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정책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olicy stakeholders on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1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공동체 구성원들의 주관성에 근거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 현실적 발전방향을 도출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공통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적 속성으로 감수성, 창의성, 자아정체감이 자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특징적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 세 가지의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식유형은 “사회발전정책으로서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건전하고 역량 있는 자주 시민을 양성하는 정책수단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정책적 관점의 유형이다. 둘째 인식유형은 “개인역량개발 교육으로서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개인의 삶이 풍요로워 질 수 있으며, 개인이 아름다움을 느끼고, 다양성속에 자신을 표현하는 역량을 개발하는 교육적 기능을 갖는다는 교육적 관점의 유형이다. 셋째 인식유형은 “교감 기반을 다지는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의 측면에서 다름 사람과의 교감이라는 본질적 속성을 지닌 것이라는 점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는 문화예술적 관점의 유형이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추진과 관련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보다 명확히 정립하고 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문화예술교육이 가진 융합적 속성을 고려한 정책기획 및 실행이 요구된다.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해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바를 주지한 정책기획 및 실행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공동체 구성원들의 주관성에 근거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 현실적 발전방향을 도출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공동체 구성원들의 주관성에 근거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 현실적 발전방향을 도출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공통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적 속성으로 감수성, 창의성, 자아정체감이 자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특징적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 세 가지의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식유형은 “사회발전정책으로서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건전하고 역량 있는 자주 시민을 양성하는 정책수단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정책적 관점의 유형이다. 둘째 인식유형은 “개인역량개발 교육으로서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개인의 삶이 풍요로워 질 수 있으며, 개인이 아름다움을 느끼고, 다양성속에 자신을 표현하는 역량을 개발하는 교육적 기능을 갖는다는 교육적 관점의 유형이다. 셋째 인식유형은 “교감 기반을 다지는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의 측면에서 다름 사람과의 교감이라는 본질적 속성을 지닌 것이라는 점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는 문화예술적 관점의 유형이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추진과 관련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보다 명확히 정립하고 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문화예술교육이 가진 융합적 속성을 고려한 정책기획 및 실행이 요구된다.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해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바를 주지한 정책기획 및 실행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and set out the perception of policy community member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sample was composed of 40 statements and 25 policy stakeholders were selected to P sample. As a results of Q sorting, the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ere categorized in 3 types. Type 1 was named a social development policy approach so that 8 policy stakeholders of type 1 percei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be policy means to develop mature civic awareness of citizen. Type 2 was named individual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approach so that 11 policy stakeholders of type 2 percei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help individuals to enjoy an affluent and beautiful life and to enhance self-expression. Type 3 was named art and cultural sensibility development for communing together approach so that 6 policy stakeholders of type 3 perceived natur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be art and culture so it should focus on communication feelings and emotions. Sensitivity, creativity and self-identity were common perception to all 3 typ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and set out the perception of policy community member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sample was composed of 40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and set out the perception of policy community member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sample was composed of 40 statements and 25 policy stakeholders were selected to P sample. As a results of Q sorting, the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ere categorized in 3 types. Type 1 was named a social development policy approach so that 8 policy stakeholders of type 1 percei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be policy means to develop mature civic awareness of citizen. Type 2 was named individual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approach so that 11 policy stakeholders of type 2 percei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help individuals to enjoy an affluent and beautiful life and to enhance self-expression. Type 3 was named art and cultural sensibility development for communing together approach so that 6 policy stakeholders of type 3 perceived natur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be art and culture so it should focus on communication feelings and emotions. Sensitivity, creativity and self-identity were common perception to all 3 typ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개념 논의 Ⅲ. 절차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 Ⅰ. 서론 Ⅱ.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개념 논의 Ⅲ. 절차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식, "학교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2 한지혜, "프랑스에서의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그 시사점: 학교 정책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6 : 83-106, 2006

      3 원수현, "프랑스 예술문화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871-883, 2008

      4 민경훈, "초등학교 문화 예술 교육으로서 ‘방과 후 학교’를 위한 통합형 음악 교육의 수업안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189-211, 2007

      5 정갑영, "초등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6 박영정,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시민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7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 방법론의 이해" 서울대학교 6 (6): 1-10, 1992

      8 이구슬, "우리의 문화예술교육정책 고찰: 프랑스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9 (9): 45-75, 2006

      9 김효정,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주민 문화예술교육 지원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10 양건열, "순수문화예술 진흥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1 이윤식, "학교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2 한지혜, "프랑스에서의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그 시사점: 학교 정책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6 : 83-106, 2006

      3 원수현, "프랑스 예술문화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871-883, 2008

      4 민경훈, "초등학교 문화 예술 교육으로서 ‘방과 후 학교’를 위한 통합형 음악 교육의 수업안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189-211, 2007

      5 정갑영, "초등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6 박영정,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시민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7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 방법론의 이해" 서울대학교 6 (6): 1-10, 1992

      8 이구슬, "우리의 문화예술교육정책 고찰: 프랑스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9 (9): 45-75, 2006

      9 김효정,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주민 문화예술교육 지원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10 양건열, "순수문화예술 진흥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11 양현미,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분석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2 장기범, "배경과 실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정체성"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1 (11): 25-40, 2010

      13 우주희, "방과후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두 가지 모델: 강사지원모델과 단체지원모델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 6 (6): 35-47, 2008

      14 황동열, "문화예술기회 확대를 위한 사이버 문화예술교육 운영방안"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15 임학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파트너쉽 구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7 (7): 37-48, 2006

      16 허은영, "문화예술교육전문강사 운영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17 박인배, "문화예술교육의 생태계적 패러다임 연구" 문화관광부 2007

      18 양현미,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19 김세훈,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20 박진영,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문화예술교육 개념에 대한 혼란 양상 및 인식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33-64, 2011

      21 박인배, "문화예술교육 관점 전환의 방향"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6 : 269-281, 2007

      22 오세곤, "문화예술교육 관련 법령 및 제도 연구"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2 : 5-38, 2008

      23 심보선, "문화사회학적 견지에서 바라본 문화예술경영의 시론적 고찰 - 시민성, 지역성, 예술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8 (8): 39-82, 2010

      24 황연주,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의 관계 고찰" 한국예술교육학회 3 : 83-96, 2005

      25 김미윤, "문화교육,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대한 검토와 청소년 분야의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9 : 144-167, 2004

      26 윤여각,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재검토" 한국교육원리학회 8 (8): 143-163, 2003

      27 오지향, "국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분석-학교 문화예술교육 관점에서" 민족음악학회 40 (40): 205-233, 2010

      28 전효관, "교육과 예술의 결합을 통한 교육의 대안 모색"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1 : 227-239, 2009

      29 김범종, "Q 방법의 방법논적 이해와 연구에의 적용" 서원대학교경영과학연구소 8 (8): 29-45, 1999

      30 김순은, "Q 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9 (9): 201-216, 1999

      31 김헌수, "Q 방법론" 교육과학사 2000

      32 임학순, "2010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평가컨설팅"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