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漁村 沈彦光과 海雲亭 - 해운정에 걸린 현판을 중심으로 = Eochon(漁村) Sim Eunguang(沈彦光) and Haeunjeong(海雲亭) - Especially on the Plate Hanging in Haeunje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7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eunjeong(海雲亭) in Gangneung(江陵) is a building built by Eochon Sim Eunguang(漁村 沈彦光).
      There are the 52 poems of Ming Gong Yonggyeong(龔用卿) and many other writers and Portrait of Jung Ho(程顥) and Jung Yi(程頤) which Gong purchased. Eochon was abandoned due to his recommanding Gim Anro(金安 老) turned down to Gangneung and finished his life in Haeunjeong. Then he was identified by the efforts of several descendants and was coveted. In Haeun-jung's poetic version, a brief life of Eochon, the conflict with Gim Anro, history of Haeun-jung, and the efforts of the descendants reveal the history of surpassing them.
      Wu-Am Song Shiyeol(尤庵 宋時烈) believed that Eochon has become a GimyoSaryu(己卯士類) to have sought the portrait of two Jeongs(二程子) and deserve to be displaying his portrait because of his effort of using GimyoSaryu.
      When we look at the poems and sentences that are transmitted to Haeunjeong, Haeunjung's poetry and style boards(詩文板) were the result of deep interaction with Wu-am and his literati.
      번역하기

      Haeunjeong(海雲亭) in Gangneung(江陵) is a building built by Eochon Sim Eunguang(漁村 沈彦光). There are the 52 poems of Ming Gong Yonggyeong(龔用卿) and many other writers and Portrait of Jung Ho(程顥) and Jung Yi(程頤) which Gong pu...

      Haeunjeong(海雲亭) in Gangneung(江陵) is a building built by Eochon Sim Eunguang(漁村 沈彦光).
      There are the 52 poems of Ming Gong Yonggyeong(龔用卿) and many other writers and Portrait of Jung Ho(程顥) and Jung Yi(程頤) which Gong purchased. Eochon was abandoned due to his recommanding Gim Anro(金安 老) turned down to Gangneung and finished his life in Haeunjeong. Then he was identified by the efforts of several descendants and was coveted. In Haeun-jung's poetic version, a brief life of Eochon, the conflict with Gim Anro, history of Haeun-jung, and the efforts of the descendants reveal the history of surpassing them.
      Wu-Am Song Shiyeol(尤庵 宋時烈) believed that Eochon has become a GimyoSaryu(己卯士類) to have sought the portrait of two Jeongs(二程子) and deserve to be displaying his portrait because of his effort of using GimyoSaryu.
      When we look at the poems and sentences that are transmitted to Haeunjeong, Haeunjung's poetry and style boards(詩文板) were the result of deep interaction with Wu-am and his literat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海雲亭에 걸린 시문판에 있는 시와 문장 52편을 주요 대상으로한다. 해운정 현판에 적힌 시와 문장을 중심으로 漁村 沈彦光의 부침했던생전의 행적과 사후 복관했던 정황을 볼 수 있다. 해운정에 보관된 유물은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어촌이 만났던 명나라 정사 공용경의 원운, 후대 해운정을 방문했던 여러 제현들의 차운했던 시들이다. 거기다가 尤庵 宋時烈의 문장과 시, 그 시에 차운한 우암 문인들의 시를 통해 복관의 이면을 살필 수 있다. 기타 해운정과 관련된 시문을 통해 어촌의 시를 비롯한 해운정에 출입했던 후대 인사들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 어촌은 金安老의천거했던 일로 인해 관직을 삭탈 당하고, 강릉에 낙향하여 해운정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그 뒤 여러 후손들의 노력에 의해 신원되었다. 해운정에 걸린 시문에는 어촌의 간략한 생애, 김안로와의 악연과 갈등, 해운정의 내력, 어촌공의 5대손 沈澄의 노력으로 관작을 추복한 내력을 밝히고 있다.
      해운정에는 어촌이 1537년 구해온 程顥·程頤의 영정이 남아 있고 관련시문이 전한다. 우암이 영정을 참배하고 영정의 편액을 쓰고 기문을 찬술하였다. 우암은 어촌이 영정을 구해온 행위가 기묘사류가 될 만하고 또 기묘사류 등용을 조정하려 했으니 영정을 모실만한 자격이 될 수 있음을 인정하였다. 이로 보아 어촌의 복직과 해운정에 전해지는 제현들의 시와 문장을 살펴 볼 때 해운정은 우암과 그 문인들과 깊은 교류로 인한 결과임을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海雲亭에 걸린 시문판에 있는 시와 문장 52편을 주요 대상으로한다. 해운정 현판에 적힌 시와 문장을 중심으로 漁村 沈彦光의 부침했던생전의 행적과 사후 복관했던 정황을 볼 수 있...

      본고는 海雲亭에 걸린 시문판에 있는 시와 문장 52편을 주요 대상으로한다. 해운정 현판에 적힌 시와 문장을 중심으로 漁村 沈彦光의 부침했던생전의 행적과 사후 복관했던 정황을 볼 수 있다. 해운정에 보관된 유물은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어촌이 만났던 명나라 정사 공용경의 원운, 후대 해운정을 방문했던 여러 제현들의 차운했던 시들이다. 거기다가 尤庵 宋時烈의 문장과 시, 그 시에 차운한 우암 문인들의 시를 통해 복관의 이면을 살필 수 있다. 기타 해운정과 관련된 시문을 통해 어촌의 시를 비롯한 해운정에 출입했던 후대 인사들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 어촌은 金安老의천거했던 일로 인해 관직을 삭탈 당하고, 강릉에 낙향하여 해운정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그 뒤 여러 후손들의 노력에 의해 신원되었다. 해운정에 걸린 시문에는 어촌의 간략한 생애, 김안로와의 악연과 갈등, 해운정의 내력, 어촌공의 5대손 沈澄의 노력으로 관작을 추복한 내력을 밝히고 있다.
      해운정에는 어촌이 1537년 구해온 程顥·程頤의 영정이 남아 있고 관련시문이 전한다. 우암이 영정을 참배하고 영정의 편액을 쓰고 기문을 찬술하였다. 우암은 어촌이 영정을 구해온 행위가 기묘사류가 될 만하고 또 기묘사류 등용을 조정하려 했으니 영정을 모실만한 자격이 될 수 있음을 인정하였다. 이로 보아 어촌의 복직과 해운정에 전해지는 제현들의 시와 문장을 살펴 볼 때 해운정은 우암과 그 문인들과 깊은 교류로 인한 결과임을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종실록"

      2 이혜정, "어촌 심언광의 문학과 사상" 채륜 2014

      3 함춘순, "어촌 심언광의 문학과 사상" 강릉문화원 2014

      4 강릉문화원, "어촌 심언광의 문학과 사상" 강릉문화원 2014

      5 강릉문화원, "어촌 심언광의 문학과 사상" 강릉문화원 2010

      6 이규대, "강릉의 누정 자료집" 강릉문화원 1997

      7 許筠, "鶴山樵談"

      8 李選, "芝湖集"

      9 沈澄, "義谷遺稿"

      10 尹行恁, "碩齋稿"

      1 "중종실록"

      2 이혜정, "어촌 심언광의 문학과 사상" 채륜 2014

      3 함춘순, "어촌 심언광의 문학과 사상" 강릉문화원 2014

      4 강릉문화원, "어촌 심언광의 문학과 사상" 강릉문화원 2014

      5 강릉문화원, "어촌 심언광의 문학과 사상" 강릉문화원 2010

      6 이규대, "강릉의 누정 자료집" 강릉문화원 1997

      7 許筠, "鶴山樵談"

      8 李選, "芝湖集"

      9 沈澄, "義谷遺稿"

      10 尹行恁, "碩齋稿"

      11 沈彦光, "漁村集"

      12 박영주, "漁村 詩 評說" 강릉문화원 2015

      13 許筠, "惺叟詩話"

      14 宋時烈, "宋子大全"

      15 강릉문화원, "國譯 漁村集" 강릉문화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탈락(현장점검) (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문학보 -> 漢文學報
      외국어명 : 미등록 -> Han Mun Hak Bo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