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위험 산욕간호교육에 적용한 팀 기반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에 주는 효과 =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Academic Succes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in High Risk Puerperium Nur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6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고위험 산욕간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에 주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연구이다. 연구대...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고위험 산욕간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에 주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간호학과 3학년 학생 총 82명이었으며, 3시간씩 주 1회, 총 8주 동안 팀 기반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전과 후에 3가지 변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자료는 χ2-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은 향상되었으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이 고위험 산욕간호교육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른 교육분야의 교수학습법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반복 연구와 다양한 변수 측정을 통해 팀 기반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eam-based learning on academic succes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in high risk puerperium nursing. This study was designed for equivalent control group. The learning program was put into practice 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eam-based learning on academic succes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in high risk puerperium nursing. This study was designed for equivalent control group. The learning program was put into practice 3 hours, once a week for 8 weeks. The exercise group participated in the team based-learning program and control group didn’t do. The data was analyzed by paired χ2-test, t-test, independent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effects of the team-based learning program are as follows: The exercise group had made increase in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ed significant change in statistic.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team-based learning was useful for increasing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nd was expected to be applied as an effective learning program for the students. We hope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through various variable measurements and repeated studies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지혜, "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2 최경옥,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20 (20): 154-159, 2014

      3 박소연, "팀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의 적용과 효과성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26 (26): 53-77, 2017

      4 박혜자,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응급중환자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및 임상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29-346, 2019

      5 윤정현, "팀 기반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연구학회 1 (1): 11-20, 2017

      6 조아라, "의학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팀 바탕학습 운영 방안 및 기대효과" 한국의학교육학회 22 (22): 47-55, 2010

      7 이은주, "여성건강간호학수업에서 팀기반학습 적용 효과: 임부 간호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85-696, 2018

      8 박영주, "여성건강간호학 II" 현문사 2020

      9 김수미, "액션러닝기반 간호과정 학습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5-42, 2016

      10 김연순, "액션러닝 기반의 다문화 간호교육이 문화적 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527-6535, 2014

      1 서지혜, "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2 최경옥,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20 (20): 154-159, 2014

      3 박소연, "팀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의 적용과 효과성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26 (26): 53-77, 2017

      4 박혜자,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응급중환자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및 임상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29-346, 2019

      5 윤정현, "팀 기반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연구학회 1 (1): 11-20, 2017

      6 조아라, "의학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팀 바탕학습 운영 방안 및 기대효과" 한국의학교육학회 22 (22): 47-55, 2010

      7 이은주, "여성건강간호학수업에서 팀기반학습 적용 효과: 임부 간호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85-696, 2018

      8 박영주, "여성건강간호학 II" 현문사 2020

      9 김수미, "액션러닝기반 간호과정 학습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5-42, 2016

      10 김연순, "액션러닝 기반의 다문화 간호교육이 문화적 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527-6535, 2014

      11 장금성, "액션러닝 기반 간호관리학 강의 및 실습 운영의 효과" 간호행정학회 18 (18): 442-451, 2012

      12 백경선, "아동간호 팀기반 시뮬레이션학습이 비판적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61 (61): 9-15, 2016

      13 오효숙, "성과기반 간호교육에서 팀기반학습 적용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409-418, 2015

      14 한국교육개발원,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15 유영미, "생리학 수업에 적용한 팀기반학습, 학습자질문중심 학습 및 강의기반 학습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9-97, 2018

      16 김연철,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658-671, 2015

      17 양승희, "문제중심학습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간호학 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87-211, 2018

      18 이혜진, "대학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과 플립러닝에 관한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253-1280, 2018

      19 김순옥, "기본간호학 수업에서 팀기반 학습 적용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07-119, 2016

      20 김수미, "고위험 임부간호교육에 적용한 팀 기반 학습이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56-564, 2019

      21 김수미, "고위험 분만간호교육에 적용한 팀 기반 학습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주는 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239-1254, 2020

      22 유영미,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팀기반학습과 강의기반학습의 효과 비교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9-66, 2018

      23 김영희, "간호교육 사례중심 교수학습법" 포널스출판사 2016

      24 성미혜, "간호과정의 적용" 현문사 2015

      25 김윤경, "‘약리학’수업의 팀기반학습 설계 및 운영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09-334, 2015

      26 Terzioglu, F., "The perceived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e managers" 41 (41): 340-347, 2006

      27 김종기, "Influence of Privacy Concerns on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Based 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65-272, 2017

      28 Mennenga, H. A., "A model for easily incorporating Team-based learning into nursing education" 7 (7): 1-1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