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공유지(Cultural Commons) 개념에 의한 대학도서관의 공간프로그램과 디자인방법의 특성 - 타마미술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 = Analysis of the University Library’s Space Program and Design Characteristics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Commons’ - Focused on the Tama Art University Librar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2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conclude a direction for Information Commons, which supports the university library in a new role. The study explains perspectives on the changing role of the university library by examining the approaches, histories, and theories practiced by various researchers on Information Commons. The study aims to discover ways of improving the library space that are dedicated to technology using Information Commons, it also examines ways of creating a unified “library space” that will support learning and access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features of Cultural Commons include making improvements to technology-centered space, and providing support to research, freedom of speech, creative approach, public freedom and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The functions of Cultural Commons within the university library are listed: First, it supports programs that will transform the library into a social hub within the university. The space specifically blurs the boundary between the library building and its surroundings, and unifies these spaces to enhance its catalytic role in aiding social interactions and human-centered approach. Second, it support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cultural programs and provides a fluid and interactive space with virtual resources. Third, it enhances user experience to supports behaviors and activities that involve fixtures and equipment in the space to promote learning. The study notes that, with the emergenc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university library is changing by implementing Cultural Commons for on-campus social space and new learning. Accordingly, this implementation is expected to enhance active acceptance of the library space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conclude a direction for Information Commons, which supports the university library in a new role. The study explains perspectives on the changing role of the university library by examining the approaches, histories, and theories pra...

      This study is to conclude a direction for Information Commons, which supports the university library in a new role. The study explains perspectives on the changing role of the university library by examining the approaches, histories, and theories practiced by various researchers on Information Commons. The study aims to discover ways of improving the library space that are dedicated to technology using Information Commons, it also examines ways of creating a unified “library space” that will support learning and access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features of Cultural Commons include making improvements to technology-centered space, and providing support to research, freedom of speech, creative approach, public freedom and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The functions of Cultural Commons within the university library are listed: First, it supports programs that will transform the library into a social hub within the university. The space specifically blurs the boundary between the library building and its surroundings, and unifies these spaces to enhance its catalytic role in aiding social interactions and human-centered approach. Second, it support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cultural programs and provides a fluid and interactive space with virtual resources. Third, it enhances user experience to supports behaviors and activities that involve fixtures and equipment in the space to promote learning. The study notes that, with the emergenc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university library is changing by implementing Cultural Commons for on-campus social space and new learning. Accordingly, this implementation is expected to enhance active acceptance of the library spac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공간디자인의 관점에서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변화되고 있는 도서관, 그 중에서도 교육과 정보의 집적체라고 할 수 있는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장(場)으로서의 도서관’의 공간디자인적 측면에서의 어프로치를 시도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러닝 커먼즈의 확대된 개념으로서의 ‘문화공유지’의 개념적 해석을 통하여 공간적 접근방법과 틀을 도출하고, 이를 일본의 타마미술대학(多摩美術大学) 도서관에 적용시켜 그 디자인적 특성을 분석,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화공유지’의 개념이 대학도서관의 공간디자인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 내 사회적 중심지 역할을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사회적 교류와 사람중심의 공간적 촉매역할 활성화를 위해 주변 환경과 도서관 건물의 경계를 모호하고 통합한다. 둘째, 문화 프로그램을 통한 능동적 참여와 가상 자원들 간의 유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장소성을 지원하며 이는 도서관 내, 외부의 물리적 , 심리적 연계를 통한 확장성을 통하여 지원한다. 셋째, 변화된 학습 지원을 위해 다양한 가구적, 장치적 제안을 통하여 도서관 이용자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활동과 체험을 지원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공간디자인의 관점에서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변화되고 있는 도서관, 그 중에서도 교육과 정보의 집적체라고 할 수 있는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장(場)으...

      본 연구에서는 공간디자인의 관점에서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변화되고 있는 도서관, 그 중에서도 교육과 정보의 집적체라고 할 수 있는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장(場)으로서의 도서관’의 공간디자인적 측면에서의 어프로치를 시도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러닝 커먼즈의 확대된 개념으로서의 ‘문화공유지’의 개념적 해석을 통하여 공간적 접근방법과 틀을 도출하고, 이를 일본의 타마미술대학(多摩美術大学) 도서관에 적용시켜 그 디자인적 특성을 분석,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화공유지’의 개념이 대학도서관의 공간디자인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 내 사회적 중심지 역할을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사회적 교류와 사람중심의 공간적 촉매역할 활성화를 위해 주변 환경과 도서관 건물의 경계를 모호하고 통합한다. 둘째, 문화 프로그램을 통한 능동적 참여와 가상 자원들 간의 유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장소성을 지원하며 이는 도서관 내, 외부의 물리적 , 심리적 연계를 통한 확장성을 통하여 지원한다. 셋째, 변화된 학습 지원을 위해 다양한 가구적, 장치적 제안을 통하여 도서관 이용자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활동과 체험을 지원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미경, "학교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윤미지, "지식창조활동 활성화를 위한 대학도서관 정보공유공간 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3 안수희, "정보공유공간 적용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통합서비스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여위숙, "인포메이션 코먼스 서비스의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한태권, "이토 도요 건축의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유동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6 정미경,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1 (41): 347-363, 2007

      7 윤희윤, "대학도서관기준의 동향분석과 개정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2 (42): 5-28, 2011

      8 筑波大学, "今後の「大学像」の在り方に関する調査研究" 報告書 2007

      9 鈴木 明, "つくる図書館をつくる―伊東豊雄と多摩美術大学の実験" 鹿島出版会 2007

      10 "http://www.ncsu.edu/per/scaleup.html"

      1 정미경, "학교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윤미지, "지식창조활동 활성화를 위한 대학도서관 정보공유공간 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3 안수희, "정보공유공간 적용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통합서비스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여위숙, "인포메이션 코먼스 서비스의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한태권, "이토 도요 건축의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유동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6 정미경,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1 (41): 347-363, 2007

      7 윤희윤, "대학도서관기준의 동향분석과 개정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2 (42): 5-28, 2011

      8 筑波大学, "今後の「大学像」の在り方に関する調査研究" 報告書 2007

      9 鈴木 明, "つくる図書館をつくる―伊東豊雄と多摩美術大学の実験" 鹿島出版会 2007

      10 "http://www.ncsu.edu/per/scaleup.html"

      11 "http://www.lib.uchicago.edu/e/crerar/using/facilities/"

      12 "http://www.ala.org/offices/oitp/publications/infocommons0204icwg"

      13 "http://web.stanford.edu/services/courses/topic-learningspaces.html"

      14 "http://pilot-projects.org/projects/story/steam-cafe"

      15 "http://library.ust.hk/conference2007/papers/finnigan-donald-wallace-studentvoices.mov"

      16 Les Watson, "The Saltire Centre at Glasgow Caledonian University" 37 : 2006

      17 Elizabeth K. Heitsch, "The Information and Learning Commons : Some Reflections" 17 : 2011

      18 Nancy Kranich, "Issues in Information Science" 42 (42): 2008

      19 정재영, "Information Commons기반 하이브리드(Hybrid)도서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0 (20): 59-73, 2009

      20 Shen Lisa, "Cyberthèque—love it or hate it? Students’ perceptions of McGill Libraries’ information commons" 2009

      21 Charles Forrest, "A Field Guide to the Information Comm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