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부산광역시 강서구에서 아주까리의 잎과 줄기에 점무늬병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아주까리 분리균은 tryptic soy agar에서 점액성이 없고 연한 녹색을 띠는 둥근 콜로니를 형성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26474
도희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승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방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함현희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미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영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Heeil Do ; Seung Yeup Lee ; Bang Wool Lee ; Hyeonheui Ham ; Mi-Hyun Lee ; Young Kee Lee
2023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440-444(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21년 8월 부산광역시 강서구에서 아주까리의 잎과 줄기에 점무늬병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아주까리 분리균은 tryptic soy agar에서 점액성이 없고 연한 녹색을 띠는 둥근 콜로니를 형성하였다. ...
2021년 8월 부산광역시 강서구에서 아주까리의 잎과 줄기에 점무늬병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아주까리 분리균은 tryptic soy agar에서 점액성이 없고 연한 녹색을 띠는 둥근 콜로니를 형성하였다. 세균은 단극성으로 다수의 편모를 가진 막대 모양이었다. 세균을 건전한 아주까리 유묘에 접종했을 때, 동일한 점무늬 증상의 괴사 반응이 나타났다. 병징이 나타난 부위에서 세균을 재분리하여 동일균 여부를 확인하였다. 분리균은 감자 무름 반응과 D-fucose 대사반응이 양성이었으며, troleandomycin에서 생장할 수 있었다. 16S rRNA와 항존유전자(gyrB, rpoD) 염기서열의 상동성을 비교하였을때, Pseudomonas capsici와 유연관계가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아주까리에서 분리된 균은 배양적, 생화학적, 유전적 특성에 의해 P. capsici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아주까리에서 P. capsici에 의한 점무늬병의 최초 보고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ugust 2021, water-soaking symptoms of bacterial spot disease were observed on castor bean in a field in Gangseo District, Busan. Bacteria isolated from the lesion when cultured on tryptic soy agar appeared to be nonmucoid and pale green. To confir...
In August 2021, water-soaking symptoms of bacterial spot disease were observed on castor bean in a field in Gangseo District, Busan. Bacteria isolated from the lesion when cultured on tryptic soy agar appeared to be nonmucoid and pale green. To confirm whether the isolates were the causative agent of the spot disease, they were inoculated onto healthy castor bean plants. The same symptoms were observed on the inoculated tissue, and the bacteria were reisolated from the lesion. Furthermore, the isolates were consistent with the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features of Pseudomonas capsici. Sequencing analysis using 16S rRNA and housekeeping genes (gyrB, rpoD) showed that the isolates shared a high sequence similarity with P. capsici.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strains belonged to P. capsici.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bacterial spot disease caused by P. capsici on castor bean in Korea.
수확 후 제주 당근 재배 토양에서 Xanthomonas hortorum pv. carotae 분리
키위 쇠락증상 발생 및 습해 저항성 대목을 이용한 예방
First Report of Pectobacterium brasiliense Causing Bitter Melon Soft Rot Diseas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