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학습사전의 현황과 과제 -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24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첫째,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기존에 이루어진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한 논의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짚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때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하여 다룬 기존의 논의를 살피며 이 요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특히 미시 구조에서 뜻풀이와 용례를 일반 국어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을 편찬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첫째,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기존에 이루어진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한 논의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

      이 글의 목적은 첫째,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기존에 이루어진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한 논의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짚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때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하여 다룬 기존의 논의를 살피며 이 요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특히 미시 구조에서 뜻풀이와 용례를 일반 국어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을 편찬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rst, to compare and analyz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Basic Korean Dictionary with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and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To this end,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 y were analyzed closely. At this time, by examini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it was confirmed how well they met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e definitions and usage examples in the microscopic struc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Standard Korean Dictionary , a general Korean language dictionary.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y , we looked at the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compiling a Korean learning dictionary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rst, to compare and analyz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Basic Korean Dictionary with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and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what shou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rst, to compare and analyz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Basic Korean Dictionary with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and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To this end,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 y were analyzed closely. At this time, by examini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it was confirmed how well they met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e definitions and usage examples in the microscopic struc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Standard Korean Dictionary , a general Korean language dictionary.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y , we looked at the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compiling a Korean learning dictionary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거시 구조
      • 3. 미시 구조
      • 4. 한국어 학습사전의 과제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거시 구조
      • 3. 미시 구조
      • 4. 한국어 학습사전의 과제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