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과와 사회과의 인권교육 분석 = 공통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권은 학제적 특성을 갖는다. 그런 만큼 대부분의 교과에서 인권을 가르친다. 교과를 통 한 인권교육은 인권 실현에 기여한다. 다만 교과별 인권교육은 내용 중복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도덕과와 사회과 또한 내용 중복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논자는 도 덕과와 사회과 교육과정의 인권 단원을 살펴본다. 먼저 도덕과와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성취 기준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성 취 기준에 근거하여 도덕과와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두 교과는 인권교육에 있어 나름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그 특성은 인권교육에 접근하는 핵심 개념이 다르다 는 것이다. 도덕과는 인권 ‘존중’을, 사회과는 인권 ‘보장’을 강조한다. 즉 도덕과는 ‘가치’에, 사회과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는 교과 특성에 부합하는 것으로 바람직하 다. 반면 교과서 서술에서는 학습 자료의 중복이 많았다. 이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럼에 도 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그래서 향후 교과서 집필 시 인권교육 학습 자료 구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인권은 학제적 특성을 갖는다. 그런 만큼 대부분의 교과에서 인권을 가르친다. 교과를 통 한 인권교육은 인권 실현에 기여한다. 다만 교과별 인권교육은 내용 중복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인권은 학제적 특성을 갖는다. 그런 만큼 대부분의 교과에서 인권을 가르친다. 교과를 통 한 인권교육은 인권 실현에 기여한다. 다만 교과별 인권교육은 내용 중복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도덕과와 사회과 또한 내용 중복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논자는 도 덕과와 사회과 교육과정의 인권 단원을 살펴본다. 먼저 도덕과와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성취 기준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성 취 기준에 근거하여 도덕과와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두 교과는 인권교육에 있어 나름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그 특성은 인권교육에 접근하는 핵심 개념이 다르다 는 것이다. 도덕과는 인권 ‘존중’을, 사회과는 인권 ‘보장’을 강조한다. 즉 도덕과는 ‘가치’에, 사회과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는 교과 특성에 부합하는 것으로 바람직하 다. 반면 교과서 서술에서는 학습 자료의 중복이 많았다. 이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럼에 도 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그래서 향후 교과서 집필 시 인권교육 학습 자료 구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 rights assume interdisciplinary traits, most subjects teaches human rights. Such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s can contribute to realization of human rights. But these human rights educations can cause contents redundancy problem. This problem has been discussed in Moral and Social Studies Subjects. Concerning the problem, this analyses the human rights units in both curricula. First, this reviews the learning achievement criteria presented in both curricula. Based on these criteria, analyses of both subjects textbooks a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wo subjects have respective traits in human rights education. They have different concepts in approaching human rights education. Moral Subject focuses on 'respect' of human rights, Social Studies Subject focuses on 'guarantee' of them. This represents that Moral Subject pays attention to the 'value' and Social Studies Subject to the 'reality'. It is desirable because it is in accord with the subjects' traits. Content redundancy is identified in textbook descriptions, though, which is inevitable in a certain degree. Still, it needs to be minimized as textbook contents should represent each subject's trait. Further consideration and effort are demanded in next textbook writing. Teachers' effort for choice and use of proper teaching material well-reflecting the subjects' traits is asked, as well.
      번역하기

      Human rights assume interdisciplinary traits, most subjects teaches human rights. Such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s can contribute to realization of human rights. But these human rights educations can cause contents redundancy problem. ...

      Human rights assume interdisciplinary traits, most subjects teaches human rights. Such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s can contribute to realization of human rights. But these human rights educations can cause contents redundancy problem. This problem has been discussed in Moral and Social Studies Subjects. Concerning the problem, this analyses the human rights units in both curricula. First, this reviews the learning achievement criteria presented in both curricula. Based on these criteria, analyses of both subjects textbooks a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wo subjects have respective traits in human rights education. They have different concepts in approaching human rights education. Moral Subject focuses on 'respect' of human rights, Social Studies Subject focuses on 'guarantee' of them. This represents that Moral Subject pays attention to the 'value' and Social Studies Subject to the 'reality'. It is desirable because it is in accord with the subjects' traits. Content redundancy is identified in textbook descriptions, though, which is inevitable in a certain degree. Still, it needs to be minimized as textbook contents should represent each subject's trait. Further consideration and effort are demanded in next textbook writing. Teachers' effort for choice and use of proper teaching material well-reflecting the subjects' traits is asked, as we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병열, "학교 인권교육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 (3): 239-264, 2013

      2 조일수, "체계적 인권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1 (1): 131-148, 2004

      3 류재명, "중학교 사회②" 천재교과서 2015

      4 김창환, "중학교 사회②" 좋은책 신사고 2015

      5 최성길, "중학교 사회②" 비상교육 2015

      6 이진석, "중학교 사회②" (주)지학사 2015

      7 조영달, "중학교 사회②" 미래엔 2015

      8 김영순, "중학교 사회②" 동아출판 2015

      9 정창우, "중학교 도덕ⓛ 전시본" 미래엔 2012

      10 변순용, "중학교 도덕ⓛ 전시본" 천재교육 2012

      1 유병열, "학교 인권교육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 (3): 239-264, 2013

      2 조일수, "체계적 인권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1 (1): 131-148, 2004

      3 류재명, "중학교 사회②" 천재교과서 2015

      4 김창환, "중학교 사회②" 좋은책 신사고 2015

      5 최성길, "중학교 사회②" 비상교육 2015

      6 이진석, "중학교 사회②" (주)지학사 2015

      7 조영달, "중학교 사회②" 미래엔 2015

      8 김영순, "중학교 사회②" 동아출판 2015

      9 정창우, "중학교 도덕ⓛ 전시본" 미래엔 2012

      10 변순용, "중학교 도덕ⓛ 전시본" 천재교육 2012

      11 윤건영, "중학교 도덕ⓛ 전시본" 금성출판사 2012

      12 박찬석, "중학교 도덕ⓛ" 교학사 2015

      13 박찬구, "중학교 도덕ⓛ" 천재교과서 2015

      14 노영준, "중학교 도덕ⓛ" 두산동아 2015

      15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국어, 도덕, 사회" 2008

      16 임홍빈, "인권의 이념과 아시아 가치론" 아연출판부 2003

      17 이미식, "인권교육을 통한 도덕과 교육의 개선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7): 131-152, 2004

      18 최현호, "인권교육 개선을 위한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서 분석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2 (32): 233-264, 2005

      19 Michael Freeman, "인권 : 이론과 실천" 도서출판 아르케 2005

      20 설규주, "사회과와 도덕과의 교육과정 내용 중복성에 대한 분석과 대응"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5-86, 2011

      21 사회과교육과정재구조화 연구팀, "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공청회"

      22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 교육과정 [별책7]"

      23 김태훈, "도덕과와 사회과의 통합적 운영이 어려운 까닭"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 (3): 33-60, 2010

      24 박찬구, "도덕과 교육의 성격과 범위" 철학윤리교육연구회 37 : 2006

      25 교육과학기술부, "도덕과 교육과정 [별책6]"

      26 황인표, "도덕과 교육과 인권교육의 적정화 방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 (2): 195-217, 2005

      27 교육과학기술부, "도덕과 교과서 집필 기준"

      28 최형찬, "도덕 교과서의 인권 관련 내용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5) : 83-108, 2014

      29 교육부, "5~6학년군 도덕ⓛ 도덕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