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경제적 요인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소득요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769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사회경제적 요인 중에서 소득을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소득이 많은 사람들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적극성을 띨지, 어떤 유형의 정치참여에 관여할 것인지, 고소득층은 저소득층보다 미디어 이용과 정치지식 습득에 관심을 높은지를 가설로 삼고 연구했다.
      통계분석 결과, 소득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이 아니고, 소득에 따른 온라인 정치참여의 유형이 소극적 참여에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과 정치지식이 높다는 가설만 일치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사회경제적 요인 중에서 소득을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소득이 많은 사람들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적극성을 ...

      본 논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사회경제적 요인 중에서 소득을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소득이 많은 사람들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적극성을 띨지, 어떤 유형의 정치참여에 관여할 것인지, 고소득층은 저소득층보다 미디어 이용과 정치지식 습득에 관심을 높은지를 가설로 삼고 연구했다.
      통계분석 결과, 소득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이 아니고, 소득에 따른 온라인 정치참여의 유형이 소극적 참여에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과 정치지식이 높다는 가설만 일치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ome on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online. The effect of income on online politics was examined by comparing with socioeconomic figures such as education, generations, genders, and so on. income was not the primary figure affecting online politics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online politics, however, was different between the high income brackets and the low income brackets in the aspect of pass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ventional result which the high income brackets had a pattern to use media more and have a high sense of politics was as same as the qualitative result.
      번역하기

      This articl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ome on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online. The effect of income on online politics was examined by comparing with socioeconomic figures such as education, generations, genders, and so on. incom...

      This articl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ome on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online. The effect of income on online politics was examined by comparing with socioeconomic figures such as education, generations, genders, and so on. income was not the primary figure affecting online politics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online politics, however, was different between the high income brackets and the low income brackets in the aspect of pass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ventional result which the high income brackets had a pattern to use media more and have a high sense of politics was as same as the qualitative resul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기존연구 검토
      • Ⅲ. 사회경제적 요인과 정치참여 관련통계분석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기존연구 검토
      • Ⅲ. 사회경제적 요인과 정치참여 관련통계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호근,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 세대, 그 갈등과 조화의 미학" 삼성경제연구소 2003

      2 장덕진, "인터넷 이용과 사회운동 참여" 2009

      3 이원태, "웹2.0시대 의사결정방식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KISDI 2008

      4 이호영, "웹2. 0시대 디지털 콘텐츠의 사회적 확산 경로 연구" KISDI 2007

      5 임혁백, "신유목적 민주주의" 나남 2010

      6 조대엽, "신갈등사회와 정당정치의 위기" 극동문제연구소 25 (25): 179-210, 2009

      7 이정환, "세대별 정치적 태도의 가변성, 제3차 한국종합사회조사와 시범적 연구 - 세대, 일 그리고 신뢰: 국제비교"

      8 정한울, "변화하는 한국의 유권자 3" 동아시아연구원 2009

      9 이원태, "방통융합시대의 시민참여와 정책적 함의" KISDI 2008

      10 홍순식, "미디어의 진화와 정당의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인터넷에 따른 정당의 목표 및 조직의 변화"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4) : 201-233, 2011

      1 송호근,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 세대, 그 갈등과 조화의 미학" 삼성경제연구소 2003

      2 장덕진, "인터넷 이용과 사회운동 참여" 2009

      3 이원태, "웹2.0시대 의사결정방식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KISDI 2008

      4 이호영, "웹2. 0시대 디지털 콘텐츠의 사회적 확산 경로 연구" KISDI 2007

      5 임혁백, "신유목적 민주주의" 나남 2010

      6 조대엽, "신갈등사회와 정당정치의 위기" 극동문제연구소 25 (25): 179-210, 2009

      7 이정환, "세대별 정치적 태도의 가변성, 제3차 한국종합사회조사와 시범적 연구 - 세대, 일 그리고 신뢰: 국제비교"

      8 정한울, "변화하는 한국의 유권자 3" 동아시아연구원 2009

      9 이원태, "방통융합시대의 시민참여와 정책적 함의" KISDI 2008

      10 홍순식, "미디어의 진화와 정당의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인터넷에 따른 정당의 목표 및 조직의 변화"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4) : 201-233, 2011

      11 양승찬, "미디어와 유권자" 커뮤니케이션북스 232-252, 2005

      12 홍순식, "미국산 쇠고기 수입정책에 관한 정치사회학적 연구: 한국과 대만 비교분석"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5 (25): 157-194, 2010

      13 홍순식, "미국 대선과정에서의 인터넷 동향" 20 (20): 2008

      14 Bartels, Larry, "Unequal Democracy" Russell Sage Foundation 2007

      15 Margolis. M, "The Prospect of Internet Democracy" Ashgate Publishing Limited 2009

      16 Kim, Quaile Hill, "The Policy Consequences of Class Bias in State Electorates" 36 (36): 351-365, 1992

      17 Sunstein, Cass R, "Republic.com 2.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18 Peterson, S. A, "Political behavior : Patterns in everyday life" Sage 1990

      19 Milbrath, L, "Political Participation" Rand McNally 1977

      20 Xenos, M., "Direct and Differential Effects of the Internet on Political and Civic Engagement" 57 : 704-718, 2007

      21 Dalton, Russell, "Citizen Politics: Public Opinion And Political Parties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Chatham House Publishers 2002

      22 Dalton, Russell, "Citizen Politics: Public Opinion And Political Parties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CQ Press 2008

      23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24 임혁백, "1987년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고려대학교출판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6 1.17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