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장엽, "황장엽의 대전략: 김정일과 전쟁하지 않고 이기는 방법" 월간조선사 2003
2 김동률,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관계 변화 논의"
3 박동훈, "중국의 대북정책 논리와 북중관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1 (11): 117-146, 2011
4 김태호, "중·러 군사관계의 긴밀화와 동북아/한반도 안보" 9 (9): 129-174, 2006
5 김병로, "주체사상의 내면화 실태" 민족통일연구원 1994
6 김성만, "제2 연평해전 10년, 남겨진 과제" 7 : 52-57, 2012
7 조선중앙통신사 상보, "자주적 핵능력 강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8 채규철,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변화와 전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1 (11): 1-25, 2011
9 오경섭, "선군정치와 위기관리체제의 변화" 세종연구소 15 (15): 139-166, 2009
10 노동신문, "선군사상과 조미관계에 대하여"
1 황장엽, "황장엽의 대전략: 김정일과 전쟁하지 않고 이기는 방법" 월간조선사 2003
2 김동률,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관계 변화 논의"
3 박동훈, "중국의 대북정책 논리와 북중관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1 (11): 117-146, 2011
4 김태호, "중·러 군사관계의 긴밀화와 동북아/한반도 안보" 9 (9): 129-174, 2006
5 김병로, "주체사상의 내면화 실태" 민족통일연구원 1994
6 김성만, "제2 연평해전 10년, 남겨진 과제" 7 : 52-57, 2012
7 조선중앙통신사 상보, "자주적 핵능력 강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8 채규철,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변화와 전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1 (11): 1-25, 2011
9 오경섭, "선군정치와 위기관리체제의 변화" 세종연구소 15 (15): 139-166, 2009
10 노동신문, "선군사상과 조미관계에 대하여"
11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9
12 통일뉴스, "북핵문제 재발 2년...북한 입장 뭔가"
13 오경섭, "북한정권의 본질과 대남도발의 함수관계" 세종연구소 2011
14 홍용표, "북한의 체제와정책: 김정은 시대의 변화와 지속" 명인문화사 2014
15 최진욱, "북한의 체제와 정책:김정은 시대의 변화와 지속" 명인문화사 2014
16 김근식, "북한의 체제와 정책: 김정은 시대의 변화와 지속" 명인문화사 2014
17 김계동, "북한의 체제와 정책: 김정은 시대의 변화와 지속" 명인문화사 2014
18 김연수, "북한의 대내․대남정책 평가 : ‘후계계승의 정치와 정통성 문제’를 중심으로" 신아시아연구소 17 (17): 96-129, 2010
19 이기종, "북한의 대남정책 결정요인과 전망" 37 (37): 181-207, 1997
20 유동열, "북한의 대남전략과 도발의도"
21 김진무, "북한의 대남 정책결정과정에서의 군부의 역할" 통일연구원 11 (11): 87-116, 2002
22 정재욱, "북한의 군사도발과 ‘적극적 억지전략’의 구현 방향"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137-159, 2012
23 임재형, "북한외교정책결정과정의 특징과 군의 역할: 김정일시대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6 (6): 37-64, 2002
24 강성학, "북한외교정책" 서울프레스 1995
25 오마이뉴스, "북한 국방위 박근혜 ‘드레스덴 연설’ 공식 비난"
26 김흥규, "북중관계 변화와 함의" 24 : 2013
27 김일수, "부시와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정책 비교"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189-210, 2013
28 김현, "부시 미행정부의 군사적 패권정책과 동아시아의 대응" 한국아시아학회 9 (9): 103-140, 2006
29 박창희, "동북아시아 군사력 증강 추세" 11 : 12-15, 2011
30 이수훈, "동북아 안보질서의 변화와 북한의 인식" 한국동북아학회 16 (16): 69-90, 2011
31 백학순, "노태우정부와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 비교" 세종연구소 2012
32 문순보, "남북정상회담과 남북한관계 변화, in 제3차 남북정상회담:역사적 교훈과 추진방향"
33 서보혁, "남북관계는 북미관계의 종속변수"
34 조윤영, "김정일의 북한, 어디로 가는가?" 한울아카데미 2009
35 김계동, "김정일 체제의 대외관계 전망" 9 : 42-49, 1995
36 정규섭, "김정일 정권의 천안함 도발동기 분석"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3 (53): 25-45, 2010
37 김재호, "김정일 강성대국 건설전략" 평양출판사 2000
38 박종철, "김정은 체제의 변화 전망과 우리의 대책" 통일연구원 2013
39 조경근, "김영삼 정부의 대북 정책 - 내용과 평가 -" 한국통일전략학회 12 (12): 151-188, 2012
40 황장엽, "개인의 생명보다 귀중한 민족의 생명" 시대정신 1999
41 Noland, Marcus, "Why North Korea will muddle through" 76 (76): 105-118, 1997
42 Christensen, Thomas, "Useful Adversaries: Grand Strategy, Domestic Mobilization, and Sino-American Conflict, 1947-1958"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43 Waltz, N. Kenneth,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McGraw-Hill 1979
44 Harrison, Salig. S., "The US-DPRK Nuclear Agreement and the US-ROK Alliance: View from Pyongyang"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of Kyungnam University and the Strategic Studies Institute of the US Army War College 1995
45 Oberdorfer, Don,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Addison-Wesley 1997
46 Campbell, Kurt M., "The Power of Balance: America in Asia" 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 2008
47 Zakaria, Fareed, "Realism and domestic politics: A review essay" 17 (17): 177-198, 1992
48 Walt, M. Stephan, "Political Science: State of the Decipline" W.W. Norton 83-98, 2002
49 Rose, Gideon, "Neoclassical realism and theories of foreign policy" 51 (51): 144-172, 1998
50 Lobell, Steven. E., "Neoclassical Realism, the State, and Foreign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74, 2009
51 Taliaferro, Jeffrey W., "Neoclassical Realism, the State, and Foreign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74, 2009
52 Dueck, Colin, "Neoclassical Realism and the National Interest:Presidents, Domestic Politics, and Major Military Interven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3 Rathbun, Brian, "A rode by any other name: Neoclassical realism as the logic and necessary extension of structural realism" 17 (17): 294-321,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