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학 시대에서 향상 논쟁(enhancement debate)은 신경윤리학의 대표적인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뇌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은 철기 시대의 야금술, 산업혁명 시대의 기 계화, 2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2331
2015
Korean
뇌 ; 도덕교육 ; 도덕성 ; 신경과학 ; 신경윤리학 ; 향상 ; brain ; enhancement ; moral education ; morality ; neuroethics ; neuroscience
KCI등재
학술저널
55-82(28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신경과학 시대에서 향상 논쟁(enhancement debate)은 신경윤리학의 대표적인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뇌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은 철기 시대의 야금술, 산업혁명 시대의 기 계화, 20...
신경과학 시대에서 향상 논쟁(enhancement debate)은 신경윤리학의 대표적인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뇌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은 철기 시대의 야금술, 산업혁명 시대의 기 계화, 20세기 후반의 유전공학처럼 새로운 인류 역사를 쓰고 있기 때문이다. 치료와 향상 개념 의 엄격한 구분이 점차 모호해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인간 향상의 찬반 논쟁은 앞으로 더욱 가열될 것이 분명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인간 향상의 의미와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인간 향상에서의 윤리적 쟁점들을 분석하며, 인간 향상 논쟁에 대한 도덕교육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다. 약물에 의한 뇌 기능 향상은 안전성, 개인적 진실성, 사회적 압력, 공정성과 평등, 행복과 인간다움의 관점에서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도덕교육자들은 학생 들을 양육하는 것과 디자인하는 것의 차이를 분명히 인식해야 하고, 인간 향상 문제를 도덕교 육 내용으로 도입하여 인간 향상의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도덕적 인식 능력과 판단 능력을 신장시켜 주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uman enhancement debate is one of the major issues of neuroethics in an age of neuroscience. The reason why is that human's ability to alter its own brain function shape history as the development of metallurgy in the Iron age, mechanization in t...
The human enhancement debate is one of the major issues of neuroethics in an age of neuroscience. The reason why is that human's ability to alter its own brain function shape history as the development of metallurgy in the Iron age, mechanization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or genetics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Consider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and enhancement is becoming blurred, the enhancement debate is getting hot in the near future.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rticulated the definitions and methods of brain enhancement, analyzed ethical problems of brain enhancement by psychopharmacology, and propose coping methods of moral education to solve those problems. Brain enhancement by drugs is ethically problematic in terms of safety, social pressure, fairness and equality, and happiness & humanity. Moral educators should be a moral opinion leader who informs the mass of the difference between raising students and designing students. They should introduce the enhancement debate into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aware the ethical problems of enhancement drugs and to develop their own moral perspectives.
참고문헌 (Reference)
1 추병완, "초인본주의의 도덕적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성찰과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윤리학회 1 (1): 33-62, 2015
2 이정모, "인지과학 : 과거, 현재, 미래" 학지사 2010
3 추병완,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한국윤리교육학회 (36) : 171-195, 2015
4 이상헌, "인간 뇌의 신경과학적 향상은 윤리적으로 잘못인가?" 철학연구소 18 : 223-245, 2009
5 추병완, "열린 도덕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하우 2000
6 추병완, "약리학적 신경향상 시대에서 도덕교육의 정당성"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3) : 47-72, 2014
7 설선혜, "신경윤리학: 뇌과학의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문제" 한국심리학회 27 (27): 1-41, 2008
8 추병완, "신경과학 시대에서 도덕교육의 새 패러다임" 한국윤리학회 1 (1): 231-264, 2013
9 추병완, "도덕적 생명 향상의 오류 분석"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4) : 21-42, 2014
10 Persson, I., "moral transhumanism" 35 : 656-669, 2010
1 추병완, "초인본주의의 도덕적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성찰과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윤리학회 1 (1): 33-62, 2015
2 이정모, "인지과학 : 과거, 현재, 미래" 학지사 2010
3 추병완,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한국윤리교육학회 (36) : 171-195, 2015
4 이상헌, "인간 뇌의 신경과학적 향상은 윤리적으로 잘못인가?" 철학연구소 18 : 223-245, 2009
5 추병완, "열린 도덕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하우 2000
6 추병완, "약리학적 신경향상 시대에서 도덕교육의 정당성"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3) : 47-72, 2014
7 설선혜, "신경윤리학: 뇌과학의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문제" 한국심리학회 27 (27): 1-41, 2008
8 추병완, "신경과학 시대에서 도덕교육의 새 패러다임" 한국윤리학회 1 (1): 231-264, 2013
9 추병완, "도덕적 생명 향상의 오류 분석"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4) : 21-42, 2014
10 Persson, I., "moral transhumanism" 35 : 656-669, 2010
11 Agar, N., "Why is it possible to enhance moral status and why doing so is wrong" 39 : 67-74, 2013
12 추병완, "Where moral enhancement goes wrong" 한국윤리학회 1 (1): 67-82, 2014
13 Temkin, L. S., "What's wrong with enhancements?" 39 (39): 729-731, 2013
14 Mia, A., "Values and ethics for the 21st century" BBVA 199-231, 2011
15 Wolpe, P. R., "Treatment, enhancement and the ethics of neurotherapeutics" 50 : 387-395, 2002
16 Sandel, M., "The case against perfection" 293 (293): 51-62, 2004
17 Sanitos, A., "Present and future development in cognitive enhancement technologies" 14 (14): 27-38, 2009
18 Fukuyama, F., "Our posthuman future : Consequences of the biotechnology revolution" Farrar, Straus Giroux 2002
19 Shook, J. R., "Neuroethics and the possible types of moral enhancement" 3 (3): 3-14, 2012
20 Farah, M. J., "Neurocognitive enhancement : What can we do and what should we do?" 5 : 421-425, 2004
21 Bush, S. S., "Neurocognitive enhancement : Ethical considerations for an emerging subspecialty" 13 (13): 125-136, 2006
22 Verster, C., "Moral perspectives on stimulant use by healthy students" 102 (102): 909-911, 2012
23 Christen, M., "Moral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is key for moral enhancement" 3 (3): 25-26, 2012
24 Farah, M. J., "Monitoring and manipulating brain function : New neuroscience technologies and their ethical implications" 34 (34): 35-45, 2004
25 Bostrom, N., "In defense of posthuman dignity" 19 (19): 202-214, 2005
26 Bostrom, N., "Human genetic enhancement : A transhumanist perspective" 37 : 493-506, 2003
27 Allhoff, F., "Ethics of human enhancement : An executive summary" 17 : 201-212, 2011
28 Esposito, M. F., "Ethical implications of phamacological enhancement of mood and cognition" 1 (1): 1-4, 2005
29 Parens, E., "Enhancing human traits: Ethical and social implication"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98
30 Savulescu, J., "Enhancing human capacities" Wiley-Blackwell 3-18, 2011
31 Buchanan, A., "Enhancement and the ethics of development" 18 (18): 1-34, 2008
32 Kipke, R., "Cognitive enhancement: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Springer 145-157, 2013
33 Reiner, P. B., "Cognitive enhancement: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Springer 189-200, 2013
34 Buchanan, A., "Cognitive enhancement and education" 9 (9): 145-162, 2011
35 Bostrom, N., "Cognitive enhancement : Methods, ethics, regulatory challenges" 15 : 311-341, 2009
36 de Jongh, R., "Botox for the brain : Enhancement of cognition, mood and prosocial behavior and blunting memories" 32 : 760-776, 2008
37 Roache, R., "Bioconservatism, bioliberalism, and the wisdom of reflection on repugnance" 28 (28): 1-21, 2009
38 Parens, E., "Authencitity and ambivalence : Toward a understanding the enhancement debate" 35 : 34-41, 2005
39 Selgelid, M. J., "An argument against arguments for enhancement" 1 (1): 1-5, 2007
40 Kass, L., "Ageless bodies, happy souls : Biotechnology and the pursuit of perfection" 1 : 9-28,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