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지능과 초등영어교육: 챗봇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imary English Edu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Chatbo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40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을 시작으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인간과의 대결에서 이미 많은 승리를 거두고 있었다. 1997년 체스의 Deep B...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을 시작으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인간과의 대결에서 이미 많은 승리를 거두고 있었다. 1997년 체스의 Deep Blue는 인간 최고수와의 대결에서 승리했고, 2011년 인공지능 Watson은 퀴즈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인간 우승자들을 가볍게 꺾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도 바둑만큼은 컴퓨터가 인간을 이길 수 없는 최후의 보루라고 여겨지고 있었다. 그러나 바둑도 인공지능 발전의 거센 흐름 속에서 예외일 수 없었다. 2016년의 대결에서 이세돌은 완패했고 이후 알파고는 바둑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많은 분야에 있어 인공지능을 지칭하는 대명사로 불리게 되었다. 이처럼 인공지능은 경제, 산업, 의료, 음성인식 등 우리 사회 거의 모든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영어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인공지능의 발달이 영어교육에 끼치고 있는 대표적인 영향의 하나는 챗봇(chatbot)의 등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음성인식과 자동번역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챗봇의 기능에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의 발전 현황을 초등영어교육의 맥락에서 챗봇을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1) 인공지능과 영어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2) 챗봇의 발전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3)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챗봇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첫째, 인공지능이라는 용어가 처음 시작된 1956년부터 2016년의 알파고의 등장에 이르기까지 인공지능의 발전 현황을 간략히 살펴보고, 인공지능 시대의 중요 이슈인 번역기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논한다. 둘째, 챗봇과 영어교육의 관계에 대해서는 챗봇의 발전 현황을 분석하고 챗봇의 역사와 종류, 선행연구, 챗봇의 장점과 한계점을 위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챗봇의 발전 방향은 음성인식의 정확성 향상과 초등영어의 특성을 살린 학습 내용의 개발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historical baduk match between AlphaGo and Lee, Sedol in 2016, interest in AI(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in the spotlight. AI had already won many victories over humans even before 2016. In 1997, the AI chess program, Deep Blue won th...

      Since the historical baduk match between AlphaGo and Lee, Sedol in 2016, interest in AI(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in the spotlight. AI had already won many victories over humans even before 2016. In 1997, the AI chess program, Deep Blue won the human champion. In 2011, Watson, an AI program easily beat human champions in the Jeopardy Quiz Show. Even with many defeats like these, however, baduk was believed to remain unbeatable, since it is the most subtle and difficult mental game ever developed by humans. In spite of this strong belief, AlphaGo won the match so easily to our astonishment. AlphaGo must have been the harbinger of the AI era. Now, almost all aspects of our lives such as science, medicine, and finance are being affected by AI, and English education is no exception. One key issue of English education in the era of AI is the advent of chatbots and this paper will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developments of chabots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The main goals of this paper are (1)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AI and English education, (2) to go over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chatbots, and (3) to provide the ways to develop chatbots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First,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AI from its inception in 1956 to the appearance of AlphaGo in 2016 is discussed with regard to English education. Second, the chatbot is discussed mainly in terms of its current status, advantages, and limitations. Finally, the directions of the development for chatbots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are discussed in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speech recognition and in search of learning contents specific to primary English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한, "초등영어교과서를 활용한 영어말하기 학습용 챗봇 제작 방안"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5 (25): 79-100, 2019

      2 김진석, "초등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인공지능 Dialogflow API 챗봇 개발 및 구현방안. 인공지능과 초등교육의 과제" 85-96, 2020

      3 윤여범, "초등영어 발음교육론" 한국문화사 2002

      4 임완철, "인공지능활용 대화형 영어학습 앱 현장적용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5 박영숙, "인공지능혁명 2030 : 제4차 산업혁명과 정치혁명의 부상" 더불북 2016

      6 이동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 학습용 챗봇 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11 (11): 45-68, 2018

      7 박종향, "인공지능기술과 인공지능교사에 대한 인식 분석: 초·중·고등학생의 관점에서"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69-192, 2017

      8 서정은, "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 기반 유아 영어학습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9 신지선, "인공지능 번역 시스템의 출현에 대한 소고" 한국번역학회 18 (18): 91-110, 2017

      10 이동한, "인공지능 기반 음성로봇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학습 시스템 개발 방안" 영상영어교육학회 20 (20): 189-211, 2019

      1 이동한, "초등영어교과서를 활용한 영어말하기 학습용 챗봇 제작 방안"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5 (25): 79-100, 2019

      2 김진석, "초등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인공지능 Dialogflow API 챗봇 개발 및 구현방안. 인공지능과 초등교육의 과제" 85-96, 2020

      3 윤여범, "초등영어 발음교육론" 한국문화사 2002

      4 임완철, "인공지능활용 대화형 영어학습 앱 현장적용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5 박영숙, "인공지능혁명 2030 : 제4차 산업혁명과 정치혁명의 부상" 더불북 2016

      6 이동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 학습용 챗봇 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11 (11): 45-68, 2018

      7 박종향, "인공지능기술과 인공지능교사에 대한 인식 분석: 초·중·고등학생의 관점에서"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69-192, 2017

      8 서정은, "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 기반 유아 영어학습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9 신지선, "인공지능 번역 시스템의 출현에 대한 소고" 한국번역학회 18 (18): 91-110, 2017

      10 이동한, "인공지능 기반 음성로봇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학습 시스템 개발 방안" 영상영어교육학회 20 (20): 189-211, 2019

      11 김재상, "인간과 인공지능기기의 상호작용이 EFL 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의 협업적 언어습득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12 홍선호, "음성대화처리 기술을 활용한 외국어 교육 방법론 연구. 인공지능과 초등교육의" 139-145, 2020

      13 서진아, "음성 분석을 통한 초등영어 학습자의 영어 리듬 패턴 고찰"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1 (21): 61-81, 2015

      14 이장호, "외국어학습을 위한 대화형 챗봇의 담화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2 (22): 132-153, 2019

      15 현주은, "영어학습도구로서 인공지능 스피커의 분석 및 시사점" 미래영어영문학회 24 (24): 201-219, 2019

      16 김혜영, "영어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9-110, 2019

      17 김명희, "분단 극복을 위한 집단지성의 힘" 한국문화사 164-180, 2018

      18 감동근, "바둑으로 읽는 인공지능" 도서출판 동아시아 2016

      19 박혜영, "뇌,마음,인공지능" 홍릉과학출판사 2017

      20 김대식, "김대식의 인간 vs 기계 :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동아시아 2016

      21 Bostrom, N., "기계는 어떻게 생각하고 학습하는가(김정민 역)" 한빛미디어 2018

      22 장애리, "국내 기계 통번역의 발전 현황 분석: 한·중 언어 쌍을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18 (18): 171-206, 2017

      23 Dalton, C., "Pronunci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24 Long, M.,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ewbury House 377-393, 1985

      25 Swain, M.,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ewbury House 235-253, 1985

      26 Munro, M. J., "Foreign accent, comprehensibility, and intelligibility in the speech of second language learners" 45 (45): 73-97, 1995

      27 원진숙, "AI 시대의 국어 문식성 교육의 혁신. 인공지능과 초등교육의 과제" 45-58, 2020

      28 박형빈, "AI 도덕성 신화와 실제: 기계의 인간 도덕 능력 모델링 가능성과 한계. 인공지능과 초등교육의과제" 31-41, 2020

      29 Derwing, T. M., "A prospectus in the pronunciation research in the 21st century" 1 (1): 11-42, 2015

      30 서정연,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인공지능 융합인재상. 인공지능과 초등교육의 과제" 325-348, 2020

      31 김정렬,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영어교육" 한국문화사 189-213, 2019

      32 김선웅, "4차 산업혁명과 영어교육자의 미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33 정채관, "4차 산업혁명과 미래영어교육" 한국문화사 2018

      34 심창용, "4차 산업혁명과 미래영어교육" 한국문화사 121-139, 2018

      35 김인석,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I based English Education" 한국문화사 2019

      36 김의중, "(알고리즘으로 배우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입문" 위키북스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3-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7-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7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