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농촌 여성이주자들의 일상성, 특히 생산과 재생산 영역에의 참여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재생산적 전환과정’의 맥락 속에서 이주자가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다양한 노동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79242
2013
Korean
국제결혼 ; 농촌 ; 이주여성 ; 재생산이주 ; 핵가족화 ; international marriage ; migrant women ; nuclear family ; reproductive migration ; rural areas
337.105
KCI등재
학술저널
63-93(3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농촌 여성이주자들의 일상성, 특히 생산과 재생산 영역에의 참여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재생산적 전환과정’의 맥락 속에서 이주자가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다양한 노동의 ...
본 연구는 한국농촌 여성이주자들의 일상성, 특히 생산과 재생산 영역에의 참여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재생산적 전환과정’의 맥락 속에서 이주자가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다양한 노동의 의미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기초 자료는 2011년 1월부터 8월까지 부여군에서 실시한 현지조사와 12명의 결혼이주여성과 3명의 선주민 가족에 대한 심층면접이다. 부여의 인구학적 변화와 이주자의 유입방식, 농업형태의 변화가 가져오는 농촌사회의 정치・경제적 변화의 구조 속에서 여성이주자들의 일상을 분석한다. 여성이주자들은 이주 후, 출산 및 육아와 살림을 포함한 가족 만들기, 한국어 수업과 며느리 되기 등을 포함한 한국화에 대한 요구 및 농업 및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중층적 요구를 조정하며 나름의 이주 목적을 현실화시키고자한다. 이는 여성이주자를 결혼이주자와 노동이주자로 구획하여 대상화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여성이주자가 생산과 재생산의 회로 안에서 중층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자신의 라이프사이클 안에서 위치를 끊임없이 변화시켜내는 존재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여성이주자의 역할이나 정체성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농촌의 생산/재생산 과정에 편입되거나 변형을 만들어내고 있는 과정에서 구성되는 것임을 강조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global changes continue to occur in the reproduction system, intimate realms such as child-bearing, nurturing, and caretaking are being released from the private sphere and being given exchange value. International marriage as one form of the repro...
As global changes continue to occur in the reproduction system, intimate realms such as child-bearing, nurturing, and caretaking are being released from the private sphere and being given exchange value. International marriage as one form of the reproductive migration exposes migrant women to diverse definitions and performances of conjugal roles.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how migrant women are positioned in the spheres of social production and reproduction in rural Korea today and how they are reaping the material fruits of their labor. Based on nine months of fieldwork in Chungnam Province's Buyeo district in 2011,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2 marriage migrant women and 3 Korean husbands, this article shows how migrant women maneuver their way through the complicated and contradictory demands of having to give birth, performing domestic dutie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participating in agricultural labor. While they live between the strata of reproductive and productive labor networks and within their own changing life cycles, migrant women who already work as fulltime housewives and farmers also enhance their economic resources as daily laborers.
This article shows how migrant women navigate various life strategies to make their lives more bearable and comfortable in South Korea's rural area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영희, "한국의 국제결혼-추세, 이슈, 적응문제, In 위험에 처한 세계와 가족의 미래" 새물결 157-188, 2010
2 임형백, "한국농촌의 국제결혼의 특징" 한국농촌지도학회 14 (14): 471-491, 2007
3 김민정, "한국 가족의 변화와 지방 사회의 필리핀 아내" 한국여성연구소 7 (7): 213-248, 2007
4 정호준, "통일교 국제축복가정의 정착에 관한 연구: 부산교구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5 "통계자료"
6 김은실, "지구/지역 시대 개인들의 행위 전략으로서의 국제결혼:새로운 아시아/지역으로서의 충남 J 마을 사례 연구, In 지구화시대의 현장 여성주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1-222, 2007
7 권현정, "재생산의 위기와 페미니즘 경제학의 재구성 : '사회적 재생산'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8 문현아, "세계화의 하인들" 여이연 2009
9 이병훈, "서비스사회의 구조변동" 한울아카데미 15-66, 2008
10 이진옥, "사회적 재생산을 통해 본 발전국가의 재해석" 여성연구소 22 (22): 73-101, 2012
1 심영희, "한국의 국제결혼-추세, 이슈, 적응문제, In 위험에 처한 세계와 가족의 미래" 새물결 157-188, 2010
2 임형백, "한국농촌의 국제결혼의 특징" 한국농촌지도학회 14 (14): 471-491, 2007
3 김민정, "한국 가족의 변화와 지방 사회의 필리핀 아내" 한국여성연구소 7 (7): 213-248, 2007
4 정호준, "통일교 국제축복가정의 정착에 관한 연구: 부산교구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5 "통계자료"
6 김은실, "지구/지역 시대 개인들의 행위 전략으로서의 국제결혼:새로운 아시아/지역으로서의 충남 J 마을 사례 연구, In 지구화시대의 현장 여성주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1-222, 2007
7 권현정, "재생산의 위기와 페미니즘 경제학의 재구성 : '사회적 재생산'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8 문현아, "세계화의 하인들" 여이연 2009
9 이병훈, "서비스사회의 구조변동" 한울아카데미 15-66, 2008
10 이진옥, "사회적 재생산을 통해 본 발전국가의 재해석" 여성연구소 22 (22): 73-101, 2012
11 김지영, "사회적 재생산-생산하는 재생산의 역학"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3 : 81-95, 2009
12 윤자영, "사회재생산과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여성주의 정치경제학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연구원 9 (9): 184-211, 2012
13 Beck, Ulrich,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새물결 2002
14 부여군청, "부여군 통계연보(2010)" 통계자료실
15 부여군, "부여군 기초생활권 발전계획"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행정안전부 2010
16 장덕희, "농촌지역 다문화가족 부부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가족요인의 영향" 한국농촌사회학회 21 (21): 103-139, 2011
17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18 강혜정,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영농활동 실태 분석" 재단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2 (32): 133-152, 2009
19 양순미,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한국농촌사회학회 16 (16): 151-182, 2006
20 김기홍,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경험과 기대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21 (21): 49-102, 2011
21 김현미, "글로벌 시대의 문화번역" 또하나의문화 2005
22 김현미,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Home) 만들기: 문화 접경지대 번역자로서의 이주여성"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145-174, 2010
23 Elson, Diane, "The Economic, the Political and the Domestic: Businesses, States and Households in the Organization of Production" 3 (3): 189-208, 1998
24 Castle, Stephen, "The Age of Migration" Palgrave Macmilan 2000
25 Bezanson, Kate, "Social Reproduction and Feminist Political Economy, In Social Reproduction: Feminist Political Economy Challenges Neo-liberalism" Ma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6
26 Freeman, Caren, "Marrying Up and Marrying Down: The Paradoxes of Marital Mobility for Chosonjok Brides in South Korea, In Cross-Border Marriages: Gender and Mobility in Transnational As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80-100, 2005
27 Piper, Nicola, "Marriage and Migration In an Age of Globalization, In Wife or worker?: Asian women and migration" Rowman & Littlefield 1-22, 2003
28 Ehrenreich, Barbara, "Global Woman: Nannies, Maids, and Sex Workers in the New Economy" Holt McDougal 2002
29 Troung, Thanh-Dam, "Gender, international Migration and Social reproduction" 5 (5): 27-52, 1996
30 Anderson, Bridget, "Doing the Dirty Work?: The Global Politics of Domestic Labour" Zed Books 2000
이주를 경험한 남녀의 서사를 통해 본 친밀한 관계성의 변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6-1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Women's Studies Review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71 | 1.21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