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성친구관계에서 귀인과 만족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and Satisfaction in the Same Sex Friend Relation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25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and satisfaction in Same sex friend relationship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interpersonal attributional demensions(Lee & Han, 2001) can be applied in Same sex...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and satisfaction in Same sex friend relationship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interpersonal attributional demensions(Lee & Han, 2001) can be applied in Same sex friend relationship and to confirm differences between attribution to self behavior and attribution to other's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139 undergraduate students. Six attributional demensions, intention direction, expectation for behavior occurence at four situation(other's positive/negative behavior, self positive/negative behavior)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measured in questionnaire. There were differences in attributional style according to satisfaction levels and interpersonal attributiond demensions(Lee & Han, 2001) could not explain satisfaction in Same sex friend relationship. The causes of positive self behavior and negative self behavior more attributed to co-relationship dimension than that of other's behavior. Fini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 for the follow up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성친구관계에서 상대방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귀인과 관계만족간의 관계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도한 부부관계에서 사용된 대인귀인차원들(이경성과 한덕웅, 2001)이 동...

      본 연구의 목적은 동성친구관계에서 상대방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귀인과 관계만족간의 관계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도한 부부관계에서 사용된 대인귀인차원들(이경성과 한덕웅, 2001)이 동성친구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탐색하며, 친구관계에서 자신의 행동과 상대의 행동에 대한 귀인양상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139명의 대학생들이 본 조사에 참가하였으며, 네 가지(상대방의 정적_부적 행동, 자신의 정적_부적행동) 상황에서 여섯 가지 귀인차원, 의도방향, 행동발생기대와 관계만족이 측정되었다. 결과는 만족의 수준에 따라 상대의 행동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귀인양상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최고만족집단은 최저만족집단보다 상대의 행동에 대해 관계고양귀인을 하였다. 대인귀인차원들(이경성과 한덕웅, 2001)은 친구관계에서의 만족과 상관관계가 없거나 낮은 편이었다. 최고만족집단은 상대방의 행동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귀인 양상이 비슷하였으나 최저만족집단은 상대방의 행동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귀인 양상이 아주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상대의 부적 행동과 자신의 부적 행동에 대한 귀인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상대방의 행동에 비해 자신의 정적행동과 부적행동의 원인이 더 공동관계에 있다는 쪽으로 귀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수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