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현수, "현진건 소설에서 체험의 문제" 대동문화연구원 (73) : 315-345, 2011
2 이주형, "한국현대소설과 민족현실의 인식" 역락 2007
3 김윤식,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4 이혜령,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소명출판 2007
5 한점돌, "한국근대소설의 정신사적 이해" 국학자료원 1993
6 김현실, "한국근대단편소설론" 공동체 1991
7 李孝德, "표상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2002
8 "폐허이후"
9 "창조"
10 "조선문단"
1 박현수, "현진건 소설에서 체험의 문제" 대동문화연구원 (73) : 315-345, 2011
2 이주형, "한국현대소설과 민족현실의 인식" 역락 2007
3 김윤식,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4 이혜령,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소명출판 2007
5 한점돌, "한국근대소설의 정신사적 이해" 국학자료원 1993
6 김현실, "한국근대단편소설론" 공동체 1991
7 李孝德, "표상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2002
8 "폐허이후"
9 "창조"
10 "조선문단"
11 박유하,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12 김도경, "염상섭·김동인 논쟁과 坪內逍遙ㆍ森鴎/b>의 몰이상 논쟁 비교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39) : 183-204, 2008
13 박헌호, "식민지근대성과 소설의 양식" 소명출판 2004
14 이숙진, "서술종결형어미 ‘-단다’의 형성과 의미기능 분석" 우리어문학회 (39) : 209-239, 2011
15 Anderson, Benedict, "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출판 2002
16 나병철,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2
17 Benjamin, Walter, "문예비평과 이론" 문예출판사 1987
18 박현수, "두 개의 '나'와 소설적 관습의 주조-현진건 초기 소설 연구-" 상허학회 9 : 205-251, 2002
19 임병권, "고백을 통해 본 내면성의 정착과 주체의 형성, In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문학 장의 재발견" 소명출판 137-151, 2004
20 "개벽"
21 金福順, "韓國現代女流詩에 나타난 愛情意識硏究 : 毛允淑,盧天命,金南祚,洪允淑 詩를 중심으로"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22 박숙자, "1920년대 여성의 육체에 대한 남성의 시선과 환상" 한국근대문학회 (9) : 166-196, 2004
23 양문규, "1910년대 한국 소설 연구 : 사회사적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