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인공전방을 이용한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용 수기 공여각막편의 제작 = Manual Preparation of Donor Lenticule Using Artificial Anterior Chamber for Descemet’s Membrane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682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report a patient with a pseudophakic bullous keratopathy (PBK) who underwent Descemet’s membrane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with manual preparation of the donor corneal graft. Case summary: A 61-year-old female presented ...

      Purpose: To report a patient with a pseudophakic bullous keratopathy (PBK) who underwent Descemet’s membrane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with manual preparation of the donor corneal graft.
      Case summary: A 61-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visual disturbance in her right eye. Five months prior, she was treated with phacoemulsification and intraocular lens exchange surgery of the right eye, and a very severe corneal edema was revealed by slit-lamp examination. We diagnosed PBK and planned DSEK with manual preparation of a donor corneal graft because of the non-availability of a microkeratome or a femtosecond laser. After making the corneal graft using an artificial anterior chamber, crescent knife and cornea dissector, the keratoplasty proceeded using the graft. Three months after surgery, her graft was well-maintained on the right eye. The patient’s visual acuity was 0.3, and the corneal endothelial cell count was 1,844/mm2.
      Conclusions: Manual preparation of the donor corneal graft for DSEK is suitable as a second choice treatment method when the availability of surgical devices is limi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위수정체 수포각막병증(Pseudophakic bullous keratopathy, PBK)의 치료로서 수기 제작 공여각막편을 이용한 데스메막박리각막내피층판이식술(Descemet’s membrane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을 ...

      목적: 위수정체 수포각막병증(Pseudophakic bullous keratopathy, PBK)의 치료로서 수기 제작 공여각막편을 이용한 데스메막박리각막내피층판이식술(Descemet’s membrane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증례가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우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한 61세 여자 환자는 5개월 전 인공수정체교환술의 과거력이 있었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심한 각막부종이 관찰되었고, PBK로 진단하였다.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DSEK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으나, 장비가 준비되어 있지않아 수기로 공여각막편을 만들어 수술을 진행하였다. 인공전방(artificial anterior chamber)과 각막분리기(cornea dissector)를 이용하여 공여각막편을 제작한 뒤 이식하였다. 술 후 3개월째 나안시력 0.3, 각막내피세포수 1,844/mm2로 이식편이 안정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수기로 공여각막편을 제작하는 것은 DSEK을 시행하는 데에 있어 수술 환경의 제약에 대한 차선의 선택이 되기에 충분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heng YY, "Femtosecond-laser-assisted Descemet’s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33 : 152-155, 2007

      2 Price FW Jr, "Descemet’s stripping with endothelial keratoplasty in 200 eyes : Early challenges and techniques to enhance donor adherence" 32 : 411-418, 2006

      3 Gorovoy MS, "Descemet-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25 : 886-889, 2006

      4 Melles GR, "A surgical technique for posterior lamellar keratoplasty" 17 : 618-626, 1998

      1 Cheng YY, "Femtosecond-laser-assisted Descemet’s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33 : 152-155, 2007

      2 Price FW Jr, "Descemet’s stripping with endothelial keratoplasty in 200 eyes : Early challenges and techniques to enhance donor adherence" 32 : 411-418, 2006

      3 Gorovoy MS, "Descemet-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25 : 886-889, 2006

      4 Melles GR, "A surgical technique for posterior lamellar keratoplasty" 17 : 618-626,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366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