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여행 네비게이션 시스템 구현 = Development of Customized Trip Navigation System Using Open Government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49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e flag of creative economy, Korea government is now releasing public data in order to develop or provide a range of services. In this paper, we develop a customized trip navigation system to recommend a trip itinerary based on integration of open government data and personal tourist data. The system uses case-based reasoning (CBR) to provide a personalized trip navigation servic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existing trip information systems and ours is that our system can offers a user-oriented information service. In addition, our system supports Turn-key style contents provision to maximize convenience. Our system can be a good example of the way in which open government data can be used to design a new service.
      번역하기

      Under the flag of creative economy, Korea government is now releasing public data in order to develop or provide a range of services. In this paper, we develop a customized trip navigation system to recommend a trip itinerary based on integration of o...

      Under the flag of creative economy, Korea government is now releasing public data in order to develop or provide a range of services. In this paper, we develop a customized trip navigation system to recommend a trip itinerary based on integration of open government data and personal tourist data. The system uses case-based reasoning (CBR) to provide a personalized trip navigation servic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existing trip information systems and ours is that our system can offers a user-oriented information service. In addition, our system supports Turn-key style contents provision to maximize convenience. Our system can be a good example of the way in which open government data can be used to design a new serv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형준,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LBS의 개인화"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1 (11): 1-11, 2010

      2 김치연, "클라우드 환경에서 확장성을 지원하는 트랜잭션 처리 방법" 한국전자통신학회 7 (7): 873-879, 2012

      3 송인국, "인터넷기반 공공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혜택, 기회, 비용, 그리고 위험요소 관점에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6 (16): 131-139, 2015

      4 서형준, "수요자 중심의 공공 데이터 민간 활용 방안: 민간부문 정보통신 담당자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61-86, 2014

      5 최진원, "공공정보 이용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법학회 16 (16): 237-266, 2012

      6 J. Nielsen, "Why You Only Need to Test With 5 Users"

      7 J. Kim, "Understanding of Public Data use and its Forein Cases" (6) : 2014

      8 "Open Data Korea Forum, Provision of Public Data and Creation of Jobs"

      9 W. Park, "Cases of Public Data Use for Construction of Creative Economy Foundation" 72 : 30-43, 2014

      10 F. Ricci, "Case Base Querying for Travel Planning Recommendation" 4 (4): 215-226, 2001

      1 권형준,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LBS의 개인화"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1 (11): 1-11, 2010

      2 김치연, "클라우드 환경에서 확장성을 지원하는 트랜잭션 처리 방법" 한국전자통신학회 7 (7): 873-879, 2012

      3 송인국, "인터넷기반 공공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혜택, 기회, 비용, 그리고 위험요소 관점에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6 (16): 131-139, 2015

      4 서형준, "수요자 중심의 공공 데이터 민간 활용 방안: 민간부문 정보통신 담당자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61-86, 2014

      5 최진원, "공공정보 이용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법학회 16 (16): 237-266, 2012

      6 J. Nielsen, "Why You Only Need to Test With 5 Users"

      7 J. Kim, "Understanding of Public Data use and its Forein Cases" (6) : 2014

      8 "Open Data Korea Forum, Provision of Public Data and Creation of Jobs"

      9 W. Park, "Cases of Public Data Use for Construction of Creative Economy Foundation" 72 : 30-43, 2014

      10 F. Ricci, "Case Base Querying for Travel Planning Recommendation" 4 (4): 215-226, 2001

      11 "Act on Promotion of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0.85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