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리듬 재산출 능력과 인지기능 수준 간 상관관계 = Correlation Between Rhythm Reproduction Task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in School-Aged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6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hythm reproduction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d children. A total of 59 third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iPad-based rhythm reproduction task, the Digit Span Test (DST), the 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 and a self-paced tapping task via a MIDI keyboard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cores at each stage of the iPad-based rhythm reproduction test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cor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 test scores. This result suggests that accuracy of a simple rhythm task is correlated to speed of self-paced tapping (second). Also cognitive function may affect rhythm grouping ability. Results of this analysis for each of 20 rhythm items showed that there was a common rhythm characteristics that correlated with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or self-paced tapping spe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hythm ability is related to, and predictive of,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an be used as an useful parameter when examining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d children in multifaceted dimension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hythm reproduction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d children. A total of 59 third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iPad-based rhythm reproduction task, the Digi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hythm reproduction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d children. A total of 59 third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iPad-based rhythm reproduction task, the Digit Span Test (DST), the 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 and a self-paced tapping task via a MIDI keyboard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cores at each stage of the iPad-based rhythm reproduction test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cor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 test scores. This result suggests that accuracy of a simple rhythm task is correlated to speed of self-paced tapping (second). Also cognitive function may affect rhythm grouping ability. Results of this analysis for each of 20 rhythm items showed that there was a common rhythm characteristics that correlated with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or self-paced tapping spe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hythm ability is related to, and predictive of,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an be used as an useful parameter when examining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d children in multifaceted dimen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리듬 수행 능력과 인지 능력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 연령 9세의 초등학생 59명을 대상으로 iPad 기반 리듬 수행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DST), 아동 색선로 검사(CCTT), 키보드를 활용한 자가탭핑 검사를 진행하였다. 검사 결과, 리듬 재산출의 정확도(accuracy)를 측정하는 리듬 수행 검사 1단계 10개 문항은 자가탭핑 평균 속도(s)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리듬 수행 검사 2단계에서 측정하는 그룹핑(grouping) 능력은 CCTT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문항 특성에 따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일정한 리듬이 두 번 이상 연속으로 반복되어 제공되는 리듬꼴의 정확한 수행은 자가탭핑 속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분할박이 많은 리듬꼴의 리듬 수행력은 CCTT, 즉 집행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리듬 재산출 과제가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의 인지 기능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이 산출하는 자가탭핑 속도, 즉 내적 리듬 특성이 인지 기능과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관련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이러한 리듬 수행력이 인지 기능의 측정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추후 리듬꼴의 특징 및 리듬 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리듬 수행력이 학령기 아동의 인지적, 정서행동적, 음악적 특성을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제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동의 리듬 수행 능력과 인지 능력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 연령 9세의 초등학생 59명을 대상으로 iPad 기반 리듬 수행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DST), 아동 ...

      본 연구는 아동의 리듬 수행 능력과 인지 능력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 연령 9세의 초등학생 59명을 대상으로 iPad 기반 리듬 수행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DST), 아동 색선로 검사(CCTT), 키보드를 활용한 자가탭핑 검사를 진행하였다. 검사 결과, 리듬 재산출의 정확도(accuracy)를 측정하는 리듬 수행 검사 1단계 10개 문항은 자가탭핑 평균 속도(s)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리듬 수행 검사 2단계에서 측정하는 그룹핑(grouping) 능력은 CCTT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문항 특성에 따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일정한 리듬이 두 번 이상 연속으로 반복되어 제공되는 리듬꼴의 정확한 수행은 자가탭핑 속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분할박이 많은 리듬꼴의 리듬 수행력은 CCTT, 즉 집행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리듬 재산출 과제가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의 인지 기능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이 산출하는 자가탭핑 속도, 즉 내적 리듬 특성이 인지 기능과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관련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이러한 리듬 수행력이 인지 기능의 측정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추후 리듬꼴의 특징 및 리듬 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리듬 수행력이 학령기 아동의 인지적, 정서행동적, 음악적 특성을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제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찬원,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교육적 탐색: 이론적 특성 및 개별교수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81-104, 2010

      2 신윤희, "학교부적응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및 문제행동 유형간의 관계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197-213, 2010

      3 조한익,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07-229, 2014

      4 이주섭, "초등학교 3학년의 읽기쓰기 기초 학력에 대한 분석-2002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11) : 301-326, 2004

      5 김소영,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기초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고찰"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33-256, 2009

      6 권점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분석 - 2011년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습 진단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 16 (16): 163-182, 2013

      7 노민정, "주의문제 유아와 일반유아의 실행기능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적응" 인지발달중재학회 2 (2): 13-35, 2011

      8 승윤희, "인지의 상향/하향처리과정 이해와 음악적 사고에 대한 재고(再考)"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147-169, 2012

      9 박주리, "아동용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 결함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1-23, 2012

      10 강연욱,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911-922, 2002

      1 송찬원,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교육적 탐색: 이론적 특성 및 개별교수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81-104, 2010

      2 신윤희, "학교부적응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및 문제행동 유형간의 관계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197-213, 2010

      3 조한익,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07-229, 2014

      4 이주섭, "초등학교 3학년의 읽기쓰기 기초 학력에 대한 분석-2002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11) : 301-326, 2004

      5 김소영,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기초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고찰"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33-256, 2009

      6 권점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분석 - 2011년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습 진단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 16 (16): 163-182, 2013

      7 노민정, "주의문제 유아와 일반유아의 실행기능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적응" 인지발달중재학회 2 (2): 13-35, 2011

      8 승윤희, "인지의 상향/하향처리과정 이해와 음악적 사고에 대한 재고(再考)"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147-169, 2012

      9 박주리, "아동용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 결함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1-23, 2012

      10 강연욱,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911-922, 2002

      11 공영숙, "국내 실행기능연구의 동향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61-75, 2011

      12 Banich, M. T, "The student’s guide to cognitive neuroscience" Sigmapress 2009

      13 Deutsch, D, "The psychology of music" University of California 1999

      14 Park, G. S, "The effects of the music activities on the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of new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3 (3): 57-69, 2013

      15 Hargreaves, D. J,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of music" Kyohaksa 2010

      16 Zelazo, P. D,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68 (68): 1-151, 2003

      17 Parmentier, F. B, "Temporal grouping in auditory spatial serial memory" 11 (11): 501-507, 2004

      18 Chong, H. J,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gnitive skills and academic skills" 3 (3): 63-76, 2006

      19 Henson, R. N. A, "Recoding, storage, rehearsal and grouping in verbal short-term memory : An fMRI study" 38 (38): 426-440, 2000

      20 Duerksen, G,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Protocol for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ognitive and Emotional-Behavioral Domain using Rhythm (MACED-Rhythm)"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0 (10): 67-83, 2013

      21 Radocy, R. E, "Music Psychology" Hakjisa 2001

      22 Holm, L, "Motor and executive control in repetitive timing of brief intervals" 39 (39): 365-380, 2013

      23 Hwang, S. T,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orea Psychology 2008

      24 Ullen, F, "Intelligence and variability in a simple timing task share neural substrates in the prefrontal white matter" 28 (28): 4238-4243, 2008

      25 Holm, L, "Intelligence and temporal accuracy of behaviour : Unique and shared associations with reaction time and motor timing" 214 (214): 175-183, 2011

      26 Ryan, J, "Grouping and short-term memory : Different means and patterns of grouping" 21 (21): 137-147, 1969

      27 Ashcraft, M. H, "Fundamentals of cognition" Longman 1998

      28 Song, H. J, "Executive fun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3 (3): 31-39, 2011

      29 Chelonis, J. J, "Developmental aspects of timing behavior in children" 26 (26): 461-476, 2004

      30 Do, R. M,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hood" 2 (2): 1-12, 2010

      31 Baars, B. J, "Cognition, brain, and consciousness : Introduction to cognitive neuroscience" Kyobo 2010

      32 Shin, M. S, "Children’s color trails test : Professional manual" Hakjisa 2007

      33 Ullen, F, "Bottom-up mechanisms are involved in the relation between accuracy in timing tasks and intelligence: Further evidence using manipulations of state motivation" 40 (40): 100-106, 2009

      34 Kalat, J. W, "Biological psychology"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84

      35 Anderson, P,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EF)during childhood" 8 (8): 71-82,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3-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음악치료교육연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46 0.741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