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반도 평화통일 기반구축과 보훈정책 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73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보훈의 근본이념과 국가보훈정책의 방향은 해당 국가가 지향하는 국가이념과 국
      가정체성의 기본틀을 토대로 한다. 국가보훈의 제반영역을 다룸에 있어 자유민주주의
      라는 대한민국 국가정체성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국가정체성
      확립교육의 문제점으로 국가관 및 안보교육의 부실, 좌편향 역사교과서의 애국정신
      결여, 호국보훈의식의 부재, 한국전쟁에 대한 왜곡, 대한민국 정통성에 대한 평가 절
      하와 북한에 대한 우호적 서술, 왜곡된 한미관계와 경제성장 등을 지적하고 정부가
      역사교육의 정상화를 통해 국가정체성확립과 보훈의식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명예로운 보훈정책의 목표와 비전이 결국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준비과정임을 재확인 하는 것이며 우리나라의 보훈선양정책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는데 있다.
      번역하기

      국가보훈의 근본이념과 국가보훈정책의 방향은 해당 국가가 지향하는 국가이념과 국 가정체성의 기본틀을 토대로 한다. 국가보훈의 제반영역을 다룸에 있어 자유민주주의 라는 대한민국 ...

      국가보훈의 근본이념과 국가보훈정책의 방향은 해당 국가가 지향하는 국가이념과 국
      가정체성의 기본틀을 토대로 한다. 국가보훈의 제반영역을 다룸에 있어 자유민주주의
      라는 대한민국 국가정체성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국가정체성
      확립교육의 문제점으로 국가관 및 안보교육의 부실, 좌편향 역사교과서의 애국정신
      결여, 호국보훈의식의 부재, 한국전쟁에 대한 왜곡, 대한민국 정통성에 대한 평가 절
      하와 북한에 대한 우호적 서술, 왜곡된 한미관계와 경제성장 등을 지적하고 정부가
      역사교육의 정상화를 통해 국가정체성확립과 보훈의식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명예로운 보훈정책의 목표와 비전이 결국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준비과정임을 재확인 하는 것이며 우리나라의 보훈선양정책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는데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평화통일과 보훈선양정책의 체계
      • Ⅲ. 한반도 평화통일 기반구축
      • Ⅳ. 명예로운 보훈선양정책 방향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평화통일과 보훈선양정책의 체계
      • Ⅲ. 한반도 평화통일 기반구축
      • Ⅳ. 명예로운 보훈선양정책 방향
      • Ⅴ. 결론
      • < 참고문헌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운석, "프랑스·독일의 국가통합 상징기제로서의 보훈 연구" 인문학연구원 1 : 215-237, 2012

      2 통일부, "통일백서 2002" 2002

      3 "조선일보. 2013년 1월 2일"

      4 "조선일보. 2012년 4월 21일"

      5 정숙경, "이명박 정부이후 보훈정책의 발전방향" 한국보훈학회 10 (10): 199-230, 2011

      6 안득기, "안보․보훈의식 함양을 위한 시민단체 및 지자체의 역할" 2011

      7 하정열, "신뢰, 안보, 그리고 통일" 오래출판사 2014

      8 라미경, "신뢰, 안보 그리고 통일" 오래 2014

      9 한석희, "시진핑 지도부의 대외관계 분석: 대미정책과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8 (18): 33-53, 2012

      10 보훈교육연구원, "보훈제도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연구" 보훈교육연구원 2009

      1 서운석, "프랑스·독일의 국가통합 상징기제로서의 보훈 연구" 인문학연구원 1 : 215-237, 2012

      2 통일부, "통일백서 2002" 2002

      3 "조선일보. 2013년 1월 2일"

      4 "조선일보. 2012년 4월 21일"

      5 정숙경, "이명박 정부이후 보훈정책의 발전방향" 한국보훈학회 10 (10): 199-230, 2011

      6 안득기, "안보․보훈의식 함양을 위한 시민단체 및 지자체의 역할" 2011

      7 하정열, "신뢰, 안보, 그리고 통일" 오래출판사 2014

      8 라미경, "신뢰, 안보 그리고 통일" 오래 2014

      9 한석희, "시진핑 지도부의 대외관계 분석: 대미정책과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8 (18): 33-53, 2012

      10 보훈교육연구원, "보훈제도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연구" 보훈교육연구원 2009

      11 라미경, "보훈의식 제고를 위한 정책거버넌스 구축" 23 (23): 2013

      12 유호근, "보훈외교의 정치 경제: 맥락과 함의" 한국정치정보학회 18 (18): 71-95, 2015

      13 라미경, "보훈과 외교: 공공외교를 통한 보훈정책의 외연 확대" 한국보훈학회 14 (14): 7-32, 2015

      14 김종성, "민족정기에 관한 고찰" 국가보훈처 독립운동사연구회 2002

      15 전재성, "미국의 아시아 정책과 동북아 질서" 2012

      16 정경영, "동북아 재편과 한국의 출구전략" 21세기군사연구소 2011

      17 윤재왕, "독일의 보훈제도" 국가보훈처 2005

      18 유영옥, "각국의 보훈정책비교론" 홍익재 2009

      19 Fukuyama, F.,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The Free Press 1995

      20 Gagliardi, P., "Symbols and Artifacts: Views of the Corporate Landscape" Walter de Gruyter 1990

      21 Harrison, M. T.,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s through Rites and Ceremonials" 9 (9): 1984

      22 Putnam, R. D.,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23 백낙청, "21세기의 한반도 구상" 창작과 비평사 2004

      24 국가보훈처, "2014 업무보고"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7-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Patriots And Veterns Affairs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for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Studies KCI등재후보
      2018-07-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Korea -> Journal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of Korea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0.51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