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uits의 관점에서 바라본 게임스포츠(GS)와 공연스포츠(PS) = Game Sports (GS) and Performance Sports (PS) from the Perspective of Sui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7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Suits는 그의 논문 「묘한 삼자관계: 게임, 놀이, 스포츠」(1988)에서 축구와 같은 경기인 게임스포츠(Game Sports, GS)와 피겨스케이팅과 같은 공연스포츠(Performance Sports, PS)의 차이를 탐구한다. 과거 그는 GS와 PS의 차이를 경기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무엇으로부터 발생되었는가’하는 점에 주목했다. 하지만 그는 GS와 PS에서 요구되는 기술 발전의 근원에 대한 차이를 구분의 근거로 입장을 수정한다. 즉 PS의 경우 기술은 아름다움이라는 이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등장한다면, GS에서 요구되는 기술은 규칙이라고 하는 인공적인 장벽을 극복해내기 위하여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Hurka는 자신의 논문 「공연스포츠에 대하여」(2015)에서 경기의 참가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사태라고 하는 전-경합목표(pre-lusory goal, PLG)의 개념을 이용하여 Suits의 PS와 GS 구분을 부정하는 논변을 제시한다. Hurka의 Suits 논박의 핵심은 PS 역시 GS와 마찬가지로 PLG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경기에서 요구되는 기술 발전의 근원에 대한 차이로 GS와 PS로 구분한 Suits의 주장에 대하여, PS에도 게임의 요소가 본질적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함으로써 그의 구분을 부정하는 Hurka의 논변을 살펴본다. 그리고 ‘아름다움’이라는 속성을 추가하여 PS에도 PLG를 가정한다면, PLG에 인공적인 장벽을 만들기 위한 설정에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것과 설령 그 실질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게 된다고 할지라도, 결과하게 되는 경기는 원래의 경기와는 다른 경기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그의 논변이 잘못됨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논의를 통하여 GS와 PS의 구분은 여전히 의미 있다는 것 이외에, Suits도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던 4영역과 7영역의 관계 역시 드러나게 됨을 볼 것이다.
      번역하기

      Suits는 그의 논문 「묘한 삼자관계: 게임, 놀이, 스포츠」(1988)에서 축구와 같은 경기인 게임스포츠(Game Sports, GS)와 피겨스케이팅과 같은 공연스포츠(Performance Sports, PS)의 차이를 탐구한다. 과...

      Suits는 그의 논문 「묘한 삼자관계: 게임, 놀이, 스포츠」(1988)에서 축구와 같은 경기인 게임스포츠(Game Sports, GS)와 피겨스케이팅과 같은 공연스포츠(Performance Sports, PS)의 차이를 탐구한다. 과거 그는 GS와 PS의 차이를 경기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무엇으로부터 발생되었는가’하는 점에 주목했다. 하지만 그는 GS와 PS에서 요구되는 기술 발전의 근원에 대한 차이를 구분의 근거로 입장을 수정한다. 즉 PS의 경우 기술은 아름다움이라는 이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등장한다면, GS에서 요구되는 기술은 규칙이라고 하는 인공적인 장벽을 극복해내기 위하여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Hurka는 자신의 논문 「공연스포츠에 대하여」(2015)에서 경기의 참가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사태라고 하는 전-경합목표(pre-lusory goal, PLG)의 개념을 이용하여 Suits의 PS와 GS 구분을 부정하는 논변을 제시한다. Hurka의 Suits 논박의 핵심은 PS 역시 GS와 마찬가지로 PLG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경기에서 요구되는 기술 발전의 근원에 대한 차이로 GS와 PS로 구분한 Suits의 주장에 대하여, PS에도 게임의 요소가 본질적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함으로써 그의 구분을 부정하는 Hurka의 논변을 살펴본다. 그리고 ‘아름다움’이라는 속성을 추가하여 PS에도 PLG를 가정한다면, PLG에 인공적인 장벽을 만들기 위한 설정에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것과 설령 그 실질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게 된다고 할지라도, 결과하게 되는 경기는 원래의 경기와는 다른 경기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그의 논변이 잘못됨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논의를 통하여 GS와 PS의 구분은 여전히 의미 있다는 것 이외에, Suits도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던 4영역과 7영역의 관계 역시 드러나게 됨을 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article “Tricky Triad: Games, Play, and Sport,” Suits explores the difference between “game sports”(GS) such as soccer, and “performance sports”(PS) such as figure skating. In the past, Suits paid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activities as “what the skills of games and performances are generated from.” However, he revised his position based on the difference in “how such skills used in the games and performances come from”; whereas the skills emerge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ideal of beauty in the case of PS, the skills required in GS are created to overcome artificial barriers called rules. This article examines Hurka’s argument that denies Suits’ distinction of GS and PS by saying that the elements of games are inherently included in PS. Sub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an argument to show that His argument is not sound. Hurka, in his paper “On Judged Sports,” presents an argument that denies the distinction between Suits’ PS and GS using the concept of a pre-lusory goal (PLG), which is the state of affairs that the participants of a game want to achieve. The point of Hurka’s argument against Suits’s argument is that PS can be set PLG just like GS. This study examines Hurka’s argument denying this distinction by saying that the elements of games are inherently included in PS. Moreover even if it is possible to assume PLG in PS by adding the attribute of “beauty,”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in setting up an artificial barrier to PLG, and even if the practical difficulties are overcome, this study shows his argument is invalid since the resulting game would be a different game than the original one.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4 and area 7, which Suits did not explicitly explain, will also possibly be revealed.
      번역하기

      In the article “Tricky Triad: Games, Play, and Sport,” Suits explores the difference between “game sports”(GS) such as soccer, and “performance sports”(PS) such as figure skating. In the past, Suits paid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In the article “Tricky Triad: Games, Play, and Sport,” Suits explores the difference between “game sports”(GS) such as soccer, and “performance sports”(PS) such as figure skating. In the past, Suits paid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activities as “what the skills of games and performances are generated from.” However, he revised his position based on the difference in “how such skills used in the games and performances come from”; whereas the skills emerge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ideal of beauty in the case of PS, the skills required in GS are created to overcome artificial barriers called rules. This article examines Hurka’s argument that denies Suits’ distinction of GS and PS by saying that the elements of games are inherently included in PS. Sub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an argument to show that His argument is not sound. Hurka, in his paper “On Judged Sports,” presents an argument that denies the distinction between Suits’ PS and GS using the concept of a pre-lusory goal (PLG), which is the state of affairs that the participants of a game want to achieve. The point of Hurka’s argument against Suits’s argument is that PS can be set PLG just like GS. This study examines Hurka’s argument denying this distinction by saying that the elements of games are inherently included in PS. Moreover even if it is possible to assume PLG in PS by adding the attribute of “beauty,”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in setting up an artificial barrier to PLG, and even if the practical difficulties are overcome, this study shows his argument is invalid since the resulting game would be a different game than the original one.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4 and area 7, which Suits did not explicitly explain, will also possibly be reveal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철, "스포츠에서의 몰입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경기력 향상제 사용 비판" 한국체육철학회 30 (30): 19-29, 2022

      2 김홍식, "스포츠 이론의 전개: 슈츠의 스포츠 구성요소" 한국체육철학회 30 (30): 35-55, 2022

      3 Suits, B., "Tricky Triad : Games, Play, and Sport" 15 (15): 1-9, 1988

      4 Meier, K. V., "Triad Trickery : Playing with Sport and Games" 15 (15): 11-30, 1988

      5 Suits, B., "The Grasshopper: Games, Life and Utopia" Nonpareil Books 1978

      6 Lebed, F., "Physical Activity Is Not Necessary: The Notion of Sport as Unproductive Officialised Competitive Game" 16 (16): 111-129, 2022

      7 Suits, B., "Philosophic Inquiry in Sport" Human Kinetics 39-48, 1988

      8 Hurka, T., "On Judged Sports" 42 (42): 317-325, 2015

      9 Kretchmar, R. S., "On Beautiful Games" 16 (16): 34-43, 1989

      10 Kretchmar, R. S., "Gaming up Life : Considerations for Game Expansions" 35 (35): 142-155, 2008

      1 김현철, "스포츠에서의 몰입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경기력 향상제 사용 비판" 한국체육철학회 30 (30): 19-29, 2022

      2 김홍식, "스포츠 이론의 전개: 슈츠의 스포츠 구성요소" 한국체육철학회 30 (30): 35-55, 2022

      3 Suits, B., "Tricky Triad : Games, Play, and Sport" 15 (15): 1-9, 1988

      4 Meier, K. V., "Triad Trickery : Playing with Sport and Games" 15 (15): 11-30, 1988

      5 Suits, B., "The Grasshopper: Games, Life and Utopia" Nonpareil Books 1978

      6 Lebed, F., "Physical Activity Is Not Necessary: The Notion of Sport as Unproductive Officialised Competitive Game" 16 (16): 111-129, 2022

      7 Suits, B., "Philosophic Inquiry in Sport" Human Kinetics 39-48, 1988

      8 Hurka, T., "On Judged Sports" 42 (42): 317-325, 2015

      9 Kretchmar, R. S., "On Beautiful Games" 16 (16): 34-43, 1989

      10 Kretchmar, R. S., "Gaming up Life : Considerations for Game Expansions" 35 (35): 142-15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