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國의 保障性 住宅政策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대립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flict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 Housing Security Policy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80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의 보장성 주택정책을 두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효용불일치에서 오는 대립에 관한 연구이다. 중국에서 1998년에 주택분배화폐화정책(住房分配貨幣化政策)으로 대변되는 시장경제로의 전환이 되면서 시장에서의 주택 구매력이 없는 사회적 약자들은 자신들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장성 주택의 건설을 요청하게 되었다.
      중앙정부는 주택가격 상승을 억제하고자 했으나 지방정부가 비협조적으로 나가 중앙정부는 소기했던 목표를 달성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가 초래된 것은 지방정부들이 보장성주택 특히 경제적용방을 건설하게 되면 해당 토지를 행정무상배분하여 자신들의 토지에서 나오는 지방재정이익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방정부의 자기중심적 행위에 대해 중앙정부도 그냥 방관하지는 않고 여러 가지 조치를 취했으나 그 효과는 그리 크지 못했다. 중앙정부는 정적평가제도를 활용하여 지방정부를 통제하려고 하나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와의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용하여 기회주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자신들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 중앙정부의 정책에는 소극적 태도를 보이거나 때로는 중앙과 상반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것은 지방정부가 토지수익성이 증대됨을 인식하였고, 또 보장성 주택 건설이 지방재정에 부담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리감독 위주의 중앙정부에 의한 일방적인 통제가 아닌 중앙과 지방간의 이익조절메커니즘의 확립이 필요하다. 그를 위해서는 먼저 房地産稅의 징수와 주택공적금 제도의 활성화를 통해 안정적인 지방재정의 조성을 기해야 한다. 둘째, 경제지표 위주의 현재의 政績평가제도를 개혁해야 하고, 셋째, 중앙과 지방간의 업무권(事權)과 재정권(財權)을 정비해야 하며, 넷째, 건설용지 공급제도와 주택공급제도를 조정해야 하며, 다섯째, 보장성 주택 관련 법제화를 도모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의 보장성 주택정책을 두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효용불일치에서 오는 대립에 관한 연구이다. 중국에서 1998년에 주택분배화폐화정책(住房分配貨幣化政策)으로 대변되...

      본 연구는 중국의 보장성 주택정책을 두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효용불일치에서 오는 대립에 관한 연구이다. 중국에서 1998년에 주택분배화폐화정책(住房分配貨幣化政策)으로 대변되는 시장경제로의 전환이 되면서 시장에서의 주택 구매력이 없는 사회적 약자들은 자신들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장성 주택의 건설을 요청하게 되었다.
      중앙정부는 주택가격 상승을 억제하고자 했으나 지방정부가 비협조적으로 나가 중앙정부는 소기했던 목표를 달성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가 초래된 것은 지방정부들이 보장성주택 특히 경제적용방을 건설하게 되면 해당 토지를 행정무상배분하여 자신들의 토지에서 나오는 지방재정이익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방정부의 자기중심적 행위에 대해 중앙정부도 그냥 방관하지는 않고 여러 가지 조치를 취했으나 그 효과는 그리 크지 못했다. 중앙정부는 정적평가제도를 활용하여 지방정부를 통제하려고 하나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와의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용하여 기회주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자신들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 중앙정부의 정책에는 소극적 태도를 보이거나 때로는 중앙과 상반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것은 지방정부가 토지수익성이 증대됨을 인식하였고, 또 보장성 주택 건설이 지방재정에 부담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리감독 위주의 중앙정부에 의한 일방적인 통제가 아닌 중앙과 지방간의 이익조절메커니즘의 확립이 필요하다. 그를 위해서는 먼저 房地産稅의 징수와 주택공적금 제도의 활성화를 통해 안정적인 지방재정의 조성을 기해야 한다. 둘째, 경제지표 위주의 현재의 政績평가제도를 개혁해야 하고, 셋째, 중앙과 지방간의 업무권(事權)과 재정권(財權)을 정비해야 하며, 넷째, 건설용지 공급제도와 주택공급제도를 조정해야 하며, 다섯째, 보장성 주택 관련 법제화를 도모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onflict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of housing security policy in China.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analysis whether the housing security policy purpose through which Chinese government wants to achieve is accomplished or not. Though China has achieved great strides in improving housing provision, it is still plagued by a lack of affordable housing. We can find that affordable housing programs increase housing inequality.
      What power relations have been formed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spite of the fiscal reform, there are lots of fiscal problem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China. Obviousl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have fundamentally different politico-economic interests that are mutually contradictory in many occasions. The central government took various control measures to stabilize housing prices and to prevent speculations. But the local government with the ownership of regional property in hands was careless about building new public housing system, which causes disincentiv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 of housing policy for low-income group and argues that the inter-governmental structures have become a barrier to affordable housing provision. Finally, this paper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form of housing security poli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onflict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of housing security policy in China.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analysis whether the housing security policy purpose through which Chinese 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onflict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of housing security policy in China.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analysis whether the housing security policy purpose through which Chinese government wants to achieve is accomplished or not. Though China has achieved great strides in improving housing provision, it is still plagued by a lack of affordable housing. We can find that affordable housing programs increase housing inequality.
      What power relations have been formed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spite of the fiscal reform, there are lots of fiscal problem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China. Obviousl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have fundamentally different politico-economic interests that are mutually contradictory in many occasions. The central government took various control measures to stabilize housing prices and to prevent speculations. But the local government with the ownership of regional property in hands was careless about building new public housing system, which causes disincentiv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 of housing policy for low-income group and argues that the inter-governmental structures have become a barrier to affordable housing provision. Finally, this paper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form of housing security poli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 Ⅲ. 보장성 주택정책에 있어 지방정부의 자기중심적 행위 분석
      • Ⅳ. 지방정부의 자기중심적 행위에 대한 중앙정부의 대응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 Ⅲ. 보장성 주택정책에 있어 지방정부의 자기중심적 행위 분석
      • Ⅳ. 지방정부의 자기중심적 행위에 대한 중앙정부의 대응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투데이뉴스」(2013). 10. 31"

      2 백우열, "현대 중국의 부동산 개발, 사회불안정, 신형도시화" 한국정치학회 48 (48): 27-48, 2014

      3 김화섭, "최근 중국 부동산 건전화정책의 의미와 시사점" (155) : 2010

      4 전상경, "중국지방정부 “토지재정”행위의 정치경제" 한국지방재정학회 19 (19): 109-140, 2014

      5 이준호, "중국의 재정제도 변화과정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2 (22): 1133-1163, 2010

      6 김의섭, "중국의 재정분권화와중앙-지방 재정관계의 변화[ Abstract ]" 한국지방재정학회 11 (11): 2006

      7 성균중국연구소, "중국의 신형 도시화 전략: 개발에서 거주로" (5) : 2013

      8 백승기, "중국의 保障性 住宅政策에 있어서지방정부의 이기적 행위에 관한 연구" 동아인문학회 (26) : 421-458, 2013

      9 白承起, "중국 지방정부의 토지개혁정책에 관한 연구:상해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6 (6): 87-105, 2002

      10 강승호, "중국 지방정부의 렌트추구와 성장패턴"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3 (23): 135-162, 2011

      1 "「이투데이뉴스」(2013). 10. 31"

      2 백우열, "현대 중국의 부동산 개발, 사회불안정, 신형도시화" 한국정치학회 48 (48): 27-48, 2014

      3 김화섭, "최근 중국 부동산 건전화정책의 의미와 시사점" (155) : 2010

      4 전상경, "중국지방정부 “토지재정”행위의 정치경제" 한국지방재정학회 19 (19): 109-140, 2014

      5 이준호, "중국의 재정제도 변화과정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2 (22): 1133-1163, 2010

      6 김의섭, "중국의 재정분권화와중앙-지방 재정관계의 변화[ Abstract ]" 한국지방재정학회 11 (11): 2006

      7 성균중국연구소, "중국의 신형 도시화 전략: 개발에서 거주로" (5) : 2013

      8 백승기, "중국의 保障性 住宅政策에 있어서지방정부의 이기적 행위에 관한 연구" 동아인문학회 (26) : 421-458, 2013

      9 白承起, "중국 지방정부의 토지개혁정책에 관한 연구:상해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6 (6): 87-105, 2002

      10 강승호, "중국 지방정부의 렌트추구와 성장패턴"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3 (23): 135-162, 2011

      11 이기현, "중국 지방정부 불법토지개발 현상에 대한 원인 분석: 개혁기 중앙정부의 이익과 토지제도설계"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213-234, 2009

      12 김부용, "중국 성별 동향 브리핑" 2012

      13 김옥, "중국 부동산 정책에 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 중앙과 지방의 권력관계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5 (25): 5-33, 2013

      14 백승기, "중국 도시주택개혁정책의 실시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3 (13): 149-174, 2005

      15 김수한, "중국 도시 토지제도 개혁과 지방정부 행위분석:토지사용권 양도시장을 중심으로" 한중사회과학학회 6 (6): 31-54, 2008

      16 김수한, "중국 공공주택모델 전환에 관한 연구:경제적용주택과 저가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현대중국학회 10 (10): 123-154, 2009

      17 서영인, "중국 경제정책 제정의 법적 시스템 분석" 한중사회과학학회 10 (10): 89-119, 2012

      18 홍원표, "중국 경제적용방 공급정책의 평가: 베이징시 사례" 한국공간환경학회 (32) : 209-241, 2009

      19 백승기, "정책학원론 (제3판)" 대영문화사 2010

      20 沈榮華, "關於地方政府規章的若干思考" (1) : 2000

      21 莫道明, "社會發展與中社會政策" 東方出版社 2014

      22 姚先國, "浙江經濟改革中的地方政府行爲評析" (3) : 1999

      23 李君甫, "改革與戰略 第25卷" 2009

      24 李君甫, "改革與戰略 第25卷" 2009

      25 李君甫, "改革與戰略 第25卷" 2009

      26 謝志歸, "房地産調控變: 從行政控制到經利益協調" (3) : 2012

      27 謝志歸, "房地産調控變: 從行政控制到經利益協調" (3) : 86-112, 2012

      28 崔建華, "房地産經濟論" 經濟科學出版社 2003

      29 余宇, "我國經濟適用住房政策的效果評價與發展前景硏究" 中國發展出版社 2012

      30 胡金星, "我國經濟適用住房政策反思與轉型思考" (351) : 2010

      31 李斌, "分化的住房政策"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9

      32 朱亞鵬, "公共政策過程硏究: 理論與實踐" 中央編譯出版社 2013

      33 鄭思齊, "住房保障的財政成本承担" (6) : 109-125, 2009

      34 백승기, "中國의 주택보장정책에 대한 평가 -가치비평적 정책분석(value-critical policy analysis)의 적용-" 동아인문학회 (23) : 399-441, 2012

      35 "中國統計年鑑"

      36 李晶, "中國房地産稅收制度改革硏究" 東北財經大學出版社 2012

      37 陳杰, "中國房地信息 11" 2010

      38 白鋼, "中國公共政策分析"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8

      39 姚玲珍, "中國公共住房政策模式硏究" 上海財經大學出版社 2003

      40 朱亞鵬, "中國住房保障政策分析-社會政策視覺" (4) : 84-109, 2008

      41 백승기, "中國 都市住宅制度의 改革에 관한 연구 : ‘計劃’에서 ‘市場’으로의 전환" 한국지방정부학회 7 (7): 155-172, 2003

      42 Wang. Ya Ping., "Urban Housing Reform and Finance in China: A Case Study of Beijing" 36 (36): 2001

      43 Yeung, S., "The Role of The Housing Provident Fund in Financing Affordable Housing Development in China" 28 : 2004

      44 Zhang. Xing Quan., "Risk and Uncertainty in the Chinese Housing Market" 9 (9): 517-527, 2001

      45 Wolf. Charles, Jr., "Markets or Governments: Choosing between Imperfect Alternatives. (2nd ed.)" The MIT Press 1993

      46 Logan, J. R., "Housing Inequality in Urban China in the 1990s" 23 (23): 1999

      47 Yan, Saqi, "Government intervention in land market and its impacts on land supply and new housing supply: Evidence from major Chinese markets" 44 : 517-527, 2014

      48 Lee, James, "From Welfare Housing to Home Ownership: The Dilemma of China's Housing Reform" 15 (15): 2000

      49 Zou, Yonghua., "Contradictions in China’s affordable housing policy: Goals vs. structure" 41 : 8-16, 2014

      50 Wu, Fulong., "China's Recent Urban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Land and Housing Marketisation and Economic Globalisation" 25 : 273-289, 2001

      51 Dent, Jr. H. S., "2018 인구절벽이 온다" 청림출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