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자의 하학상달(下學上達)을 바탕으로 인간의 움직임과 관련된 세계관을 인식이나 의식 내용으로 포착하여, 이들 간의 유기적 연관을 해명하려는 노력을 통해 체육의 교육적 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67383
2023
Korean
Hahaksangdal (下學上達) ; Physical Education ; Whole person ; Benevolence (仁) ; Etiquette ; 하학상달(下學上達) ; 체육 ; 인(仁) ; 전인(佃人) ; 예(禮)
KCI등재
학술저널
83-92(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자의 하학상달(下學上達)을 바탕으로 인간의 움직임과 관련된 세계관을 인식이나 의식 내용으로 포착하여, 이들 간의 유기적 연관을 해명하려는 노력을 통해 체육의 교육적 본...
본 연구는 공자의 하학상달(下學上達)을 바탕으로 인간의 움직임과 관련된 세계관을 인식이나 의식 내용으로 포착하여, 이들 간의 유기적 연관을 해명하려는 노력을 통해 체육의 교육적 본질에 대한 이해 확장을 모색하는 것이다. 공자는 하학상달을 통하여 기본적인 삶의 방식을 익히게 하고, 이후 예를 배워 진리를 터득하게 한다. 즉 공자는 평이하고 가까운 곳을 공부하여 전체적인 이치로 나아갈 수 있는 인식을 고양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인식적 변화는 교육을 통해 인간의 목적적 행동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한다. 체육은 신체활동을 매개로 어떠한 목적을 기를 것을 기대한다. 여기서 신체활동을 매개로 하는 교육이 하학(下學)이다. 그리고 기르고자 기대하는 어떠한 목적이 우리 교과의 본질인 상달(上達)이다. 교과 본질이 명확해진다면, 목표에 따른 내용은 개인이나 사회의 의도를 보다 수월하게 개재(介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교과 내용을 구성하는 두 요소인 기능과 지식을 도덕적 인식 속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체육의 교육적 목적을 재인식시킬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purposeful human behavior through Confucius’ concept of Hahaksangdal (下學上達). Confucius follows a progression from learning the fun...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purposeful human behavior through Confucius’ concept of Hahaksangdal (下學上達). Confucius follows a progression from learning the fundamentals of life through Hahaksangdal, and then advances his knowledge through the study of prophecies. Confucius emphasizes the transition from a limited perspective to a more comprehensive one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Hahak. This shift in cognition enables the examination of purposeful human behavior within an educational context. In the context of physical education, there is an expectation to cultivate specific purposes through physical activities, which can be seen as a form of Hahak. The intended purpose to be nurtured is the core of our subject, namely excellence. When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 subject becomes clear, it becomes easier to align individual or societal intentions with the goals set by the content. In this regard, the study delves into the three mental elements of human beings —intellect, emotion, and will— in relation to the obj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Traditionally, knowledge, justice, and righteousness have been confined to the realm of justice. However, this study aims to reevaluate the intrinsic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by examining intelligence, justice, and righteousness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exploration, the study anticipates an improved representation of physical education as a discipline that can investigate human movement at an intellectual level.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集註"
2 "論語"
3 김태형 ; 조순묵, "한국과 일본의 체육교육 목표 변천에 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139-156, 2010
4 최의창, "학교체육수업을 통한 정의적 영역의 교육: 통합적 접근의 가능성 탐색"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2 (22): 2025-2041, 2011
5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6 안양옥, "통합적 재검토를 통한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1 (11): 1-23, 2004
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8 김동규, "체육학·체육철학의 정체성 찾기" 한국체육철학회 12 (12): 23-40, 2004
9 김성곤, "체육교육의 목적에 관한 소고 :‘신체의 교육’의 측면에서" 한국초등체육학회 21 (21): 11-25, 2016
10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1]"
1 "論語集註"
2 "論語"
3 김태형 ; 조순묵, "한국과 일본의 체육교육 목표 변천에 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139-156, 2010
4 최의창, "학교체육수업을 통한 정의적 영역의 교육: 통합적 접근의 가능성 탐색"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2 (22): 2025-2041, 2011
5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6 안양옥, "통합적 재검토를 통한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1 (11): 1-23, 2004
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8 김동규, "체육학·체육철학의 정체성 찾기" 한국체육철학회 12 (12): 23-40, 2004
9 김성곤, "체육교육의 목적에 관한 소고 :‘신체의 교육’의 측면에서" 한국초등체육학회 21 (21): 11-25, 2016
10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1]"
11 이학준, "체육계 학과 명칭의 정립과 그 정체성의 철학적 조명" 한국체육철학회 18 (18): 115-126, 2010
12 강신복, "체육 학문화 운동과 체육교과의 성격" 20 (20): 1-11, 1991
13 임석진, "철학사전" 중원문화 2012
14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대사전" 동녘 1994
15 고회민,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4
16 박종률, "스포츠맨십에 대한 목표 인식 변화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01-118, 2006
17 안용규 ; 김동규 ; 권오륜 ; 송형석 ; 김홍식, "스포츠 관련 용어 정의 재정립" 한국체육철학회 19 (19): 33-60, 2011
18 남상호, "서원의 인성교육 - 철학치유의 방법을 찾아서" 인문과학연구소 (49) : 377-406, 2016
19 이학준, "미국 체육 명칭의 역사적 고찰과 철학적 성찰" 한국체육철학회 21 (21): 15-28, 2013
20 변원종, "동양고전의 윤리의식과 도덕적 인물" 북코리아 2015
21 이토 진사이, "논어고의" 그린비 2016
22 유교문화연구소, "논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2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도서출판 하우 2006
24 손기원, "공자처럼 학습하라" 새로운 제안 2012
25 박지혜, "공자의 호학 사상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6 蔡仁厚, "공자의 철학" 예문서원 2000
27 "莊子"
28 "王陽明全書"
29 민영현, "弘益人間과 한국문화" 동양문화연구원 6 : 25-57, 2010
30 "大學"
Suits의 관점에서 바라본 게임스포츠(GS)와 공연스포츠(PS)
남북 스포츠교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탐색: 통일스포츠를 향한 빅퀘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