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전략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Registration Strategy of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Korean Fo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87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중해·멕시코·프랑스 등 세 지역의 음식 문화가 유네스코가 선정하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일제히 등재되면서 "먹는 문화"에 대한 관한 관심이 고조된 것을 계기로 한국음식의 ...

      본 연구는 지중해·멕시코·프랑스 등 세 지역의 음식 문화가 유네스코가 선정하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일제히 등재되면서 "먹는 문화"에 대한 관한 관심이 고조된 것을 계기로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음식문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올라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에 각국의 음식문화의 문화유산 등재전략에 대한 사례분석을 하고 있다. 음식 자체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지역은 식재료를 얻는 방법, 요리법 전수 방식, 식사법, 요리에 대한 전설 등을 아우르는 음식 문화 전반을 올려서 등재가 된 것을 계기로 음식문화를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올리기 위한 각국의 경쟁은 한층 더 가열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무형문화유산 등재관련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무형문화유산 관련 법의 제정과 정부 및 민간의 지속적인 관심 등을 중심으로 한국 음식문화의 유구한 역사와 철학, 그리고 풍부한 이야깃거리를 지니고 있는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외국의 선행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진행되는 세계 각국의 음식문화전쟁에 임할 구체적인 전략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중요한 것은 등재 추진국가의 사례분석결과에서처럼 철저한 사전조사와 전략적인 접근, 그리고 대폭적인 정부지원과 전국민적인 관심이라는 점이다. 이제 시작된 음식문화전쟁을 고려할 때 앞으로 정부의 높은 관심과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더욱더 적극적이고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구체적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해당 음식에 대한 발 빠른 문화재 지정 등 국가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ench, Mediterranean, and Mexican cuisines were added to the list of the UNESCO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aly, Spain, Greece and Morocco jointly applied for Mediterranean cuisine. Thoug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es oral culture,...

      French, Mediterranean, and Mexican cuisines were added to the list of the UNESCO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aly, Spain, Greece and Morocco jointly applied for Mediterranean cuisine. Thoug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es oral culture, cultural festivals, and traditional music and dance, this was the first time for food culture to be selected. Since cuisine itself cannot be put on the list, the countries focused on procuring food resources, table manners and setting, or cuisine-related stories. This research was installed to raise people's pride and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and conservation as well as to promote the registration as a heritage. This study method consists of literary investigation and case analysis. Literary investigation includes theses on regional newspaper articles, food management books, culture and society books, investigation data and publications of related agencies, etc. Through the theoretical and case study on the Korean food for registration of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esult was obtained as follows. First, to analysis the identity of Korean food. Second, to raise the public's consciousness on the Korean food. Third, to assign a national policy projects. Fourth, to promote making a law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nally, to revitalize the seminar and festivals for the registration of world cultural heritage in the Korean food. Korean food development needs to be connected with the registration of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which the potential energy of Korean food will possibly be discovered and redefin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9

      2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0

      3 이주현, "한식의 문화관광 상품화 가능성 탐색 - 퓨전, 프랜차이즈 개념 도입을 중심으로-" 10 : 63-76, 2007

      4 한동오, "한식의 맛과 향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방법론적 연구: 105가지 한식명의 중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4 (4): 57-73, 2002

      5 이언주, "한식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추진위원회 구성"

      6 김성섭, "한류(韓流)의 영향을 받은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음식문화 선호가 잠재 관광지로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 인식 변화와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외식경영학회 11 (11): 117-145, 2008

      7 김은희, "한국음식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3 (13): 281-299, 2010

      8 강다원, "한국음식문화와 유럽음식문화의 비교에 따른 한식의 유럽 진출 방안" 9 (9): 88-101, 2003

      9 정혜경, "한국음식 오디세이" 생각의 나무 2007

      10 김용구,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 개편방향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6

      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9

      2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0

      3 이주현, "한식의 문화관광 상품화 가능성 탐색 - 퓨전, 프랜차이즈 개념 도입을 중심으로-" 10 : 63-76, 2007

      4 한동오, "한식의 맛과 향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방법론적 연구: 105가지 한식명의 중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4 (4): 57-73, 2002

      5 이언주, "한식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추진위원회 구성"

      6 김성섭, "한류(韓流)의 영향을 받은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음식문화 선호가 잠재 관광지로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 인식 변화와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외식경영학회 11 (11): 117-145, 2008

      7 김은희, "한국음식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3 (13): 281-299, 2010

      8 강다원, "한국음식문화와 유럽음식문화의 비교에 따른 한식의 유럽 진출 방안" 9 (9): 88-101, 2003

      9 정혜경, "한국음식 오디세이" 생각의 나무 2007

      10 김용구,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 개편방향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6

      11 한경수, "한국궁중음식의 프랜차이징 메뉴개발을 위한 타당성 분석" 한국외식경영학회 5 (5): 141-162, 2002

      12 양일선, "한국 전통 음식 문화를 소재로 한 인바운드 관광상품 개발" 한국외식경영학회 7 (7): 87-116, 2004

      13 박현수, "한국 관광산업 심각한 위기" 21 : 2008

      14 김신영, "프랑스·지중해·멕시코의 ‘음식 문화’···세계문화유산에 올랐다"

      15 고봉만, "프랑스 문화 예술 악의 꽃에서 샤넬 NO.5까지" 한길사 2001

      16 유선미, "팔도음식 지리지(地理志) -한식세계화의 숨은 보고(寶庫)-" (24) : 2011

      17 정병헌, "판소리의 세계화와 세계무형문화유산 선정" 한중인문학회 (13) : 32-52, 2004

      18 오민근, "창조도시:의의와 사례" 2008

      19 이다도시, "참 맛있는 프랑스 요리" 서울문화사 1997

      20 노컷뉴스, "중국, 붓글씨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

      21 시공사 편집부, "중국 (2010 2011)" 시공사 2010

      22 김경선, "종갓집 제사, 어떻게 지속될 것인가" 2008

      23 김규환, "종갓집 제사 “문화재 지정” “후손 자율로”"

      24 김영, "종가음식 이야기 - 종가음식의 맛과 멋, 情과 禮-" (12) : 2011

      25 백홍근, "전통음식 산업의 현황과 산업화 방향" 신한 종합연구소 1989

      26 김숙현, "전주 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 28 (28): 32-33, 2004

      27 朝倉敏夫, "일본의 세계문화유산 추진전략" 백제문화연구소 1 (1): 5-35, 2009

      28 뉴스타운, "일본 식문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 준비"

      29 주영하, "음식인문학"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1

      30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홈페이지"

      3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신청서 작성 매뉴얼" 2009

      3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 지원연구" 2008

      33 임돈희,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정책과 그 의미" 208 : 14-17, 2008

      34 임돈희,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한국, 중국, 일본, 인도의 무형문화재의 보존현황과 전승방안에 대한 비교 연구" 비교민속학회 27 (27): 517-595, 2004

      35 임돈희,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 유산제도와 그 의미" 비교민속학회 26 (26): 499-522, 2004

      36 황경순, "안동 헛제사밥을 통해 본 전통의 생산과 소비" 18 : 47-63, 2003

      37 김한송, "아주 특별한 저녁식사" 리브리언 2009

      38 윤숙경, "식혜의 고장 안동의 식생활문화를 추적한다" 16 : 155-178, 1995

      39 우문호, "세계의 음식과 문화" 학문사 2004

      40 이종석, "세계문화유산 등록의 의미" 78 : 144-145, 1996

      41 박시현, "세계무형문화유산 판소리 보존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대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0

      42 고정민, "서울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의 가입"

      43 주영하, "문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종가음식의 가치- 21세기형 종가음식의 조건과 정체성-"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1

      44 강원도민일보, "무형문화재 실용적 보존 정책 수립 급선무" 2011

      45 임재해,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 방향의 재인식" 비교민속학회 39 (39): 439-491, 2009

      46 문화재청,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 연구" 2011

      47 델리아 디아즈, "멕시코 가정요리" 기린출판사 2007

      48 김자경, "맛으로 느끼고 멋으로 즐기는 지구촌 음식문화 여행" 자작나무 1999

      49 아주경제, "독일 최대 인바운드 B2B 마켓 ‘독일관광 박람회’ 개최"

      50 대구경북연구원, "대구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방안"

      51 김순배, "달팽이 요리법이 세계문화유산? 프, 자국 요리법 등록 추진"

      52 허윤희, "누구나 즐기는 아리랑·김치, 한국선 문화재 안된다니"

      53 이타구라 히로시게, "내 몸의 허브티" 넥서스 2003

      54 박은실, "국내 창조도시 추진현황과 과제" 2008

      55 김종진,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와 한류 문화" (47) : 2009

      56 전명숙, "경주지역 세계문화유산 관광상품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1

      57 임재해, "경상도 음식의 맛없는 맛과 문화적 가치" 23 : 2002

      58 이민호, "現代 中國의 傳統醫藥 無形文化遺産 現況 및 保護措置에 관한 硏究" 한국한의학연구원 17 (17): 17-28, 2011

      59 매일경제, "日食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60 유성호, "中 ‘중화요리’ 세계무형유산 등재 시동, 전인대, “한국이 먼저 등록한 ‘단오’ 교훈 삼아 서둘러야”"

      61 정성희, "〔횡설수설〕 세계문화유산 ‘음식문화’"

      62 이웅규, "〔한식, 세계화를 디자인하라〕 문화유산 요청·세계화 프로젝트"

      63 김순진, "〔한경에세이〕 음식문화의 힘"

      64 김유리, "〔지구촌 이야기〕 세계문화유산 후보 멕시코 음식"

      65 한건수, "〔세계 창의도시를 가다〕3/음식에 담긴 도시의 창의성"

      66 한국일보, "〔사설〕 한국 방문의 해, 문화콘텐츠를 채워야"

      67 농민신문, "〔사설〕 세계문화유산 등재 절실한 전통음식"

      68 한국일보, "〔미주한국일보〕 콜롬비아 포파얀 음식축제 한식제공"

      69 이장열, "『무형문화유산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안)』 에 대한 소견" 한국전통문화진흥원 2012

      70 연합뉴스, "〈해외문화〉 멕시코 햄버거에 선전포고"

      71 세계일보, "“지중해 요리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이탈리아 등 4개국 “비만 예방건강식” 지정 요청"

      72 박영규, "“세계문화유산 창덕궁 종묘” 기념표석 디자인에 관한 연구" 3 : 114-126, 1998

      73 이치억, "‘종갓집 제사,어떻게 지속될 것인가’-퇴계 종택 17대 종손 이치억-" 2008

      74 주영하, "‘비빔밥’의 진화와 담론 연구" 한국사회사학회 87 (87): 5-38, 2010

      75 동아일보, "‘5감 만족 웰빙식’ 세계의 맛으로"

      76 문화체육관광부, "2011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12

      77 외교통상부 문화외교정책과, "(2009)유네스코 개황"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KCI등재
      2017-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9 2.79 3.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3 2.97 3.547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