, "중국 조선족 설화와 한국 설화의 비교 연구 -계급대립담을 중심으로-" 문창어문학회 37 : 29-50, 2000

      19 강봉근, "중국 조선족 설화에 나타난 지하대적 퇴치 설화의 변이양상" 국어문학회 63-98, 2006

      20 강봉근, "중국 조선족 설화에 나타난 아기장수 설화의 변이 양상" 한국언어문학회 52 (52): 61-85, 2004

      21 하미경, "중국 조선족 설화 연구" 부산대학교 1998

      22 최삼룡, "중국 조선족 백두산설화의 의미 in: 백두산설화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37-155, 1992

      23 이헌홍, "중국 조선족 문헌정착설화의 변이양상" 한국문학회 20 : 29-67, 1997

      24 김동훈, "중국 조선족 구전설화연구" 한국문화사 1999

      25 박창묵, "중국 조선족 구전설화" 백송 1996

      26 김동훈, "중국 조선민족 문학선집 8, 9" 민족출판사 1993

      27 김태갑, "조선족전설집" 민족출판사 1991

      28 임철호, "조선족설화의 조선족 형상" 세계문학비교학회 (23) : 29-57, 2008

      29 임철호, "조선족설화의 변이와 중국의 성격 고찰 - 韓·中 對決 이야기를 중심으로 -" 영남문화연구원 (13) : 473-511, 2008

      30 장춘식, "조선족문학의 개념에 대하여" 연변사회과학원 문학예술연구소 1 : 121-133, 2005

      31 김선풍, "조선족구비문학총서" 민속원 1991

      32 연변민간문예연구조, "조선족 민간문예자료집 1·2권" 연변인민출판사 1963

      33 김선풍, "재중 한족의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회 24 : 1-28, 1991

      34 최운식, "인신공희설화 연구" 한국민속학회 10 : 167-206, 1999

      35 정길운, "인삼처녀" 연변인민출판사 1962

      36 소재영, "연변지역 조선족 설화의 특이성 연구" 건국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12 : 37-68, 1993

      37 소재영, "연변지역 조선족 문학연구" 숭실대학교 출판부 1992

      38 "연변일보(1957), 「민족민간 예술유산의 발굴계승을 위해」, 3월 30일 <사설>"

      39 연변민간문학연구회, "연변의 견우직녀" 교양사 1988

      40 민간문학연구회, "연변의 견우직녀" 교양사 1988

      41 연변민간문학연구회, "연변민간문학집" 연변인민출판사 1979

      42 임철호, "설화와 민중의 역사의식" 집문당 1989

      43 임철호, "설화와 민중" 전주대학교출판사 1996

      44 리용득, "불로초" 료녕인민출판사 1984

      45 길운, "백일홍" 연변인민출판사 1979

      46 김동훈, "백두산전설군에 대한 연구 in: 백두산 설화 연구" 고려대출판부 171-178, 1992

      47 정재호, "백두산설화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2

      48 최인학, "백두산설화" 밀알 1994

      49 김재권, "민간이야기 대왕 황구연전집 ④-⑩" 연변인민출판사 2008

      50 김재권, "민간이야기 대왕 황구연전집 ①-③" 연변인민출판사 2007

      51 중국민간문예연구회 연변분회, "민간문학자료집 ④" 연변인민출판사 1984

      52 중국민간문예연구회 연변분회, "민간문학자료집 ③" 연변인민출판사 1982

      53 리용득, "며느리밥풀꽃" 연변인민출판사 2005

      54 한정춘, "두만강전설집" 연변인민출판사 1999

      55 한정춘, "두만강 압록강 류역 지명전설" 연변인민출판사 2006

      56 리용득, "동북 조선족 주거지역 지명전설" 연변인민출판사 2006

      57 김동훈, "구비문학사" 민족출판사 530-645, 2006

      58 조일성, "代序 in: 연변의 견우직녀" 교양사 7-19, 1988

      59 강봉근, "<장자못전설>과 <각시바위>의 비교 연구" 국어문학회 34 : 179-194, 1999

      60 강봉근, "<나중미부설화>와 <홍송과 인삼>의 비교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41 : 97-112, 1998

      61 정태선, "5분간이야기 ⑴" 연변인민출판사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