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인지연령과 주거공간의 인테리어 스타일과의 관계 - 침실과 거실공간을 중심으로 -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ior Style of Residential Space and the Elderly’ Cognitive Age - Focused on Bedroom and Living Roo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2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housing alternatives and design guidelines for the elderly have been suggested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old persons. However, most of them focu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fixtures. They do not address on interior style which affects on interior mood. The interior style is especially important to the elderly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indoor space, such as housing unit or nursing home. On the base of these backgr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where the elderly lives are and whether the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ognitive ages, or not. The subject were 202 old persons who lived in Busan. Their ages were more than 65 years. They were interviewed by using 3D images of bedroom and living room. Each one consisted of three interior styles; Korean traditional style, Western classical style, and modern styl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The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which the old persons live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lderly's cognitive ages. The younger the old persons' cognitive ages were, they lived in bedroom or living room of modern style. Also, the older their cognitive ages were, they lived in bedroom or living room of Korean traditional styl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gnitive age of the old persons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which they live. Also, it implies that the elderly are not one homogeneous group, but a heterogeneous one.
      번역하기

      Many housing alternatives and design guidelines for the elderly have been suggested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old persons. However, most of them focu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fixtures. They do not address on interior style which affect...

      Many housing alternatives and design guidelines for the elderly have been suggested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old persons. However, most of them focu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fixtures. They do not address on interior style which affects on interior mood. The interior style is especially important to the elderly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indoor space, such as housing unit or nursing home. On the base of these backgr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where the elderly lives are and whether the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ognitive ages, or not. The subject were 202 old persons who lived in Busan. Their ages were more than 65 years. They were interviewed by using 3D images of bedroom and living room. Each one consisted of three interior styles; Korean traditional style, Western classical style, and modern styl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The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which the old persons live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lderly's cognitive ages. The younger the old persons' cognitive ages were, they lived in bedroom or living room of modern style. Also, the older their cognitive ages were, they lived in bedroom or living room of Korean traditional styl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gnitive age of the old persons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which they live. Also, it implies that the elderly are not one homogeneous group, but a heterogeneous 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노인주택대안과 지침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침들이 주택 내부의 공간구성과 가구설비 등과 관련된 내용들이며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실내공간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이 무엇이며 이 인테리어 스타일이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노인주택 뿐 아니라 노인요양시설의 입원실과 공동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일대일 면담조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인테리어 스타일은 3D 이미지로 표현된 3개의 스타일, 즉 한국전통 스타일과 서양고전 스타일 및 현대 스타일의 침실과 거실을 각각 1장에 배치하여 보여주면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침실 및 거실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노인들이 거주하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은 입식과 좌식이 반반 정도씩 되었으며 바다마감도 합성재로 되어 있는 경우가 반 정도 되었으며 나머지는 전통장판과 나무 바닥이었다. 많은 노인들이 침실에는 옷장과 이불장, 침대를 두고 있었으며 거실에는 소파, 탁자, 장식장을 두고 있었다. 둘째,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모두 한국전통, 현대, 서양고전 스타일의 순으로 한국전통 스타일과 현대 스타일이 많은 편이었으며 젊은 노인은 현대 스타일의 공간에서, 연령이 있는 노인은 한국전통 스타일의 공간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셋째,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침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노인의 인지연령 즉 노인의 감성, 외모, 행동, 관심연령이 40대인 노인은 서양고전 스타일의 침실에서, 50대인 노인은 현대 스타일의 침실에서, 80대인 노인은 한국전통 스타일의 침실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넷째, 노인의 인지연령 중 외모연령과 관심연령에 따 라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의 외모연령과 관심연령이 젊을수록 현대 스타일의 거실에서 거주하고 두 연령이 많을수록 한국전통 스타일의 침실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다섯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하게 달랐다. 이는 곧 노인의 인지연령은 실내디자인의 특성을 결정해주는 요인 중의 하나임을 말해주는 것이며 따라서 노인 관련 연구를 진행할 때 노인의 실제 연령 뿐 아니라 인지연령도 중요한 변수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노인주택대안과 지침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침들이 주택 내부의 공간구성과 가구설비 등과 관련된 내용들이며 실내공간의 분위...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노인주택대안과 지침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침들이 주택 내부의 공간구성과 가구설비 등과 관련된 내용들이며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실내공간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이 무엇이며 이 인테리어 스타일이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노인주택 뿐 아니라 노인요양시설의 입원실과 공동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일대일 면담조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인테리어 스타일은 3D 이미지로 표현된 3개의 스타일, 즉 한국전통 스타일과 서양고전 스타일 및 현대 스타일의 침실과 거실을 각각 1장에 배치하여 보여주면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침실 및 거실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노인들이 거주하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은 입식과 좌식이 반반 정도씩 되었으며 바다마감도 합성재로 되어 있는 경우가 반 정도 되었으며 나머지는 전통장판과 나무 바닥이었다. 많은 노인들이 침실에는 옷장과 이불장, 침대를 두고 있었으며 거실에는 소파, 탁자, 장식장을 두고 있었다. 둘째,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모두 한국전통, 현대, 서양고전 스타일의 순으로 한국전통 스타일과 현대 스타일이 많은 편이었으며 젊은 노인은 현대 스타일의 공간에서, 연령이 있는 노인은 한국전통 스타일의 공간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셋째,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침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노인의 인지연령 즉 노인의 감성, 외모, 행동, 관심연령이 40대인 노인은 서양고전 스타일의 침실에서, 50대인 노인은 현대 스타일의 침실에서, 80대인 노인은 한국전통 스타일의 침실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넷째, 노인의 인지연령 중 외모연령과 관심연령에 따 라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의 외모연령과 관심연령이 젊을수록 현대 스타일의 거실에서 거주하고 두 연령이 많을수록 한국전통 스타일의 침실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다섯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하게 달랐다. 이는 곧 노인의 인지연령은 실내디자인의 특성을 결정해주는 요인 중의 하나임을 말해주는 것이며 따라서 노인 관련 연구를 진행할 때 노인의 실제 연령 뿐 아니라 인지연령도 중요한 변수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숙, "현대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에 관한 연구- 주거 공간 디자인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3 (13): 12-20, 2004

      2 이헌주, "주거공간 실내디자인스타일 구성요소의 디자인지침에 관한 연구" 14 (14): 2012

      3 조성희, "주거 실내디자인에서 실내디자인 스타일의 인식연구" 12 (12): 2010

      4 김현정, "인지연령에 따른 고령관광객의 관광지 선호속성과 관광행동" 관광경영학회 14 (14): 101-122, 2010

      5 박광희, "인지연령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48-55, 2012

      6 김소희,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에 따른 주거공간 코디네이트 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아파트 모델하우스 실내디자인스타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61-70, 2010

      7 이금룡,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가?:인지연령과 차이연령 분석에 근거한 한국사회의 노년기 연령정체성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251-267, 2008

      8 백진영, "국내 타운하우스 실내에 표현된 인테리어 디자인 스타일 및 Coordination 특성에 관한 연구" 11 (11): 2009

      9 서민우, "Senior Citizens' Image Preference for Interior Design Style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09-120, 2012

      10 홍경희, "60대~70대 여성 소비자의 인지된 연령에 따른 의복선택기준 및 패션 정보원 활용" 한국의류학회 34 (34): 200-211, 2010

      1 김경숙, "현대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에 관한 연구- 주거 공간 디자인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3 (13): 12-20, 2004

      2 이헌주, "주거공간 실내디자인스타일 구성요소의 디자인지침에 관한 연구" 14 (14): 2012

      3 조성희, "주거 실내디자인에서 실내디자인 스타일의 인식연구" 12 (12): 2010

      4 김현정, "인지연령에 따른 고령관광객의 관광지 선호속성과 관광행동" 관광경영학회 14 (14): 101-122, 2010

      5 박광희, "인지연령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48-55, 2012

      6 김소희,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에 따른 주거공간 코디네이트 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아파트 모델하우스 실내디자인스타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61-70, 2010

      7 이금룡,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가?:인지연령과 차이연령 분석에 근거한 한국사회의 노년기 연령정체성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251-267, 2008

      8 백진영, "국내 타운하우스 실내에 표현된 인테리어 디자인 스타일 및 Coordination 특성에 관한 연구" 11 (11): 2009

      9 서민우, "Senior Citizens' Image Preference for Interior Design Style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09-120, 2012

      10 홍경희, "60대~70대 여성 소비자의 인지된 연령에 따른 의복선택기준 및 패션 정보원 활용" 한국의류학회 34 (34): 200-211,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