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順天刊本’ 『景賢錄』의 편찬과 내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1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寒暄堂 金宏弼(1454∼1504)은 조선시대의 유학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그가 남긴 글은 매우 적다. 김굉필의 글을 모은 『景賢錄』에서도 그의 글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경현록』은 다른 사람들이 그에 관해 쓴 글을 모은 實紀類의 책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김굉필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는 이 책뿐이다. 『경현록』이 김굉필에 관한 다른 사람들의 글로 채워져 있다면 누구에 의해 어떤 과정을 거쳐 이 책이 편찬되었는지 세밀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 김굉필에 대한 어떤 연구도 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을 하지 않았다.
      『경현록』은 2권 1책의 ‘順天刊本’과 6권 3책의 ‘道東刊本’의 두 가지 版本이 있다. 이 두 판본은 새로운 내용이 덧붙여진 것 이상의 중요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김굉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판본을 비교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글은 우선 ‘순천간본’의 편찬과 간행을 살펴 그 작업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1563년에 순천부사로 부임한 李禎이 『경현록』을 처음 편찬하였으나, 이후 이황의 의견에 따라 대폭 수정하였다. 그 두 사람이 편찬한 내용, 즉 ‘龜巖定本’과 ‘退溪定本’을 합쳐 1565년 순천에서 간행한 책이 ‘순천간본’ 『경현록』이다. 이 ‘순천간본’의 가장 큰 특징은 上卷은 김굉필에 관한 내용을, 下卷은 曺偉에 관한 내용을 싣고 있다는 점이다.
      ‘구암정본’과 ‘퇴계정본’은 그 내용이 서로 다른 부분이 꽤 있었다. 특히 ‘구암정본’에 온전하게 실렸던 〈家範〉이 ‘퇴계정본’에는 실리지 않았다. ‘순천간본’에는 〈가범〉에 대한 간략한 언급만 있다. 그 결과 〈가범〉을 통해 살필 수 있는 김굉필의 모습을 더 이상 알 수 없게 되었다.
      이정에 의해 ‘순천간본’이 간행된 이후에도 『경현록』은 몇 차례에 걸쳐 重刊되었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판본으로는 박민헌의 甲戌중간본, 이수광의 戊午중간본, 이시만의 乙丑중간본이 있다. 『경현록』은 중간될 때마다 그 내용에 약간씩의 변화가 있었으며, 간행되는 장소도 바뀌었다. 이정이 처음 『경현록』을 간행한 곳은 순천 관아였다. 그러나 이시만이 을축중간본을 간행하기 이전부터 이미 옥천서원에서 『경현록』을 간행하고 있었다. 순천 관아에 있던 판본이 어느 시점에 옥천서원으로 옮겨졌고, 이후는 옥천서원에서 『경현록』을 간행했다.
      번역하기

      寒暄堂 金宏弼(1454∼1504)은 조선시대의 유학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그가 남긴 글은 매우 적다. 김굉필의 글을 모은 『景賢錄』에서도 그의 글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

      寒暄堂 金宏弼(1454∼1504)은 조선시대의 유학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그가 남긴 글은 매우 적다. 김굉필의 글을 모은 『景賢錄』에서도 그의 글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경현록』은 다른 사람들이 그에 관해 쓴 글을 모은 實紀類의 책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김굉필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는 이 책뿐이다. 『경현록』이 김굉필에 관한 다른 사람들의 글로 채워져 있다면 누구에 의해 어떤 과정을 거쳐 이 책이 편찬되었는지 세밀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 김굉필에 대한 어떤 연구도 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을 하지 않았다.
      『경현록』은 2권 1책의 ‘順天刊本’과 6권 3책의 ‘道東刊本’의 두 가지 版本이 있다. 이 두 판본은 새로운 내용이 덧붙여진 것 이상의 중요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김굉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판본을 비교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글은 우선 ‘순천간본’의 편찬과 간행을 살펴 그 작업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1563년에 순천부사로 부임한 李禎이 『경현록』을 처음 편찬하였으나, 이후 이황의 의견에 따라 대폭 수정하였다. 그 두 사람이 편찬한 내용, 즉 ‘龜巖定本’과 ‘退溪定本’을 합쳐 1565년 순천에서 간행한 책이 ‘순천간본’ 『경현록』이다. 이 ‘순천간본’의 가장 큰 특징은 上卷은 김굉필에 관한 내용을, 下卷은 曺偉에 관한 내용을 싣고 있다는 점이다.
      ‘구암정본’과 ‘퇴계정본’은 그 내용이 서로 다른 부분이 꽤 있었다. 특히 ‘구암정본’에 온전하게 실렸던 〈家範〉이 ‘퇴계정본’에는 실리지 않았다. ‘순천간본’에는 〈가범〉에 대한 간략한 언급만 있다. 그 결과 〈가범〉을 통해 살필 수 있는 김굉필의 모습을 더 이상 알 수 없게 되었다.
      이정에 의해 ‘순천간본’이 간행된 이후에도 『경현록』은 몇 차례에 걸쳐 重刊되었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판본으로는 박민헌의 甲戌중간본, 이수광의 戊午중간본, 이시만의 乙丑중간본이 있다. 『경현록』은 중간될 때마다 그 내용에 약간씩의 변화가 있었으며, 간행되는 장소도 바뀌었다. 이정이 처음 『경현록』을 간행한 곳은 순천 관아였다. 그러나 이시만이 을축중간본을 간행하기 이전부터 이미 옥천서원에서 『경현록』을 간행하고 있었다. 순천 관아에 있던 판본이 어느 시점에 옥천서원으로 옮겨졌고, 이후는 옥천서원에서 『경현록』을 간행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Kim Goengpil is an important figure in Confucian history of Chosun dynasty, there are only few remaining writings of him. Kyunghyun-Rok is almost the only text providing us the way to understand him. However, a greater part of Kyunghyun-Rok is comprised of writings about him which were written by others, not by Kim Goengpil himself. Therefore, we need to figure out writers and process of compiling Kyunghyun-Rok first. Then we can understand Kim Goengpil properly. Kyunghyun-Rok has two major editions, Suncheon Edition and Dodong Edition. Firstly, this article would focus on Suncheon Edition and trace back the process of compiliation.
      The initial Kyunghyun-Rok were published by Lee Jeong in 1563. And it was revised in opinion of Lee Hwang. The former is called Guam Edition, the latter is called Toegye Edition. And those two were merged into Suncheon Edition in 1565.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Guam Edition, the first edition of Kyunghyun-Rok and Suncheon Edition is in their contents. Guam Edition contained Kim Goengpil’s thought about the family rules. But, Lee Hwang regarded the contents on family rules are not necessary for describing Kim Goengpil as a moralist. So, importance of the contents about family rules was reduced significantly in Suncheon Edition.
      As appears by this case, the stance of compiler had great effect on each versions of Kyunghyun-Rok. Add to this, it’s restricted sources to approach Kim Goengpil caused many misunderstanding. That is why this article tries to figure out the process and the subjects of compilation.
      번역하기

      Although Kim Goengpil is an important figure in Confucian history of Chosun dynasty, there are only few remaining writings of him. Kyunghyun-Rok is almost the only text providing us the way to understand him. However, a greater part of Kyunghyun-Rok i...

      Although Kim Goengpil is an important figure in Confucian history of Chosun dynasty, there are only few remaining writings of him. Kyunghyun-Rok is almost the only text providing us the way to understand him. However, a greater part of Kyunghyun-Rok is comprised of writings about him which were written by others, not by Kim Goengpil himself. Therefore, we need to figure out writers and process of compiling Kyunghyun-Rok first. Then we can understand Kim Goengpil properly. Kyunghyun-Rok has two major editions, Suncheon Edition and Dodong Edition. Firstly, this article would focus on Suncheon Edition and trace back the process of compiliation.
      The initial Kyunghyun-Rok were published by Lee Jeong in 1563. And it was revised in opinion of Lee Hwang. The former is called Guam Edition, the latter is called Toegye Edition. And those two were merged into Suncheon Edition in 1565.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Guam Edition, the first edition of Kyunghyun-Rok and Suncheon Edition is in their contents. Guam Edition contained Kim Goengpil’s thought about the family rules. But, Lee Hwang regarded the contents on family rules are not necessary for describing Kim Goengpil as a moralist. So, importance of the contents about family rules was reduced significantly in Suncheon Edition.
      As appears by this case, the stance of compiler had great effect on each versions of Kyunghyun-Rok. Add to this, it’s restricted sources to approach Kim Goengpil caused many misunderstanding. That is why this article tries to figure out the process and the subjects of compi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順天刊本’의 편찬 과정
      • Ⅲ. ‘龜巖定本’과 ‘退溪定本’의 차이
      • Ⅳ. ‘순천간본’의 重刊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順天刊本’의 편찬 과정
      • Ⅲ. ‘龜巖定本’과 ‘退溪定本’의 차이
      • Ⅳ. ‘순천간본’의 重刊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