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광고매체 가치에 대한 광고주 인식 조사연구: 인터넷, 모바일, DMB, 쌍방향TV 서비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f Advertisers` Perception on the Digital Advertising Media Value: Focused on Interactive TV, Mobile phone, Internet and DMB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4389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various kinds of new media emerge under the digital convergence trends, harsh competition is expected to among them. It needs to adopt an effective positioning strategy for the digital media to grow to be a major advertising ones. This study surveyed 60 advertisers regarding how they perceived interactive TV, mobile, internet and DMB service as the digital advertising media about its competitive status and media value respectively. First of all, Interactive TV service was estimated the highest in its various aspects, such as communication effect, marketing effect and interactivity effect. Internet was appraised for the lowest in most parts without having the distinct differentiation. This meant that if the advantageous strengths of the internet were not properly recognized, it would be surpassed by the other digital media. Mobile phone and DMB Service was evaluated favorable for its mobility and target selectivity, and marketing effect rather than communication effect. But this survey proved that each medium should adopt a positioning strategy which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competing media, because Mobile phone and DMB Service were recognised as the similar for the advertisers` perception.
      번역하기

      As the various kinds of new media emerge under the digital convergence trends, harsh competition is expected to among them. It needs to adopt an effective positioning strategy for the digital media to grow to be a major advertising ones. This study su...

      As the various kinds of new media emerge under the digital convergence trends, harsh competition is expected to among them. It needs to adopt an effective positioning strategy for the digital media to grow to be a major advertising ones. This study surveyed 60 advertisers regarding how they perceived interactive TV, mobile, internet and DMB service as the digital advertising media about its competitive status and media value respectively. First of all, Interactive TV service was estimated the highest in its various aspects, such as communication effect, marketing effect and interactivity effect. Internet was appraised for the lowest in most parts without having the distinct differentiation. This meant that if the advantageous strengths of the internet were not properly recognized, it would be surpassed by the other digital media. Mobile phone and DMB Service was evaluated favorable for its mobility and target selectivity, and marketing effect rather than communication effect. But this survey proved that each medium should adopt a positioning strategy which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competing media, because Mobile phone and DMB Service were recognised as the similar for the advertisers` percep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반기 광고산업향방 3-미디어 동향" 52 : 9-11, 1995

      2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광고주의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43 : 77-95, 1999

      3 "통합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IMC" 한국언론자료 간행회 2001

      4 "전략적 매체운용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시급" 26-30, 1997

      5 "인터랙티브 광고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3

      6 "인터랙티브 TV광고의 도입과 지상파 방송 광고의 위상" 52 : 217-240, 2001

      7 "양방향TV광고" 커뮤니케이션북스 129-179, 2003

      8 "쌍방향 TV 광고의 두 번째 진입 장벽:소비자 욕구" 67-74, 2002

      9 "세계 모바일 TV서비스 현황" 17 (17): 44-46, 1995

      10 "브로드밴드 시장 이끌어갈 성장동력" 2005

      1 "하반기 광고산업향방 3-미디어 동향" 52 : 9-11, 1995

      2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광고주의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43 : 77-95, 1999

      3 "통합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IMC" 한국언론자료 간행회 2001

      4 "전략적 매체운용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시급" 26-30, 1997

      5 "인터랙티브 광고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3

      6 "인터랙티브 TV광고의 도입과 지상파 방송 광고의 위상" 52 : 217-240, 2001

      7 "양방향TV광고" 커뮤니케이션북스 129-179, 2003

      8 "쌍방향 TV 광고의 두 번째 진입 장벽:소비자 욕구" 67-74, 2002

      9 "세계 모바일 TV서비스 현황" 17 (17): 44-46, 1995

      10 "브로드밴드 시장 이끌어갈 성장동력" 2005

      11 "미디어 에이전시의 오늘과 내일- 2.미디어 플래닝 업무 성격 및 영역의 변화" 56-58, 2003

      12 "모바일광고의 효과, 장애요인, 그리고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광고주, 광고회사, 그리고 모바일 컨텐츠 업체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16 (16): 225-249, 2005

      13 "마케팅 및 매체환경 변화에 대한 국내 매체 전문가 인식 및 광고회사 대응 현황 연구" 14 (14): 61-83, 2003

      14 "디지털 미디어트렌드:변화하는 소비자와 광고주" 4-10, 2001

      15 "다매체 시대 매체기획 이끌 ‘창조적 소수’ 길러낼 때" 36-41, 2000

      16 "다국적 매체 전문 대행사의 등장과 한국의 광고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의의" 24-25, 2002

      17 "국내 광고 실무자들의 인터랙티브 TV 광고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 관한 연구" 13 (13): 53-69, 2002

      18 "광고매체의 장단점에 대한 평가와 한국과 미국의 광고매체 환경 비교" 111-132, 1994

      19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and the Evolution of Marketing Thought" 37 : 155-162, 1996

      20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Redefined" 8 : 6-10, 1997

      21 "IMC실행수준의 측정을 위한 다차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12 (12): 7-28, 2001

      22 "IMC 전략으로서의 매체활용 필수-매체 패러다임의 변화,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 3-4, 2004

      23 "IMC :The Next Generation" McGraw-Hill 2004

      24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M-commerce for markets and marketing" 30 (30): 348-361, 2002

      25 "2002 광고산업" 한국광고업협회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