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가 인간심리의 중요 가설인 지정의(知情意) 대신에 지덕체(智德體) 삼분법을 우선시하고, ‘인격’이라는 기표가 동시대의 문학담론에서 전혀 이질적인 방식으로 이해되거나 때로 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광수가 인간심리의 중요 가설인 지정의(知情意) 대신에 지덕체(智德體) 삼분법을 우선시하고, ‘인격’이라는 기표가 동시대의 문학담론에서 전혀 이질적인 방식으로 이해되거나 때로 경...
이광수가 인간심리의 중요 가설인 지정의(知情意) 대신에 지덕체(智德體) 삼분법을 우선시하고, ‘인격’이라는 기표가 동시대의 문학담론에서 전혀 이질적인 방식으로 이해되거나 때로 경합하는 현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본고는 인간의 내면을 지칭하는 ‘인격’이라는 어휘의 역사적 변화를 조망함으로써, 그것이 1920년대 한국문학의 전개에 끼친 영향력을 해명하고자 한다. 김동인이나 임노월 같은 작가들이 ‘인격’이라는 단어를 유미주의의 맥락에서 유통시켰던 데 비해, 이 광수는 다이쇼(大正) 교양주의의 원칙을 변용하여 이 용어에 민족주의적 기율을 불어넣었다.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적인 작가들이 개인의 내면을 신성시하는 가운데 애용했던 ‘생명(生命)’이라는 개념어의 사산(死産)된 형태가 바로 ‘인격’이다. 『무정』만 하더라도 이 용어가 아직 세련되게 사용되지는 않아서 저자는 주인공의 내면적, 사회적 각성을 표현하는 어휘로 다만 ‘속사람’이나 ‘참사람’ 정도를 사용했을 뿐이다. 이광수 식의 인격이 극화된 대표적인 사례는 『흙』이다. 이 소설에서 주인공 허숭의 인격적 권능을 침해하는 여러 욕망의 주체들은 그 자신의 자아를 온전히 보존할 수 없게 된다. 즉, 그/그녀들은 허숭이라는 유력한 민족적 주체성에 스스로 동화되거나 탈성화(脫性化)되지 않고서는 존립할 수 없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w should we see the phenomenon that Lee, Gwangsoo put the trichotomy of intellect, virtue and fitness before that of intellect, feeling and will which are important hypothesis about human psychology, and the signifier of the personality is either un...
How should we see the phenomenon that Lee, Gwangsoo put the trichotomy of intellect, virtue and fitness before that of intellect, feeling and will which are important hypothesis about human psychology, and the signifier of the personality is either understood or competed in a disparate way on the contemporary literary discourse? By comprehensively surveying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word, ‘personality’ which indicates the inner side of human, this paper aims to explain its influence that has given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iterature during 1920s. While the writers such as, Kim, Dongin and Im, Nowol used the word, ‘personality’ in the context of the aestheticism, Lee, Gwangsoo transfigured the principles of the Taishow’s culturalism and inspired the word of personality with the nationalistic disciplines. ‘Life’, a translated word, which has been used favorably by leading writers of the Romantic literature amid holding the human’s inner life sacred, becomes fossilized state as ‘personality’ in the inner side of nationalistic discourse. Even in the novel of Heartlessness, the ‘personality’ was not used such a refined way that the author employed only the words of the inner man (Soksaram) and the true man (Chamsaram) to express the mental and social awakening of the protagonists. Earth (Heulk)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personality in the Lee, Gwangsoo’s way. In this novel, various subjects of desire that violates the personal power of the main character, Heo, Soong, made it impossible to utterly preserve his self-ego. In other words, the characters in the novel cannot exist without being assimilated or desexualized for themselves by the influentially national subject, Heo, Soo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光洙, "李光洙全集 16" 三中堂 1963
2 정은숙, "흙과 사람" 소화 출판사 2005
3 池明觀, "한일그리스도교 관계사 자료: 1876-1922" 韓國神學硏究所 1990
4 김명구, "한말 일제 강점기 민족운동론과 민족주의 사상" 부산대 2002
5 황호덕, "한국 근대에 있어서의 문학 개념의 기원(들)" 8 : 3-31, 2000
6 구인모, "한국 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소명출판 83-117, 2008
7 권보드래,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소명출판 27-101, 2000
8 허병식, "한국 근대소설과 교양의 이념" 동국대 2005
9 이기훈, "청년의 시대, In 근대를 다시 읽는다 2" 역사비평사 280-290, 2006
10 서정자, "정월 라혜석 전집" 국학자료원 2001
1 李光洙, "李光洙全集 16" 三中堂 1963
2 정은숙, "흙과 사람" 소화 출판사 2005
3 池明觀, "한일그리스도교 관계사 자료: 1876-1922" 韓國神學硏究所 1990
4 김명구, "한말 일제 강점기 민족운동론과 민족주의 사상" 부산대 2002
5 황호덕, "한국 근대에 있어서의 문학 개념의 기원(들)" 8 : 3-31, 2000
6 구인모, "한국 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소명출판 83-117, 2008
7 권보드래,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소명출판 27-101, 2000
8 허병식, "한국 근대소설과 교양의 이념" 동국대 2005
9 이기훈, "청년의 시대, In 근대를 다시 읽는다 2" 역사비평사 280-290, 2006
10 서정자, "정월 라혜석 전집" 국학자료원 2001
11 T. 나지타, "일본근대사" 역민사 1992
12 하타노 세츠코, "이광수와 베르그송, In 무정을 읽는다" 소명출판 234-241, 2008
13 이철호, "영혼의 순례 -19~20세기 한국 지식인들의 ‘영혼’ 인식과 재전유의 궤적-" 국학연구원 (152) : 205-243, 2010
14 소영현, "문학청년의 탄생" 푸른역사 181-197, 2008
15 박현수, "동일시와 차별화의 지식 체계, 문화 그리고 문학 -1920년대 초기 문화론 연구 -" 상허학회 12 : 223-250, 2004
16 찰스 귀논, "낭만주의와 진정성의 이상, In 진정성에 대하여" 동문선 73-106, 2005
17 이철호, "근대적 자아의 비의- 1910년대 후반기 근대문학에 나타난 ‘영(靈)’의 문제" 상허학회 19 : 249-272, 2007
18 "學之光, 女子界, 廢墟, 靈臺, 開闢, 東光"
19 阿部次郞, "人生批評の原理としての人格主義的見地, in 人格主義" 羽田書店 1951
20 南博, "マス文化の成立, In 大正文化" 勁草書房 1987
21 손유경, "『개벽』의 신칸트주의 수용 양상 연구" 철학사상연구소 20 (20): 111-134, 2005
22 加藤典洋, "‘新’の切斷, In 日本とぃぅ身体" 講談社 1994
23 김정인, "1920년대 전반기 민족담론의 전개와 좌우투쟁" 39 : 232-259, 2001
24 허수, "1920년 전후 이돈화의 현실인식과 근대철학 수용, In 근대를 다시 읽는다 2" 역사비평사 335-373, 2006
25 미야카와 토루, "1920, 30년대의 세계와 일본의 철학, In 일본근대철학사" 생각의나무 200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2-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5-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4-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 | 1.224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