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영어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L1과 L2 영향에 관한 연구: VOT와 F0와 관련해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15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기본 가설은 첫째, L1-L2영향은 물론 L2-Ll 영향이 존재할 것이다 (i.e., bi-directional). 둘째, 영향과 L2 유창성과 상관성이 있을 것이다. 즉, 영향의 크고 작음은 L2 유창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지 하는 가이다. 본 연구는 다음 질문들에 답을 구하고자 기획되었다. 질문1. 한국어 음성 변화(i.e., VOT shift)가 L2 영어의 영향과 상관성이 있는가? 질문2. 이중 언어 사용자들이 구사하는 두 언어의 상호작용으로 해 각 언어에 어떤 영향 (L1 influence or L2 influence)을 미치는 가? 특히, 앞서 언급한 4가지 outcome중의 어떤 것을 보여주는 지 그리고 outcome을 가장 잘 설명하는 모델은 어떤 것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질문3. 실험에서 이중 언어 사용자가 language mode를 달리할 때 (i.e., monolingual mode, bilingual mode, code-switching mode)에 어떤 효과가 있는 가?
      본 연구는 상기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단일 언어 사용자와 L2 predominant bilingual과 L2 proficient bilingual에 대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을 2번에 걸친 실험으로 2개년 계획으로 수립하였고, 연간 다음 4단계 과정을 거쳐 세부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제1단계: 기초 문헌 연구와 자문―문헌 재검토와 실험 전반에 총체적인 재검토 및 보완> 이중 언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지만 한국어와 영어 파열음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그리고 어떤 음성학 패러미터를 조사했느냐 에서 그 양이 매우 방대하며 실험음성학적인 연구결과는 해를 거듭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구 기초 단계에서는 실제 실험에 임하기에 앞서 관련 선행연구들에 대한 수집과 분석이 철저히 이루어졌는 지 재검증하고 실험 방법이나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서 어떤 문제가 있을 수는 없는 지 문헌을 통해 철저히 재검토하고 동시에 실험계획을 수행하기에 앞서 국내외 전문가(특히 통계전문가)로부터 자문을 구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단계: 준비단계-음성 자료와 피험자 선정과 수집> 3단계 음향 측정을 위한 선행 작업으로 분석할 어휘 혹은 carrier sentence를 선정하고 음성파일을 대상으로 측정해야 할 음향음성학적 패러미터를 선정하고 자료 수집을 위한 피험자를 선정한다. 피험자 선정 시에는 self-questionnaire를 사용하고 storytelling과 인터뷰를 수집하여 선정대상에 합당한 피험자인지를 L2 원어민 평가단(약 3명)을 통해 5-likert scale을 이용한 proficiency level로 객관적으로 점수화하여 평가한다. 특히, L2 predominant bilinguals와 L2 proficient billingual은 전자가 L2 환경에서 초등학교부터 대학교를 다녔는 지 여부로 판별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L2 학교가 아니고 L1 환경에서 L2를 학습한 일반적인 L2 학습자로 엄선한다. 먼저 분석할 목표 단어와 내포 문장을 선택함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수치를 얻기 위해 언어적 맥락과 음절상의 위치, 조음 장소, 모음, 선행 혹은 후행자음의 여부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맥락의 시료들을 선택할 것이다. 분석 대상 화자 선정에서는 연령, 성별, 출신 저역으로 구분 연구 과제의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적정수의 화자를 선정한다. 음성, 음향학적 기초연구를 통한 분석 대상 패러미터 선정: 한국어와 영어 파열음의 차이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고 각 언어의 영향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요인들로 언어 간 영향을 살펴보는 음향단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VOT와 F0 (기본주파수)를 선정한다. 선정된 피험자들은 실험음성학적으로 디자인된 방음 실에서 녹음함으로서 음성자료를 수집한다. 수집될 음성자료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아래 요약하였다. <제3단계: 자료 측정과 분석: 수집된 자료는 Praat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segmentation한 후에 스팩트로그램과 파형을 이용해 패러미터로 선정된 VOT와 F0를 측정한다. VOT와 F0측정이 완료된 이후에 얻어진 계량적 자료는 결과에 활용하기 위해 도표화 하거나 그림으로 만들고 참가자 그룹들 간의 유의미성과 그룹 내에서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해 통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통계 자문가와 협의하에 연구 결과를 설명하는 데 적합한 통계분석을 시행한다. <제4단계 (완성단계):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실험음성학의 마지막 완성단계로 도출된 결과물들과 통계분석결과물들을 토대로 논문을 완성해 가는 작업이다. 본 연구 결과가 L1과 L2 영향에 있어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어떻게 다른 지, 어떤 산출물을 보이는 지, 어떤 모델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는 지를 논의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기본 가설은 첫째, L1-L2영향은 물론 L2-Ll 영향이 존재할 것이다 (i.e., bi-directional). 둘째, 영향과 L2 유창성과 상관성이 있을 것이다. 즉, 영향의 크고 작음은 L2 유창성에 따라 차이가 ...

      본 연구의 기본 가설은 첫째, L1-L2영향은 물론 L2-Ll 영향이 존재할 것이다 (i.e., bi-directional). 둘째, 영향과 L2 유창성과 상관성이 있을 것이다. 즉, 영향의 크고 작음은 L2 유창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지 하는 가이다. 본 연구는 다음 질문들에 답을 구하고자 기획되었다. 질문1. 한국어 음성 변화(i.e., VOT shift)가 L2 영어의 영향과 상관성이 있는가? 질문2. 이중 언어 사용자들이 구사하는 두 언어의 상호작용으로 해 각 언어에 어떤 영향 (L1 influence or L2 influence)을 미치는 가? 특히, 앞서 언급한 4가지 outcome중의 어떤 것을 보여주는 지 그리고 outcome을 가장 잘 설명하는 모델은 어떤 것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질문3. 실험에서 이중 언어 사용자가 language mode를 달리할 때 (i.e., monolingual mode, bilingual mode, code-switching mode)에 어떤 효과가 있는 가?
      본 연구는 상기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단일 언어 사용자와 L2 predominant bilingual과 L2 proficient bilingual에 대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을 2번에 걸친 실험으로 2개년 계획으로 수립하였고, 연간 다음 4단계 과정을 거쳐 세부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제1단계: 기초 문헌 연구와 자문―문헌 재검토와 실험 전반에 총체적인 재검토 및 보완> 이중 언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지만 한국어와 영어 파열음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그리고 어떤 음성학 패러미터를 조사했느냐 에서 그 양이 매우 방대하며 실험음성학적인 연구결과는 해를 거듭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구 기초 단계에서는 실제 실험에 임하기에 앞서 관련 선행연구들에 대한 수집과 분석이 철저히 이루어졌는 지 재검증하고 실험 방법이나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서 어떤 문제가 있을 수는 없는 지 문헌을 통해 철저히 재검토하고 동시에 실험계획을 수행하기에 앞서 국내외 전문가(특히 통계전문가)로부터 자문을 구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단계: 준비단계-음성 자료와 피험자 선정과 수집> 3단계 음향 측정을 위한 선행 작업으로 분석할 어휘 혹은 carrier sentence를 선정하고 음성파일을 대상으로 측정해야 할 음향음성학적 패러미터를 선정하고 자료 수집을 위한 피험자를 선정한다. 피험자 선정 시에는 self-questionnaire를 사용하고 storytelling과 인터뷰를 수집하여 선정대상에 합당한 피험자인지를 L2 원어민 평가단(약 3명)을 통해 5-likert scale을 이용한 proficiency level로 객관적으로 점수화하여 평가한다. 특히, L2 predominant bilinguals와 L2 proficient billingual은 전자가 L2 환경에서 초등학교부터 대학교를 다녔는 지 여부로 판별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L2 학교가 아니고 L1 환경에서 L2를 학습한 일반적인 L2 학습자로 엄선한다. 먼저 분석할 목표 단어와 내포 문장을 선택함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수치를 얻기 위해 언어적 맥락과 음절상의 위치, 조음 장소, 모음, 선행 혹은 후행자음의 여부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맥락의 시료들을 선택할 것이다. 분석 대상 화자 선정에서는 연령, 성별, 출신 저역으로 구분 연구 과제의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적정수의 화자를 선정한다. 음성, 음향학적 기초연구를 통한 분석 대상 패러미터 선정: 한국어와 영어 파열음의 차이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고 각 언어의 영향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요인들로 언어 간 영향을 살펴보는 음향단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VOT와 F0 (기본주파수)를 선정한다. 선정된 피험자들은 실험음성학적으로 디자인된 방음 실에서 녹음함으로서 음성자료를 수집한다. 수집될 음성자료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아래 요약하였다. <제3단계: 자료 측정과 분석: 수집된 자료는 Praat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segmentation한 후에 스팩트로그램과 파형을 이용해 패러미터로 선정된 VOT와 F0를 측정한다. VOT와 F0측정이 완료된 이후에 얻어진 계량적 자료는 결과에 활용하기 위해 도표화 하거나 그림으로 만들고 참가자 그룹들 간의 유의미성과 그룹 내에서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해 통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통계 자문가와 협의하에 연구 결과를 설명하는 데 적합한 통계분석을 시행한다. <제4단계 (완성단계):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실험음성학의 마지막 완성단계로 도출된 결과물들과 통계분석결과물들을 토대로 논문을 완성해 가는 작업이다. 본 연구 결과가 L1과 L2 영향에 있어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어떻게 다른 지, 어떤 산출물을 보이는 지, 어떤 모델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는 지를 논의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