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부 산업장 근로자의 결손치에 관한 영향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30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향후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유지할 수 있는 구강 보건사업 및 제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경북 구미시에 소재하는 49개 산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7,185명을 대상으로 치과의사 4인이 산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인공조명하에서 치경과 핀셋, 탐침, 설압자를 이용하여 구강검사를 실시한 후 결손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한 결손치에 영향을 미치는 문항은 구강검진문진표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회수된 구강검사결과통보서 7,185개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209개를 제외한 6,976개의 자료를 SPSS 12.0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층이 높은 경우, 치석제거를 받지 않은 경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과거에 흡연을 했거나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경우, 양치횟수가 적은 경우, 치아가 욱신한 경우, 잇몸에 통증 및 출혈과 혀 및 뺨이 욱신한 경우에 결손치율은 높았다.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결손치의 원인인 치면세균막과 치석을 제거할 수 있는 스켈링의 유효성을 인지시켜, 스켈링의 경험률을 높여주고, 금연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검진을 통한 충분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유지하는데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향후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유지할 수 있는 구강 보건사업 및 제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향후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유지할 수 있는 구강 보건사업 및 제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경북 구미시에 소재하는 49개 산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7,185명을 대상으로 치과의사 4인이 산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인공조명하에서 치경과 핀셋, 탐침, 설압자를 이용하여 구강검사를 실시한 후 결손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한 결손치에 영향을 미치는 문항은 구강검진문진표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회수된 구강검사결과통보서 7,185개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209개를 제외한 6,976개의 자료를 SPSS 12.0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층이 높은 경우, 치석제거를 받지 않은 경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과거에 흡연을 했거나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경우, 양치횟수가 적은 경우, 치아가 욱신한 경우, 잇몸에 통증 및 출혈과 혀 및 뺨이 욱신한 경우에 결손치율은 높았다.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결손치의 원인인 치면세균막과 치석을 제거할 수 있는 스켈링의 유효성을 인지시켜, 스켈링의 경험률을 높여주고, 금연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검진을 통한 충분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유지하는데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available for forming the better oral health habit by closely examining a cause for industrial workers tooth loss. It analyzed correlation in missing teeth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habit related to oral health, and oral symptom targeting 6,976 of production workers and office workers who work at 49 industrial places where are located in Gumi cit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from June 1, 2009 to December 31, thereby having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higher age group led to the higher ratio of missing teeth.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lower in a case of having been removed plaque than having not been removed plaque. 2.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in a case of having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in a case of having smoked in the past or in a case of smoking now. 3.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in a case of having less toothbrushing frequency and in a case of not using dental floss or interdental brush. 4.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when a tooth is throbbing and when tongue and cheek are throbbing in addition to pain and bleeding in gum. 5.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in a case of having unpleasant bad breath. The above results are expected to be likely conducive to offering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the oral health educational program for industrial places that can promote and maintain workers oral health, and for improving oral health program and system available for promoting and maintaining workers oral health hereafter.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available for forming the better oral health habit by closely examining a cause for industrial workers tooth loss. It analyzed correlation in missing teeth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iv...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available for forming the better oral health habit by closely examining a cause for industrial workers tooth loss. It analyzed correlation in missing teeth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habit related to oral health, and oral symptom targeting 6,976 of production workers and office workers who work at 49 industrial places where are located in Gumi cit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from June 1, 2009 to December 31, thereby having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higher age group led to the higher ratio of missing teeth.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lower in a case of having been removed plaque than having not been removed plaque. 2.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in a case of having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in a case of having smoked in the past or in a case of smoking now. 3.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in a case of having less toothbrushing frequency and in a case of not using dental floss or interdental brush. 4.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when a tooth is throbbing and when tongue and cheek are throbbing in addition to pain and bleeding in gum. 5. The ratio of missing teeth was high in a case of having unpleasant bad breath. The above results are expected to be likely conducive to offering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the oral health educational program for industrial places that can promote and maintain workers oral health, and for improving oral health program and system available for promoting and maintaining workers oral health hereaf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 Ⅳ. 고찰
      • Ⅴ.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화, "현대 자동차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 및 인지도에 관한 조사" 12 (12): 47-54, 2002

      2 백대일, "한국인의 치경부마모증에 관한 연구" 19 (19): 175-182, 1995

      3 김영진, "치주학" 대한나래출판사 19-, 2003

      4 서현석, "충남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수준 및 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27 (27): 641-654, 2003

      5 신정제, "직장근로자들의 스케일링 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사회학회 (21) : 101-119, 2007

      6 권미영, "임산부의 치은염 이환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8

      7 최충호, "일부 산취급 근로자의 치아부식증 실태 및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 26 (26): 535-554, 2002

      8 김병재, "일부 대기업 노동자의 구강보건의식" 부산대학교 2004

      9 최미혜, "의료기관 근로자와 비의료기관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 비교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33 (33): 552-563, 2009

      10 강신영, "외항선 승조원의 연령별 구강건강관리실태 조사 연구" 3 (3): 27-48, 1978

      1 이정화, "현대 자동차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 및 인지도에 관한 조사" 12 (12): 47-54, 2002

      2 백대일, "한국인의 치경부마모증에 관한 연구" 19 (19): 175-182, 1995

      3 김영진, "치주학" 대한나래출판사 19-, 2003

      4 서현석, "충남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수준 및 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27 (27): 641-654, 2003

      5 신정제, "직장근로자들의 스케일링 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사회학회 (21) : 101-119, 2007

      6 권미영, "임산부의 치은염 이환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8

      7 최충호, "일부 산취급 근로자의 치아부식증 실태 및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 26 (26): 535-554, 2002

      8 김병재, "일부 대기업 노동자의 구강보건의식" 부산대학교 2004

      9 최미혜, "의료기관 근로자와 비의료기관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 비교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33 (33): 552-563, 2009

      10 강신영, "외항선 승조원의 연령별 구강건강관리실태 조사 연구" 3 (3): 27-48, 1978

      11 임기정, "외과적 치주치료 중 치주질환으 로 기인된 치아별 상실율에 관한 연구" 30 (30): 413-420, 1990

      12 김승희, "순천시 일개 초등학교의 제일대구치 건강도 조사"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09-216, 2010

      13 김동열,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혜택여부에 따른 김해시민의 의식과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30 (30): 387-399, 2006

      14 고대호, "설탕제조업체 종사자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조사연구" 6 (6): 78-83, 1997

      15 김문조, "서울시내모방적공장 여근로원 구강보건실태의 30년을 격한 연구" 13 (13): 339-346, 1975

      16 이명선,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습관의 관련요인분석" 12 (12): 48-61, 1995

      17 김혜진, "산업 근로자의 구강건강실태 및 구강질환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28 (28): 158-167, 2002

      18 이태현,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태도 및 행동" 21 (21): 279-300, 1997

      19 전동균, "사무금융직 노동자와 산업체 생산직 노동자의 구강건강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2 (2): 1-47, 1993

      20 김은경, "부속치과가 개설된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전남대학교 2009

      21 이재화, "대도시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가정주부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 20 (20): 509-529, 1996

      22 김종배, "근로자의 구강보건의식과 구강보건행동에 관한 조사 연구" 23 (23): 95-111, 1999

      23 송유경,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리실태와 치주질환의 관련성" 2009

      24 대한치과의사협회, "근로자구강건강관리 방안에 관한 토론회" 13 (13): 331-345, 2004

      25 안유동, "구강세척기를 이용한 구강세척효과에관 한 임상적 실험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4

      26 김종배, "공중구강보건학(4판)" 고문사 98-105, 2004

      27 장분자, "경상북도일부 농촌지역주민의 치과의료 이용양상 및 관련요인" 28 (28): 172-182, 2003

      28 최령, "건강보험 건강검진 대상자들의 예방적 의료서비스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31-340, 2011

      29 보건복지부, "건강검진실시기준 중 개정(안)입안예고 공고 제2002-45호"

      30 K. Masalin, "Work-related behavioral and dental risk factors among confectionery workers" 18 (18): 388-392, 1992

      31 V. Baelum, "Tooth loss as related to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breakdown in adult Tanzanians" 14 (14): 353-357, 1986

      32 T. Dietrich, "Tobacco use and incidence of tooth loss among US male health professionals" 86 (86): 373-377, 2007

      33 E. Morrison, "The significance of gingivitis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of dental treatment" 53 (53): 31-34, 1982

      34 M. J. Hahn, "The dental status of workers on offshore installations in the UK oil and gas industry" 163 (163): 262-264, 1987

      35 E. A. Krall, "Smoking, Smoking cessation and tooth loss" 76 (76): 1653-1659, 1997

      36 P. E. Petersen, "Oral conditions among German battery factory workers" 19 (19): 104-106, 1991

      37 S. P. Ramfjord, "Oral Hygine maintenance of periodontol support" 53 (53): 26-30, 1982

      38 G. P. Feaver, "Occupational dentistry : a review of 100 years of dental care in the workplace" 38 (38): 41-43, 1988

      39 P. E. Petersen, "Evaluation of a dental preventive program for Danish chocolate workers" 17 (17): 53-59, 1989

      40 L. J. Brown, "Evaluating periodontal status of US employed adults" 121 (121): 226-232, 1990

      41 D. Malcolm, "Erosion of the teeth due to sulphuric acid in the battery industry" 18 : 63-69, 1961

      42 N. W. Littleton,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among Ethiopian civilians" 78 : 631-640, 1963

      43 M. Hohlfeld, "Application of th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CPITN) in a group of 45-54-year-oldGerman factory workers" 20 (20): 551-556, 1993

      44 J. Bergstrom, "An epidemiological approach to toothbrushing and dental abrasion" 7 (7): 57-64,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