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그룹홈에 거주하는 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호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발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룹홈에 거주하는 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호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발달...
본 연구는 그룹홈에 거주하는 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호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발달장애 주간보호센터에 소속된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거주하는 20대 후반 자폐범주성장애 1급 성인 남성 3명이다. 단일대상연구설계 중 참여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적용하여 총 3개월 동안 각 참여자별로 기초선, 중재, 유지 구간을 포함하여 총 25회기 세션이 실시되었다.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에 조작적으로 정의된 상호작용 시도 행동과 반응 행동을 매회기 촬영된 동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관찰 및 측정하였다. 각 참여자는 음악적 환경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시도 및 반응 행동 시점을 알려주는 음악구조와 큐에 의해 구조화된 상호적 악기 연주에 참여하였는데, 중재 이후 모든 참여자의 상호작용 시도 행동, 반응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호적 악기 연주가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음악적으로 전달된 사회적 정보가 사회적 맥락 안에서 타그룹원의 의도를 이해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성 향상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n interactive instrument playing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 single subject design with multiple baselines across participants was applied, and three adults with...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n interactive instrument playing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 single subject design with multiple baselines across participants was applied, and three adults with severe ASD in their late 20s living at a group hom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received a total of 25 group sessions. During the intervention, participants engaged in structured instrument playing in which initiation and response to socially interactive behaviors were musically cued, and target behaviors were reinforced in the musical environment. At pre- and posttest, the frequency of initiation of and responding to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both initiation of, and response to, social interaction increased for all participants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interactive instrument playing increased social behaviors of adults with ASD. It also shows that musically delivered social information can facilitate adults with ASD understanding the intention of social partners in social contexts and motivate this population to engage in social interac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지, "학령전기 비구어 자폐 아동의 언어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의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 한국자폐학회 9 (9): 97-110, 2009
2 박소연, "특수교육 음악치료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2002년부터 2011년까지의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19 (19): 97-117, 2012
3 최신형, "음악치료가 발달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2 (12): 119-137, 2012
4 조정은,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8) : 135-152, 2009
5 박미혜, "음악 치료적 활동이 자폐성의 감소와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21-137, 2006
6 홍은숙, "방과 후 음악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25, 2012
7 Kern, P, "Using embedded music therapy interventions to support outdoor play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 an inclusive community based child care program" 43 (43): 270-294, 2006
8 Holloway, S. D,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kills" 3 (3): 39-53, 1988
9 Lee, S. H, "The relationship between stereotypic behavior and peer social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21 (21): 88-95, 1996
10 Robertson, A. 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sensitivity and autistic traits in the general population" 43 (43): 775-784, 2013
1 김수지, "학령전기 비구어 자폐 아동의 언어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의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 한국자폐학회 9 (9): 97-110, 2009
2 박소연, "특수교육 음악치료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2002년부터 2011년까지의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19 (19): 97-117, 2012
3 최신형, "음악치료가 발달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2 (12): 119-137, 2012
4 조정은,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8) : 135-152, 2009
5 박미혜, "음악 치료적 활동이 자폐성의 감소와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21-137, 2006
6 홍은숙, "방과 후 음악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25, 2012
7 Kern, P, "Using embedded music therapy interventions to support outdoor play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 an inclusive community based child care program" 43 (43): 270-294, 2006
8 Holloway, S. D,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kills" 3 (3): 39-53, 1988
9 Lee, S. H, "The relationship between stereotypic behavior and peer social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21 (21): 88-95, 1996
10 Robertson, A. 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sensitivity and autistic traits in the general population" 43 (43): 775-784, 2013
11 Gooding, L. F, "The effect of a music therapy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improving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ocial skills deficits" 48 (48): 440-462, 2011
12 유가을, "The Therapeutic Use of Music for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한국자폐학회 9 (9): 61-72, 2009
13 Sussman, J. E, "The Effect of Music on Peer Awareness in Preschool 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46 (46): 53-68, 2009
14 Orsmond, G. I, "Social participation among young adults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43 (43): 2710-2719, 2013
15 Crane, L, "Sensory processing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3 (13): 215-228, 2009
16 Carnahan, C, "Promoting active engagement in small group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autism and significant learning needs" 32 (32): 37-61, 2009
17 Wigram, T, "Music therapy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 : Clinical application and research evidence. Child : Care" 32 (32): 535-542, 2006
18 Chong, H. J,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4 (4): 57-64, 2002
19 Gold, C, "Music therapy for autistic spectrum disorder" 2006 (2006): CD004381-, 2006
20 Whipple, J, "Music in interven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 A meta-analysis" 41 (41): 90-106, 2004
21 Finnigan, E, "Increasing social responsiveness in a child with autism : A comparison of music and non-music interventions" 14 (14): 321-348, 2010
22 Walton, K. M, "Improving social skills i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utism and severe to profound intellectual disability : A review of the literature" 43 (43): 594-615, 2013
23 LaGasse, A. B, "Effects of a music therapy group intervention on enhancing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51 (51): 250-275, 2014
24 Boso, M, "Effect of long-term interactive music therapy on behavior profile and musical skills in young adults with severe autism" 13 (13): 709-712, 2007
25 유가을, "Differential Response to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ttentional Cues"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1 (11): 21-37, 2014
2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27 Yoon, M. S, "Current status of services and policy strategy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 154 : 1-17, 2013
28 Kaplan, R. S, "An analysis of music therapy program goals and outcomes for clients with diagnoses on the autism spectrum" 42 (42): 2-19, 2005
29 Mayer, J. L, "Age and sensory processing abnormalities predict declines in encoding and recall of temporally manipulated speech in high‐functioning adults with ASD" 7 (7): 40-49, 2014
30 Lee, S. R, "A study on comparing the disparity of responses to joint attention amo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Ewha Womans University 2013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초등학생의 리듬 재산출 능력과 인지기능 수준 간 상관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3-0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음악치료교육연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5 | 0.46 | 0.741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