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지리 교과서의 지리정보체계(GIS) 내용 분석 -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GIS-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 Focus on 2009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55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GIS-related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o reveal about each textbook has included different contents that students should learn, grasp the GIS of today in high school course. First, I focused on the 5 Korean geography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literature review, and studied to differences of each textbooks in learning goal, page, item, contents, visual materials, aid materials, used term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arning goals are focused on knowledge and skills, as Geospatial Technology gains importance, the page of GIS part also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extbooks. However, only the importance of the overlay analysis is highlighted in textbooks becaus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nly focused on assessment. Also, it showed gaps because of most textbooks are simply descriptive of the Required Content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ommentary. After all, because of this policy presented only roughly achievement standards in each chapter since 2007 Revised Curriculum, it has a problem that the difference content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extbook authors. This policy has been introduced to the purport that granting more autonomy to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Thus, this policy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extbooks filled out all the Required Contents and textbooks difference between writing method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GIS-related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o reveal about each textbook has included different contents that students should learn, grasp the GIS of today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GIS-related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o reveal about each textbook has included different contents that students should learn, grasp the GIS of today in high school course. First, I focused on the 5 Korean geography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literature review, and studied to differences of each textbooks in learning goal, page, item, contents, visual materials, aid materials, used term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arning goals are focused on knowledge and skills, as Geospatial Technology gains importance, the page of GIS part also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extbooks. However, only the importance of the overlay analysis is highlighted in textbooks becaus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nly focused on assessment. Also, it showed gaps because of most textbooks are simply descriptive of the Required Content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ommentary. After all, because of this policy presented only roughly achievement standards in each chapter since 2007 Revised Curriculum, it has a problem that the difference content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extbook authors. This policy has been introduced to the purport that granting more autonomy to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Thus, this policy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extbooks filled out all the Required Contents and textbooks difference between writing meth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상철, "학업결과에 대한 개인, 교육환경의 다차원 분석: 확장방법의 적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81-296, 2010

      2 김남신, "지리정보활용: ArcGIS를 이용한 자료관리와 공간분석" 한울아카데미 2010

      3 김채승, "지리정보체계" 대영사 1999

      4 권동희, "지리정보론 GIS" 한울아카데미 1999

      5 유근배, "지리정보론" 상조사 1992

      6 강철성, "지리수업설계에 따른 GIS 기초과정교육프로그램안" 5 (5): 57-63, 1997

      7 조철기, "지리교육학" 푸른길 2014

      8 배선학, "중등학교 지리교육에서의 GIS 교육에 관한 연구-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178-189, 2008

      9 문상훈,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세계지리 교과서의 지리정보체계(GIS)분석"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김민성, "교육 현장의 GIS 관련 상황과 교육적 사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173-184, 2010

      1 권상철, "학업결과에 대한 개인, 교육환경의 다차원 분석: 확장방법의 적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81-296, 2010

      2 김남신, "지리정보활용: ArcGIS를 이용한 자료관리와 공간분석" 한울아카데미 2010

      3 김채승, "지리정보체계" 대영사 1999

      4 권동희, "지리정보론 GIS" 한울아카데미 1999

      5 유근배, "지리정보론" 상조사 1992

      6 강철성, "지리수업설계에 따른 GIS 기초과정교육프로그램안" 5 (5): 57-63, 1997

      7 조철기, "지리교육학" 푸른길 2014

      8 배선학, "중등학교 지리교육에서의 GIS 교육에 관한 연구-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178-189, 2008

      9 문상훈,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세계지리 교과서의 지리정보체계(GIS)분석"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김민성, "교육 현장의 GIS 관련 상황과 교육적 사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173-184, 2010

      11 박병익, "고등학교한국지리" 천재교육 2013

      12 조대헌, "고등학교 한국지리 GIS 관련 평가 문항 분석: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3학년 전국 규모 평가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472-487, 2014

      13 서태열, "고등학교 한국지리" (주)금성출판사 2013

      14 박희두, "고등학교 한국지리" 미래엔 2013

      15 윤옥경, "고등학교 한국지리" 지학사 2013

      16 최규학, "고등학교 한국지리" 비상교육 2013

      17 원진희,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의 GIS 교육 내용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정인철, "고등학교 지리 수업에서의 GIS 활용 방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4 (14): 251-262, 2006

      19 김남신, "WebGIS을 이용한 고등학교 지리학습교재 개발"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281-290, 2006

      20 정재준, "GIS를 이용한 학습자 성취도 향상 방안 - 고등학교 지리수업에서의 Internet GIS 활용을 중심으로 -" 국토지리학회 40 (40): 419-431, 2006

      21 이희연, "GIS 지리정보학" 법문사 2011

      22 이고은, "2007개정 한국지리 교과서 내 지도 자료의 효율적 구성 방안,"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